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뇌 영상 공개 데이터베이스 활용 안내서 발간(6.21.금)
  • 작성일2024-06-21
  • 최종수정일2024-06-20
  • 담당부서헬스케어인공지능연구과
  • 연락처043-719-8851


뇌 영상 공개 데이터베이스 활용 안내서 발간


- 국외 주요 뇌 영상 관련 공개 데이터 현황 및 활용 사례 소개

-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뇌 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 방법과 방향 제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국내 의료영상 분야 연구자를 위한 「국외 뇌 영상 공개 데이터베이스 소개 및 활용」 안내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안내서에서는 주요 국외 연구사업*에서 제공하는 공개용 데이터 보유·제공 현황,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조회 방법, 데이터 활용 연구 사례를 종합적으로 소개하였다(붙임 참고). 특히 의료영상 기반 질환 예측과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관련 연구 사례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 영국(UK Biobank), 미국(ADNI, NACC), 호주(AIBL) 등




≪ 데이터베이스 소개 및 활용 예시 ≫


▶ (UK Biobank란?) 영국의 대규모 생체 의학 데이터베이스로서 건강 및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와 관련된 유전적, 생체학적, 환경적 데이터를 제공

▶ (데이터 보유·제공 현황) UK Biobank에서 보유 중인 뇌 영상 데이터셋은 900여 가지로, 40대~60대까지 총 17,5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MRI, fMRI, PET 등의 영상 보유

▶ (접근권한 및 사용방법) UK Biobank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에서 연구자 계정 생성 후 연구 계획서를 제출하고 심의를 거쳐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함

▶ (활용사례) 스트레스가 뇌 구조, 인지기능,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두뇌의 복잡성, 체적, 일반지능 간 관계에서의 성차 분석 등 정신의학, 심리학, 신경과학 분야에서 UK Biobank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더불어 대표적인 뇌 영상 데이터 공유 컨소시엄*에 대한 소개와 함께 뇌 영상 공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 방법과 데이터셋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 (Human Connectome Project), 조발성 치매 종단 연구 (Longitudinal Early onset Alzheimer's Disease Study) 등

 ** 오픈뉴로(OpenNeuro), 뇌 영상 연구소 이미지 데이터 아카이브(LONI IDA) 등

  본 안내서는 국립보건연구원 헬스케어 이종데이터* 활용체계 및 인공지능 개발(R&D) 사업의 일환으로 생산하였고, 안내서의 전자출판본은 국립의과학지식센터 누리집**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 헬스케어 이종데이터(heterogeneous data): 전자의무기록 자료, 영상 자료, 디지털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 멀티오믹스 자료 등

 ** 누리집 바로가기 : http://library.nih.go.kr


  한편, 국립보건연구원은 다양한 코호트 사업으로 기관 내 보유하고 있는 국내 뇌 영상 데이터를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정제, 가공하여 개방할 계획이며(’26년 10월 예정), 이를 통해 뇌질환 연구용 고품질 참조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연구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본 안내서가 의료영상 관련 연구 분야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국외 뇌 영상 공개 데이터베이스 소개 및 활용」 표지 및 구성

          2. 뇌 영상 공개 데이터베이스

          3. 뇌 영상 데이터 공유 컨소시엄

          4. 오픈 엑세스 데이터 검색 플랫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