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감염병위기관리
- 작성일2019-06-10
 - 최종검토일2025-08-08
 - 담당부서위기관리총괄과
 - 연락처043-719-9082
 
detail content area
감염병 위기관리 기본방향
목표
- 감염병 재난에 대한 예방 및 대비 태세를 사전에 구축하고 감염병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통하여 위기상황 조기 종식 유도
 
방침
- 감염병 재난 발생에 대한 대비태세 확립
 - 감염병 재난 발생 시 효과적 대응 및 추가 확산 차단
 - 신속·정확·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국민 불안 해소
 
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위기경보 '주의' 이상)
・원인불명 및 재출현 감염병 유행·확산 시
・과거 운영 사례(최근 5년간) :
- 메르스 대응 중앙방역대책본부('18.9.9.~'18.9.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중앙방역대책본부('20~'24.4.)
- 엠폭스 대응 중앙방역대책본부('22.6.22.~'23.2.20. , '23.4.13.~'23.9.6.)
위기경보 수준
관심(Blue)
- 위기유형
- 해외에서의 신종감염병의 발생 및 유행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발생
 
 - 주요 대응 활동
- 필요시 감염병별 대책반 운영(질병관리청)
 - 위기징후 모니터링 및 감시 강화
 - 대응 역량 정비
 - 필요시 현장 방역 조치 및 방역 인프라 가동
 
 
주의(Yellow)
- 위기유형
- 해외 신종감염병의 국내 유입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제한적 전파
 
 - 주요 대응 활동
- 중앙사고수습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 질병관리청) 설치·운영
 - 유관기관 협조체계 가동
 - 현장 방역 조치 및 방역 인프라 가동
 - 모니터링 및 감시 강화
 
 
경계(Orange)
- 위기유형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제한적 전파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 주요 대응 활동
- 중앙사고수습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 질병관리청) 운영 지속
 - 중앙사고수습본부(복지부) 설치・운영
 - (행안부) 범정부 지원본부 운영 검토
 - 필요 시 총리주재 범정부 회의 개최
 -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 방역 및 감시 강화 등
 
 
심각(Red)
- 위기유형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전국적 확산
 
 - 주요 대응 활동
- 범정부적 총력 대응
 - 필요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 다만, 감염병의 특성, 유행상황, 대응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기 유형헤도 불구하고 하향되는 체계에서 대응이 가능하다고 상황판단회의(자체위기평가회의)에서 판단하는 경우 하향 조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