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감염병위기대응
- 작성일2019-06-10
- 최종수정일2021-02-25
- 담당부서위기대응총괄과
- 연락처043-719-9082
detail content area
감염병 위기관리 기본방향
목표
- 감염병 재난에 대한 예방 및 대비 태세를 사전에 구축하고 감염병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통하여 위기상황 조기 종식 유도
방침
- 감염병 재난 발생에 대한 대비태세 확립
- 감염병 재난 발생 시 효과적 대응 및 추가 확산 차단
- 신속·정확·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국민 불안 해소
긴급상황실 확대가동

・원인불명 및 재출현 감염병 유행·확산 시
・과거 운영 사례 (최근 5년간)
- 동물인플루엔자(’16∼)
- 에볼라바이러스병(’18.5.19.∼’21.1.18),(’21.2.15∼현재)
- 페스트(’17)
- 메르스 대응 중앙방역대책본부(’15∼)
- 코로나19 대응 중앙방역대책본부(’20∼) 과거 운영 사례 ・지카바이러스 대책반(’16)
・중앙AI인체감염 대책반(‘17)
・평창동계올림픽 노로바이러스 감염대책반(‘18)
・메르스 중앙방역대책본부(‘18)
위기경보 수준
관심(Blue)
- 위기유형
- 해외에서의 신종감염병의 발생 및 유행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발생
- 주요 대응 활동
- 감염병별 대책반 운영(질병청)
- 위기징후 모니터링 및 감시 대응 역량 정비
- 필요 시 현장 방역 조치 및 방역 인프라 가동
주의(Yellow)
- 위기유형
- 해외에서의 신종감염병의 국내 유입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제한적 전파
- 주요 대응 활동
-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청) 설치・운영
- 유관기관 협조체계 가동
- 현장 방역 조치 및 방역 인프라 가동
- 모니터링 및 감시 강화
경계(Orange)
- 위기유형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제한적 전파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 주요 대응 활동
-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청) 운영 지속
- 중앙사고수습본부(복지부) 설치・운영
- (행안부) 범정부 지원본부 운영 검토
- 필요 시 총리주재 범정부 회의 개최
-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 방역 및 감시 강화 등
심각(Red)
- 위기유형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
- 국내 원인불명・재출현 감염병의 전국적 확산
- 주요 대응 활동
- 범정부적 총력 대응
- 필요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