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연구개발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소개

  • 국가방역체계에 부합하는 R&D 투자로 방역현장 적용강화
  • 범부처 총괄 조정 및 부처간 연계 강화로 R&D 투자효율성 제고
  • 민관협력 및 R&D 성과관리 강화로 우수성과 창출 지원
  • 국제협력 및 연구인프라 강화로 해외유입 신변종 감염병 대응 강화

전략 1 -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R&D 지원 강화

국가방역체계 전주기에 걸친 R&D 지원

  • 유입
    차단
    • 국제협력 네트워크 활동
    • 정보 상시제공 및 모니터링 지원
  • 현장
    대응
    • 신종 감염병 대응 매뉴얼
    • 국민 안심 정보 제공
    • 감염병 전문가 Pool구축
  • 의료
    경로
    • 감염 경로 분석
    • 교육·기술자문 지원
  • 확산
    방지
    • 연구장비 활용
    • 숙달된 전단기법 전수
  • 유입차단 : 감염병 매개체 감시 및 방제기술 연구(국제적인 감염병 유행정보 시스템 구축 등)
  • 현장대응 : 병원체 검출‧고감도 진단 등 현장적용 기술개발(ICT 기반 감염병 특성‧전파 정보, 스마트검역시스템 등)
  • 확산방지 : 감염병 치료제 연구개발 및 차세대 소독제‧방역기기 개발(신개념 인체무해 소독제, 소독/방역 로봇 등)
  • 의료현장 : 의료현장 감염경로 분석 기술개발

판데믹(대유행) 감염병 현장 대응 기술개발 확대

의료기관의 현장 대응 역량 확보와 조기 대응 연구개발 추진

  • 대응역량강화대유행 발생 예방, 확산 방지 및 조기대응 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협력체계 형성 및 현장 실무역량 확보
  • 선제적대응의료현장 중심의 조기 대응 및 방역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추진 -의료기관의 일정한 공간 내에서 조기 대응을 위한 현장 수요 맞춤형 감시‧역학, 진단, 확산방지에 필요한 기술개발

현장적용 신속 차단 및 확산방지 첨단기술개발

  • 신속 감지와
    정확한 진단
    신속한 병원체 감지를 위한 ICT 기술 활용, 현장적용이 가능한 감염병 진단기법의 의료현장‧지자체 등에 신속한 전수
    -진단기법 개발(각부처) → 유효성‧안정성 평가 및 인증(식약처) → 의료현장‧보건소 전파 및 활용(질본)
  • 확산방지원인체-숙주 감염 역학연구 등을 기반으로 차세대 소독제, 소독/방역 장비 및 기기 등 개발

국가 감염병 관리기술 중심 R&D 추진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 기술 확보

  • 신종/원인불명 : 신종및 원인불명 감염병 조기대응 역량확보
  • 인수공통 : 인수공통감염병 신속대응 및 제어기술 확보
  • 기후변화 : 기후변화 감염병 대한 조기대응기술 확보
  • 인플루엔자 : 신‧변종 인플루엔자 감시 및 제어 기술력 강화

미해결 감염병 대응능력 강화

  • 다제내성균 : 신종및 원인불명 감염병 조기대응 역량확보
  • 만성감염 : 만성바이러스 예방 정책 수립 및 연구인프라 강화
  • 결핵 : 결핵퇴치 가속화를 위한 전략 및 극복기술개발

국가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예방접종/백신 : 국가예방접종사업 선진화 및 백신 주권 확보
  • 생물테러 : 생물테러 종류별 시나리오 및 대응 전략 수립
  • 재난대비/관리 :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재난 대응 인프라 구축

전략 2 -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R&D 지원 강화

주요 추진체계 및 역할분담(안) 연구개발 국과심 범부처 추진위 국과심(바이오특위) -R&D 정책‧계획 심의 -R&D 예산 배분‧조정 범부처감염병추진위원회 - 정책ㆍ기본계획, 투자방안, 수요조사 -부처별 주요현황 파악 및 공유 연구기관/ 산업체 감염병에 대한 기초-치료-확산방지 등 전주기 연구수행 -연구 내용 및 결과 제공 -연구 성과 실용화 -관련 인프라 공유 관리‧대응 중앙방역기관 방역대책본부 -글로벌 감염병 모니터링 -감염병관리(감시, 검역 등) -방역기관 유지관리 과학기술기반 국민안심 정보제공 및 수요 발굴 -감염병 특성 및 예방가이드 등 정보제공 -현장적용 기술수요 발굴

감염병 R&D 총괄‧조정 기능 체계 확립

  • 국가과학기술심의회(R&D 정책‧계획 심의, 예산배분 및 조정)」와 「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추진위원회(정책 및 기본계획 수립, 투자방안 및 계획, 수요조사)」를 통해서 감염병 R&D 전략성
  • R&D 추진 체계(국과심, 범부처추진위)와 방역 체계 간 상시 협력체계 구축

방역당국(질본)이 각 부처 감염병 R&D 추진현황 상시 모니터링 체계 마련

  • 연구관리기관(한국연구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질병관리청 間 감염병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16년 하반기)
  • 감염병 연구포럼 등에서 매년 감염병 기술수요 우선순위 제시(연 1회)하고, 신규사업 규모 등을 고려하여 각 부처 신규 R&D에 연계‧반영

