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바이러스) Polio virus
  • 작성일2024-02-01
  • 최종수정일2024-02-01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바이러스) Polio virus 생물안전정보

Polio virus 병원체 이미지입니다. 출처:http://www.epa.gov/nerlcwww/polio.html F.P. Williams, U.S. EPA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Picornaviridae 과, Enterovirus 속, (+)ssRNA, 외피 없음


※ 3가지 혈청형(type 1, 2, 3)으로 구분되고 야생형 폴리오바이러스 type 2는 2015년, type 3는 2019년 WHO에 의해 박멸 선언됨. 야생형 폴리오바이러스 type 1은 아프가니스탄 및 파키스탄, 아프리카 등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됨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3~35일(비마비성 폴리오 3~6일, 마비성 폴리오 7~21일)
  • 급성 이완성 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poliomyelitis)를 유발
    • 감염자의 최대 90%는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을 경험하며 일반적으로 질병을 인식하지 못함. 초기 임상증상은 열, 피로, 두통, 구토, 변비, 목 경직, 사지 통증 등이 나타남. 대부분 불현성 감염이나 1% 미만에서 마비성 회백수염을 보임
    • 마비성 회백수염(paralytic poliomyelitis): 1% 미만, 발열, 인후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다가 1~7일간의 무증상기를 거친 후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가 나타남
    • 부전형 회백수염(abortive poliomyelitis): 감염자 24%가 발열, 두통, 인후염 등 가벼운 증세를 보이다가 대체로 1주일 내 회복
    • 비마비성 무균 수막염(nonparalytic aseptic meningitis): 약 1~5%, 발열, 두통, 인후염 증상 후 수막염 증상(목, 등, 다리 경직 등)이 2~10일간 지속 후 회복
    • 소아마비후 증후군(post polio syndrome, PPS): 소아마비성 폴리오를 앓았던 25~40%에서 15~40년 뒤 근육통과 근육 약화, 마비 증상 또는 기존 증상의 악화가 나타나기도 함. 전염성이 없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감염 후 회복 시 면역은 평생 유지되므로 재감염은 드물지만, 다른 형(type)의 바이러스 노출 시에는 해당 면역이 없으면 재감염도 가능함
    • 국내에서는 1983년 5명의 환자 보고 이후 환자 발생 없음. WHO는 2000년에 우리나라를 폴리오 퇴치 국가로 선언

