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백일해·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최근 4주 크게 유행(6.21.금)
  • 작성일2024-06-21
  • 최종수정일2024-06-21
  • 담당부서감염병관리과
  • 연락처043-719-7150


백일해·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최근 4주 크게 유행


백신 적기접종(백일해) 및 예방수칙 준수 중요



○ (백일해) 최근 4주 동안 3배 이상 증가

    * (5.4주) 210 → (6.1주) 415 → (6.2주) 481 → (6.3주) 678명 

 - 최근 4주(5.4주~6.3주) 환자(1,784명) 중 7~19세가 92.8%(1,656명 : 13-19세 65.6%인 1,171명, 7-12세 27.2%인 485명)

 - 고위험군인 1세 미만(2·4·6개월)·임신부(27-36주) 적기 접종 및 영유아 돌보는 가족·돌봄종사자도 백일해 접종(Tdap) 해야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23년 동절기 유행 최고 정점보다 입원환자수 증가(1.7배)

 - 최근 4주(5.4주~6.3주) 입원환자 중 1~12세가 77.7% (7-12세 49.9%, 1-6세 27.8%)

 - 6.24일 유행주의보 발령으로 18세미만 소아청소년에게 항원검사 보험급여 적용


○ 손씻기, 기침예절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최근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이 크게 유행함에 따라, 유소아 대상 백일해 백신 접종(총 6회)이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교육 당국과 학부모의 협조를 당부하고,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에 대한 유행주의보를 발령(6.24.)하였다.



 【백일해】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환자수가 4주 동안 크게 증가(3.2배)하였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65.6%(1,171명), 7~12세가 27.2%(485명)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92.8%(1,656명)를 차지하였고, 지역별로는 경기(477명, 26.7%), 경남(467명, 26.2%), 인천(210명, 11.8%), 서울(110명, 6.2%) 순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 최근 4주간 (의사)환자수 : (5.4주) 210명 → (6.1주) 415명 → (6.2주) 481명 → (6.3주) 678명



  6.15일 기준 누적 환자수(2,537명, 의사환자 포함)도 코로나19 유행 이전 백일해가 크게 유행하였던 ’18년도 연간 발생 환자수(980명)를 이미 2.5배 넘어선 상황이다.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도 백일해가 크게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보고되고 있다. 영국 잉글랜드 지역에서 올해 4월까지 4,793명 발생하여 전년도 동기간(50명) 대비 95.8배 증가하였고, 영아 8명이 사망하였다. 미국에서도 5,669명(6.8기준)이 발생하여 전년도 동기(1,952명) 대비 2.9배가 증가하였으며, 작년부터 올해 5월까지 15명이 백일해로 사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영국 1세 DTaP 3차 접종율 91.9%(23년 기준), 미국 2세 DTaP 4차 접종율 80.4%(21년 기준) 


  국내는 영유아의 백일해 예방접종률이 95% 이상(1세 97.3% 초등학교 입학생 96.8%)으로 높아, 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증의 폐렴 등 합병증이나,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은 상황이다. 

  *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1세미만 환자는 4명(합병증 없이 회복)

  백일해에 감염되면 나이가 어릴수록 중증 합병증이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1세 미만 영아의 경우 기관지 폐렴, 폐기종, 무기폐(폐에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 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영아의 적기 접종(2개월·4개월·6개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유아기에 접종한 백일해 백신의 효과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접종*도 반드시 필요하다. 영유아와 밀접한 접촉이 예상되는 경우(부모, 형제, 조부모, 영아도우미, 의료인, 임신부 등) 접촉 최소 2주 전에 접종(Tdap)을 받아야 한다.

  * 백일해 예방접종(총6회) 시기: 생후 2, 4, 6, 15-18개월, 4-6세, 11-12세



 【마이코플라스마】


  한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도 최근 4주 동안 1.7배 증가하면서 유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 국내에서는 3~4년 주기로 유행(최근 2019년)하였으나, ’23년 동절기 유행에 이어 올해 다시 유행 중이다.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표본감시 참여 의료기관(220개소) 대상 최근 4주간(5.4주~6.3주) 입원환자 수(1,451명)가 코로나19 유행 이전 ’19년(521명) 동기간 대비 약 3배, 지난해 동기간 대비(185명) 약 8배 높은 상황이다.



  연령별로는 1~12세(1,128명)가 전체 입원환자수(1,451명)의 77.7%로, 7-12세가 724명(49.9%), 1-6세가  404명(27.8%)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보건복지부와 협의하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유행상황을 신속하게 의료기관에 알리기 위하여 올해부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유행주의보를 발령*하기로 하였다. 


  유행주의보가 발령되는 기간에는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대상 마이코플라스마 항원검사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붙임4). 올해는 5월 4째주부터 입원환자수(250명 이상 2주 지속**)를 고려하여, 질병관리청은 6월 24일(월) 0시부터 유행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 (유행주의보) 질병관리청이 실시하는 표본감시 참여기관 입원환자수가 주간 250명을 2주간 넘어설 때 소아감염학회 등 전문가 자문을 거쳐 발령, 입원환자수가 4주 연속 유행기준(250명) 미만일 때 자동 해제

** 최근 4주간 입원환자수 : (5.4주) 286명 → (6.1주) 357명 → (6.2주) 322명 → (6.3주) 486명


  올해 마이코플라스마 유행주의보가 최초로 발령되는 점을 고려하여, 질병관리청에서는 호흡기감염증을 진료하는 내과, 소아청소년과, 이비인후과를 포함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항원검사를 적극 활용하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부터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유행 시 유행주의보 발령을 통해 소아청소년을 진료하는 의료기관에 유행 상황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며, 


  “백일해가 소아·청소년 연령대를 중심으로 크게 유행하는 상황을 교육 당국과 공유하고, 적기 접종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11-12세의  6차 접종(Tdap)을 함께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접종율) 1세 97.3%(DTaP 3차), 초등학교 입학생 96.8%(DTaP 5차), 중학교 입학생 82.5%(Tdap 또는 Td 6차)  

 ** (3차) 2022년 전국 어린이 예방접종률 현황 기준(2023.7.28.)(5-6차) 2023년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 사업 추진 결과 기준(2023.5.31.)

  아울러 “정부는 지속 확산세에 있는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페렴균 감염증 유행 상황 모니터링, 백일해 병원체 수집을 통한 유전형과 치료제(항생제) 내성, 변이 발생여부 등에 대한 신속한 분석, 소아감염학회 등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한 의료현장 지원 등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면서, 


  “소아·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손 씻기, 기침 예절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학부모와 선생님의 협조와 지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하였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예방접종 하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조속히 접종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붙임>  1.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개요

         2.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바로 알기(Q&A)

         3.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유행주의보 발령(Q&A)4.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항원검사 요양급여 적용기준 개정(’24.6.1.)5.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안내 카드뉴스

         6. 마이코플라스마 유행주의보 발령 안내 포스터

         7. 백일해 개요

         8. 백일해 Q & A 

         9. 백일해 예방 카드뉴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