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바이러스) Marburg virus
  • 작성일2019-05-31
  • 최종수정일2020-11-20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바이러스) Marburg virus

Marburg virus 병원체이미지입니다. 출처:CDC/ Dr. Erskine Palmer,
Russell Regnery, Ph.D

위 험 군 4위험군

국내범주 고위험병원체, 생물작용제, 전략물자통제병원체

Filoviridae, Marburgvirus, (-)ssRNA 바이러스, 숫자6 또는 U자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 피막 있음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2~21(일반적으로 5~10)

 •  마버그열(Marburg fever)을 유발함

  ∙ 갑작스러운 고열(>39), 심한 두통, 심각한 불안감과 함께 시작되며, 근육통과 통증이 일반적인 특징임. 심한 설사(1주일간 지속될 수 있음), 복통과 경련, 메스꺼움과 구토가 3일째 시작될 수 있음. 이 단계에서의 환자는 얼굴이 깊게 패이고 표정이 없으며 극도의 무기력함을 보임. 가슴, , 등을 포함한 상체에서 가려움증이 없는 반구진성 발진은 2~7일 사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남

  ∙ 5~7일 사이에 혈변, 반상출혈, 토혈 등 출혈 징후를 보이고 중추신경계 증상으로 혼란, 섬망, 과민성, 공격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쇼크 발생1)

  ∙ 치명적인 경우 간염, 심각한 체중감소, 신부전, 과다출혈,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사망함. 사망은 증상 발현 후 8~9일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함

 • 1967~2008년 사이 집단발생 건당 사망률은 24~88%로 다양

 • 마버그열에서 회복된 일부 사람들의 면역력이 강화된 부위(고환, )에서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임신 중 감염된 여성의 경우, 태반, 양수, 태아에서, 수유 중 감염된 여성에서는 모유에서 바이러스 확인이 지속될 수 있음


치료 및 백신

 • 치 료특별한 치료제나 치료방법은 없으나 수액 공급, 신장기능 유지, 체액, 전해질 균형, 산소 상태 및 혈압 유지, 소실된 혈액 보충 등 증상에 따른 치료

 • 백 신-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경로

   - 일반 감염경로감염된 동물 접촉, 감염된 사람 및 감염된 사람의 체액에 직접적인 노출 등으로 사람 간 전파 가능, 실험실에서는 흡입감염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사람 간 호흡기 매개 전파여부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음

   ※ 동물에서 사람으로의 전파 경로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2008년 우간다 여행자 감염 사례를 통해 알려진 감염된 박쥐 배설물 접촉 또는 에어로졸 흡입이 가능성 높은 감염경로로 추정됨

   - 실험자 감염경로배양액 등 감염성 물질 취급 시 발생하는 에어로졸 흡입, 손상된 피부 및 점막에 노출되거나 날카로운 도구에 찔림

  ∙ 감염량에어로졸을 통하여 1~10개로 감염 가능

  ∙ 숙주사람, 영장류, 아프리카 과일 박쥐(Rousettus aegyptiacus)

  ∙ 실험실 획득감염

   - 19678월 독일의 마버그와 프랑크푸르트,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우간다로부터 수입한 African green monkey(Cercopithecus aethiops)의 내장, 체액을 취급하고 콩팥 조직을 배양하던 중 동시에 5명의 실험실 종사자에서 급성 열성 질환이 발생하였고, 2차 감염된 의료진을 포함하여 총 31명이 감염되어 이중 7명 사망함

   - 1988년 러시아 VECTOR연구소에서 생물무기프로그램 관련 연구 중 Dr. Nikolai UstinovBL4 내에서 기니피그에 접종하던 중 실수로 주사기 바늘에 손가락을 찔림. 화학샤워 후 격리 병동에 입원해 모니터링 중 사고 발생 4일째 두통, 충혈 등 증상이 발현되었고 토혈, 혈변, 전신 출혈 등으로 악화되어 사망함. 사망 후 장기에서 보다 치명적인 새로운 strain을 분리하여 “Variant U”라고 명명함

- 1990년 러시아 VECTOR연구소에서 35세 연구원이 마버그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혈청을 취급하면서 안전관리 규정을 위반함. 혈청이 약 6개월 간 4에 보관된 것을 고려하여 감염력을 상실한 것으로 간주하여 취급하였으며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실험실 의료관계자에게 알리지 않았음. 다음 날 집에서 아내와 딸과 함께 10명의 친척을 접대하면서 긴밀한 접촉이 있었으나 다행히 감염자는 회복하였으며 그 외에는 아무도 감염되지 않았음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불활화 처리된 검체 대상 유전자검사 등 분자생물학적 검사

BL3 권장검체전처리 및 바이러스 불활화, 진단 목적의 임상검체 실험실 검사

BL4 권장바이러스 배양, 분리(isolation)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등

ABL4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개인보호구

BL2 : 평상복을 다 덮는 실험복과 장갑 착용. 에어로졸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호흡보호구 착용. 모든 감염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다루는 실험은 생물안전작업대에서 실험 수행

BL3 : 전신보호복, 2중 장갑, KF94, N95와 동급 이상의 호흡보호구, 눈보호구 (고글, 얼굴가리개 등) 착용, 의심검체 등 감염성물질을 다루는 모든 실험(특히 에어로졸 발생 가능한 모든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BL4 : 양압복 착용. 2중 장갑 착용.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조작이나 고농도, 혹은 대용량 배양액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작업

개인보호구 탈의 시 피부와 머리카락이 오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 특히 오염된 장갑, 가운, 호흡보호구 등이 얼굴에 닿지 않도록 할 것. 탈의 후 즉시 손씻기 철저히 수행

소독 및 불활성화0.5% sodium hypochlorite, 3% acetic acid, 60에서 60, 100에서 5분 가열,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자외선 조사, 감마선 조사, 1% glutaraldehyde

숙주 외 환경저항성오염된 토양에서 4~5, 액체나 건조한 물질에서 수일, 정액에서 3개월 동안 생존 가능

폐기물 처리감염성 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