연구기관‧산업체-병원‧방역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 현장적용 기술 수요 발굴 및 연구성과 공유 등을 위한 감염병 연구포럼‧감염병 연구 워크샵 등 정기적 협력 채널 추진
  • 연구기관‧산업체의 연구인프라를 병원‧방역기관에 공유‧활용을 통해 국가적 연구 협력 강화

    - 산‧학‧연의 연구 인프라(예. BSL-3‧4 실험실)를 병원‧방역기관과 공유‧활용

부처별 역할 분담 및 부처 협업 확대

  • 부처별로 기존 추진 사업과의 연관성, 소관영역 등을 고려하여 연구분야 등에 따라 부처별 중점 지원 분야 분담
    중점지원분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기초/기전‧원천연구 및 IT), 복지부(사람), 농식품부(가축), 환경부(야생동물), 식약처(허가 및 평가), 안전처(피해예측 및 환자이송) 등
  • 부처별 지원 사업의 연계 강화를 통한 부처 협업 시스템 구축
    예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감염병 분야 사업 기획‧평가 등에 질본‧보건원‧식약처 등 담당자 참여를 통한 현장 수요 반영 등
  • 부처 협력 사업 및 다부처 공동기획 등을 통한 전주기 대응 연구 추진
    - '인지', '발생', '대응', '기반' 등 전주기 단계별 연구를 다부처로 공동기획하여 현안 질병 중심 구조에서 통합대응 구조로 전환
인지(감시/역학) → 발생(기전/진단) → 대응(백신/치료) → 기반(인프라 임상/정책)

전략 3 - 민·관 협력 및 R&D 성과관리 강화

감염병 R&D 역량 확보 및 확산방지를 위한 정부-민간 협력 체계 구축

  • 전주기 협력정부지원(R&D지원, 규제개선 등)과 민간수요 및 역량(제품화, 생산시설 등)의 협력으로 R&D에서 산업화 촉진까지 전주기 협력체계 추진
  • 위기관리위기상황별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Two-track 협력체계 구축
    • 평상시 : 감염병 병원체, 기술 개발, 관련 시설 등에 대한 정보교류 및 협력연구 등을 촉진하기 위한 의료기관 중심의 감염병 연구 네트워크 형성
    • 위기시 : 신속한 자원(역학조사 인력, 병원체 규명 및 진단 기술 활용, 임상연구 등) 동원이 가능한 방역기관 산하의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

체계적인 민·관 협력사업 추진으로 감염병 조기 극복 및 산업성과 창출

  • R&D 참여 확대조기 진단,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업 참여 확대 및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연구성과 교류 및 활용 체계 구축
  • 제품화 지원신규 진단키트 개발, 백신생산 후보세포주 및 치료제 후보물질 등 임상시험 및 제품화 지원
  • 산업육성신속한 백신 및 치료제 비축과 글로벌 시장에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전략산업으로 육성
    - 백신기업의 ‘WHO 사전적격성 평가인증(PQ, 허가절차 간소화)’ 획득 지원 및 임상시험 지원(글로벌임상시험혁신센터‧글로벌제약펀드)

범부처 감염병대응 R&D 추진위원회를 통한 사전점검 및 성과공유 강화

통합적 성과 확인 체계 구축 통한 R&D-방역 체계 연계 강화

  • R&D 성과 상시 모니터링 통한 감염병 대응 체계에 활용 추진
    범부처추진위(R&D 정책수립) 국과심(심의확정) 각 부처(R&D 추진) 관리기관-질본-추진위(R&D 정보공유 및 성과확인) 질본(감염병대응체계구축)

감염병 연구성과가 방역체계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를 정책반영 및 현장에 적극 활용

  • 상기 추진위원회를 통해서 국가 감염병 R&D가 방역체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법적근거 마련 및 지원사무국 설치 추진(‘16년 하반기)
  •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매년 부처별 감염병 R&D 추진현황을 파악하여 중점분야별 성과점검 및 분석결과를 국과심에 보고하고 향후 예산배분 및 차년도 기획에 반영추진
    범부처추진위(R&D 정책수립) 국과심(심의확정) 각 부처(R&D 추진) 관리기관-질본-추진위(R&D 정보공유 및 성과확인) 질본(감염병대응체계구축)

전략 4 - 국제 협력 및 연구인프라 기반 강화

감염병 연구단계별 국제 공동연구 추진

감염병 연구단계별 글로벌 파트너링 통한 공동연구사업 강화

ODA 사업을 통해 WHO WPRO와 협력하여 감염병 R&D 추진(기초/기전, 진단, 치료/백신, 확산방지 등)

해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기구 협력 강화

신·변종 감염병 발생지역과 상시 네트워크 등의 공조체계 구축

감염병 정보, 병원체 자원 조기 확보 및 특성규명, 진단·치료기술·백신 등 평가를 위한 연구교류 활성화 및 MOU 체결

양자·다자협력을 통한 글로벌 감염병 네트워크 주도적 참여

’17. 제4차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에서 의장국으로 활동 예정 및 질병관리청가 자문위원으로 참여한 WHO R&D Blueprint 발표 예정(’16.5월)

국제백신연구소 및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간 협력체계 구축

  • 감염병 공동대응 : 국내 유입가능한 주요 감염병 발생 정보를 바탕으로 백신 공동개발(지카노로 바이러스) 등 선제적 위기관리 및 공동대응 체계 구축
  • 백신산업 글로벌화 : 우리기업에 백신생산기술을 이전하고, 세계보건기구 사전적격성 평가 인증(WHO PQ) 획득을 통해 글로벌 공공백신시장 진출을 지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