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세균) Escherichia coli (Pathogenic)
  • 작성일2019-05-30
  • 최종수정일2020-10-20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세균) Escherichia 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병원체 이미지입니다.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
asp ID#18160, NIAID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전략물자통제병원체(시가독소(Shiga toxin)을 생성하는 O26, O45, O103, O104, O111, O121, O145, O157과 시가독소를 생산하는 다른 혈청그룹의 대장균들)
• 특 성 :Enterobacteriaceae과, 그람음성, 간균, 주모(peritrichous flagella)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 있음, 포자형성 안함.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EPEC는 9시간~6일, EHEC는 2~8일, ETEC는 1~3일, EIEC는 10시간~3일
  • 패혈증, 요로감염, 위장관염, 수막염, 폐렴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함.
  • 요로 또는 위장관 감염에서 유래되어 패혈증발생하며 면역장애가 있거나 복강 및 중추신경계에 1차 감염이 있는 사람에서 사망률이 매우 높음.
  • 요로감염의 경우 특정 혈청형의 대장균에 의해서 일어나며, 방광이나 상부 비뇨기의 내벽에 결합할 수 있는 부착소와 용혈소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가 발병력이 강함. 요도 감염 후 방광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전립선 및 신장으로 이동할 수 있음.
  • K1 협막항원을 가지고 있는 혈청형은 임신여성과 신생아 위장관에 흔히 존재하지만, 생후 1달 이하의 영아에서 수막염과 같은 중추신경계 감염을 일으키기도 함.
  •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은 아래와 같이 분류됨.
    -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 EPEC):어른 및 성장한 아이는 방어면역이 유도되므로 발생이 드물고 2년 미만 특히 6개월 이하 영아에 주로 발생하며, 구토, 설사, 복통, 발열이 나타남.
    - 장독소생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ETEC):설사, 복통, 구토, 드물게 탈수로 인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 지속기간은 보통 5일 이내임.
  • 장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EHEC):가벼운 설사에서 심한 경우 출혈성 장염과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이질균이 분비하는 시가독소와 동일한 stx-1과 6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stx-2를 생성하므로 STEC(Shigatoxin producing E.coli)라고 부르기도 함.
  • 장침투성 대장균(Enteroinvasive E. coli, EIEC):발열, 복통, 구토, 수양성 설사 등이 있으며 약 10%에서는 혈성 설사가 있기도 함.

치료 및 백신

  • 치료 : 수분공급, 전해질 교정, EPEC, EIEC의 경우 tremethoprim-sulfamethoxazole, quineolones, EHEC는 용혈성요독증후군 유발 위험으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음.
  • 백신 : -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오염된 음식, 물 섭취, 분변-경구 매개체를 통한 감염, 사람-사람 간 전파에 의하여 감염됨. EHEC 대부분 소고기로 가공된 음식물, 햄버거 섭취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ETEC는 분변-경구 감염은 드묾.
    - 실험자 감염경로:우발적 섭취로 감염 가능함. 
  • 감염량 : EPEC의 경우 건강한 성인에서 106개체로 추정, EIEC는 106~1010개체, ETEC는 108개체로 추정, EHEC의 경우 10개체 섭취 시 감염 가능한 것으로 추정.
  • 숙주:사람, 소, 말, 양, 염소, 돼지, 개 닭 등(EIEC는 사람만 해당) 
  • 실험실 획득감염:EHEC는 O157에 의한 실험실 획득감염사례는 다수 보고된 바 있음.
    (출처 : Biosafety in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5th ed.)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의심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실험 후 손세척 등 개인청결 유지.
  •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yl alcohol, hypochlorite, glutaraldehyde, quaternary ammonium, phenolics,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160~170℃에서 1시간 이상 건열멸균 등
  • 숙주 외 환경저항성:EPEC 건조한 물체 표면에서 1시간 반에서 16개월까지 생존가능.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