치료 및 백신

  • 치료 :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증상의 완화, 회복 속도 및 급성기 마비와 같은 합병증 발생에 주의하며 대증치료. 증상이 호전된 후에는 치유되지 않는 마비에 대한 재활치료
  • 백신 : 주사용 불활화백신(inactivated polio vaccine, IPV)과 경구용 약독화 백신(oral polio vaccine, OPV)이 있음. 국내에서는 주사용 IPV를 사용하고 있음
  • 주사용 불활화 백신(IPV): 불활화 폴리오바이러스 1, 2, 3형 포함. 백신유래 폴리오바이러스 (vaccine-derived poliovirus, VDPV) 및 백신연관 마비성 폴리오(vaccine-associated paralytic polio, VAPP)를 유발하지 않으며, 경구용 약독화 백신(OPV)보다 안정적임
  • 경구용 약독화 백신(OPV): 1960년에 Sabin에 의해 개발됨. 불활화 백신에 비해 투여가 쉽고 생산 비용이 저렴함. 백신접종 이후 최대 6주까지 대변으로 바이러스 배출이 가능함. 일부 면역결핍환자에서는 더 오랜 기간 배출되기도 함
    ※ 접종 이후 백신연관 마비성 폴리오(vaccine-associated paralytic polio, VAPP)가 발생할 수 있음. OPA 270만 도즈(dose) 접종 당 1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분변­경구 또는 경구-경구 경로로 전파됨. 드물게 분변에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서도 전파 가능함. 위생 환경이 잘 정비된 나라에서는 인두, 후두 감염물로 전파
    ※ 증상 발생일 11일 전부터 6주까지 전파 가능
    - 실험자 감염경로:우발적 섭취 및 접종으로 인하여 감염 가능함
  • 감염량 : 소아에서 WPV type 1 섭취에 의한 감염 용량은 2 pfu (출처: Handling infectious agents. J Am Vet Med Assoc. 1972;161:1557-1567)
  • 숙주:사람이 유일한 숙주임
  • 실험실 획득감염:백신이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전에는 실험실 또는 백신생산시설에서의 폴리오 바이러스 감염이 잦았음. 1988년 Global Polio Eradication Initiative(GPEI) 이후 30년간 7건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백신생산시설 내에서 발생함
    (출처: Facility-Associated Release of Polioviruses into Communities—Risks for the Posteradication Era. Emerg Infect Dis. 2019 Jul; 25(7): 1363–1369.)
    - 1933년 미국, 29세 의사가 폴리오 연구 중 macaque 원숭이에 물렸는데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의사는 후에 마비를 겪었고 사망함
    (출처: Acute ascending myelitis following a monkey bite, with the isolation of a virus capable of reproducing the disease. J Exp Med. 1934;59:115-36)
    - 1941년 미국, 실험실 연구원이 원숭이 접종을 준비하면서 감염된 조직을 취급한 후 마비 증상을 겪음. 거주지나 여행한 지역에서 소아마비 보고가 없었으므로 실험실 감염으로 추정되었음
    (출처: Poliomyelitis in a laboratory worker exposed to the virus. Science. 1941;94:113-4)
    - 1949년 미국, 실험실에서 마우스에 WPV2(mouse-adapted Lansing strain)를 접종하는 동안 눈과 코에 감염되어 마비 증상을 보임
    (출처: Laboratory infection with the Lansing virus [in German]. Zentralblatt fur Bakteriologie, Parasitenkunde. Infektionskrankheiten und Hygiene. 1949;153:269-73)
    - 1954년 영국, 연구원이 WPV2(MEF-1)에 감염된 동물을 부검하던 중 피부 접종을 통해 감염되었으며 마비증상이 있었으나 사망하지는 않았음
    (출처: Accidental inoculation with poliomyellitis virus. Lancet. 1955;268:702-3)
    - 1955년 미국 백신생산시설에서 폴리오 바이러스 백신 생산과정 중 포름알데히드로 불활화하는 과정이 부적절하여 약 4만명의 어린이가 근육약화, 이중 51명은 마비를 보이고 5명은 사망함. 2차 노출로 113명의 어린이가 마비, 이중 5명은 사망함
    (출처: The Cutter incident: poliomyelitis following formaldehyde-inactivated poliovirus vaccination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spring of 1955. II. Relationship of poliomyelitis to Cutter vaccine. Am J Hyg. 1963;78:29-60)
    - 1992년 네덜란드 백신생산시설에서 근무하는 아버지가 WPV2(Mahoney strain)에 우발적으로 노출되었고 19개월 아들이 감염됨. 아들은 호흡곤란 증상은 있었지만 마비는 없었음. 바이러스 분리 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동일 균주에 감염되었음을 확인함
    (출처: Genetic analysis of Wild-type poliovirus importation into the Netherlands(1979-1995). J. Infect Dis. 1997;176:617-24)
    - 2017년 네덜란드 백신생산시설에서 노출된 직원 2명 중 1명이 RT-PCR 양성 반응이 확인됨. 백신 생산실에서 튜브가 분리되면서 에어로졸화된 고농도의 WPV2(MEF-1 strain)이 유출됨. 한 사람은 4주간 바이러스를 배출하였고 다른 한 사람은 인후 검체와 대변 샘플에서 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되지 않았음. 급성 이완성 마비나 2차 확산은 없었음
    (출처: Response to a wild poliovirus type 2 (WPV2)-shedding event following accidental exposure to WPV2, the Netherlands, April 2017. Euro Surveill. 2017;22:30542)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의심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구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바이러스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 소독 및 불활성화 : 0.63% sodium hypochloriteDecontamination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solutions for poliovirus. Biologicals. 2020. Aug 14;S1045-1056(20)30087-7, 50℃ 이상의 온도로 가열, 고압증기멸균 등 부록 2(멸균 및 소독) 참고
    ※ 알코올이나 크레졸 등 일반적인 소독제 사용은 권고하지 않음
  • 숙주 외 환경저항성:실험실 환경에서 안정하며, 동결온도에서 수년간, 냉장에서 수개월, 실온에서 수일에서 수 주간 생존 가능함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