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6.20.목.조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향상
  • 작성일2024-06-19
  • 최종수정일2024-06-18
  • 담당부서손상예방정책과
  • 연락처043-719-7411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향상


- 2023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발표 - 


-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8.8%로 전년(’22년) 대비 1.0%p 증가

-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의 뇌기능회복률 5.6%로 전년(’22년) 대비 0.5%p 증가

-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9.8%로 전년(’22년) 대비 0.5%p 증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3년 상반기(1월~6월)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급성심장정지조사는 2008년에 도입되어, 119구급대에 의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2006년도 자료부터 의무기록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조사 결과를 적시에 제공하여 급성심장정지 관련 정책 및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2년도 조사 결과부터 공표 주기를 1년(연 1회)에서 반기(연 2회)로 단축하였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2023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수는 전체 16,592건이고, 이 중 16,391건(98.8%)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1. 급성심장정지 주요 발생 원인은 질병, 주로 가정에서 발생


  조사 주요 결과, 발생 원인은 주로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7.4%였으며, 추락, 목맴, 운수사고 등 질병 외에 의한 경우가 21.7%였다(그림 1 참고). 발생 장소는 주로 가정, 요양기관 등 비공공장소가 65.9%, 상업시설, 도로/고속도로 등 공공장소가 17.7%였다. 특히, 비공공장소 중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 발생 장소의 48.4%로 가장 많았다(그림 2 참고).



 2.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증가


  한편,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 수(이하 ‘생존자’)는 1,442건으로 생존율은 8.8%(’22년 대비 1.0%p 증가)였으며,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 수(이하 ‘뇌기능회복자’)는 922건으로 뇌기능회복률은 5.6%(’22년 대비 0.5%p 증가)였다(그림 3 참고).



 3.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증가


  또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는 4,258건으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9.8%(’22년 대비 0.5%p 증가)였다(그림 4 참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자 수는 597건(생존율 14.0%), 뇌기능회복자 수는 425건(뇌기능회복률 10.0%)이었다. 그러나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미시행된 경우는 1,807건으로, 이 중 생존자 수는 149건(생존율 8.2%), 뇌기능회복자 수는 83건(뇌기능회복률 4.6%)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와 비교해 미시행된 경우는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모두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5 참고).

  * 일반인 :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 제외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앞으로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유아기부터 심폐소생술을 배울 수 있도록 어린이,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눈높이 교육자료를 적극 개발하고 배포하겠다”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일반인(성인) 뿐만 아니라 유아, 어린이, 청소년 대상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누리집과 국가손상정보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다.


  2023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는 2024년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며, 「2023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 > 자료실 > 통계집 > 2023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붙임>  급성심장정지조사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