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연구개발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배경

최근 MERS 등 감염병 위기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위기관리메뉴얼 및 신속한 현장대응체계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

필요성

감염병 대유행 발생 시, 추가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 및 매뉴얼, 재난대비 전문인력 및 교육 필요

국내ㆍ외 현황

국내외현황-감염병 재난 대비 및 관리, 국내, 국외
감염병 재난 대비 및 관리
  • 재난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재난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수있는 것임
    •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국제재난 경감전략기구(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UNISDR)와 벨기에 재난 역학 연구센터(Center for Research on Disaster Epidemiology,CRED)의 정의를 차용하여, 피해지역이나 사회가 자체 자원으로 대처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광범위한 인적, 물적, 경제적,환경적 손실로 인한 사회기능의 마비 혹은 지역적 수용능력을 넘어서 국가적 또는 국제적 수준의 외부도움이 필요한 상황 또는 사건으로 정의
  • 재난의 분류는 통상적으로 재난을 일으킨 원인에 따라 1.자연 재난 2.인위재난 두가지로 분류 가능하며, 한국의 감염병 재난은 전세계적 감염병 재난의 분류 기준과 다리 사회재난으로 분류
국내
  • 국내에서는 법정감염병과 관련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나 병원 정보 시스템과 별개의 채널인 감염병감시시스템에 수동으로 입력하는 번거로움있음
  • 신종플루 이후 비축물자의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있었으나 연속성을 가지지 못해 유의미한 성과는 없었음
    • 연구가 일회성,단발성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가 사장되는 경우도 발생함
  • 감염병 대응인력이 부족하며 감염병 재난 발생시 활용 가능한 현장 대응 SOP, 전반적 보호 SOP, 구성인원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이 마련되지 않아 실질적인 대응 능력이 부족함
    • 지자체와 의료기관에서 신종감염병에 대한 대응 및 관리 역량이 아직 부족함
해외
  • 해외 선진국에서는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감염병 대응 인력 프로그램 및 양성에 힘을 쏟고 있음
    • 유럽:ECDC는 TESSy를 통해 자료를 수집, 검증,정리,분석함
    • 싱가포르:RAHS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감염병에 대한 미리 감지하고 예측함
  • 또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감염병 대응 인력 프로그램 및 양성에 힘을 쏟고있음
  • 미국,독일,프랑스,일본 4개국의 감염병 관리기구는 중앙과 지방의 보건당국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력과 기술을 지원하고 있음
  • 미국의 공공 및 민간 병원의 경우 감염관리에 대한 병원의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음

기술현황

  • 기존 질환중심의 감시체계 운영 개선중이나 전체 감염병 감시 통합운영 및 고도화 필요
  • 위기대응을 위한 사전감시시스템 및 예측모델 등은 미흡

감염병 재난 대비 및 관리 투자현황(‘11-‘15)

감염병 재난 대비 및 관리 투자현황(‘11-’15) 그래프, 자세한 내용은 하단 표 참고

단위 : 백만원

감염병 재난 대비 및 관리 투자현황(`11-`15) - 2011~2015년도, 합계, 비고로 안내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비고
8-1 - - - 76 651 727 감염병 사전 및 지역별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예측 모델 개발
8-2 - - - - - - 국가 재난 대비 의약품/의료자원의 전략적 비축을 위한 연구
8-3 - 258 - 88 75 421 감염병 재난 현장요원 보호기술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8-4 - - - 300 - 300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한 부처·지자체·민간과의 협력 인프라구축
8-5 - - - - - - 감염병 재난 대응통합 상황실(EOC) 운영체계확립 및 의사 지원 정보시스템 개발
8-6 - - - - - -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을 위한대국민 위험소통 방안 연구
8-7 - - 110 110 - 230 감염병 권역별 고위험병원체에 대한 검사 역량 확보 방안
8-8 113 113 113 113 120 574 감염병 연구를 위한 연구자원 및 정보 인프라 구축

중점기술로드맵

(전략목표) 국가 감염병 대비·대응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재난 대응 인프라 구축

기술 로드맵-중점기술,1단계(`17~`19),2단계(`20~`21),전략목표,참여부처
중점기술 1단계(`17~`19) 2단계(`20~`21) 전략목표 참여부처
8.1 감염병 사전 및 지역별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예측 모델 개발 통합 감시시스템 구축 감시시스템 고도화 및 예측시스템 개발 감염병 사전 및 실시간 발생 모니터링 모델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식품부,
복지부,
환경부,
안전처,
식약처
8.2 국가 재난 대비 의약품/의료자원의 전략적 비축을 위한 연구 비축방안 마련 기획(안)구축 비축품목 활용 기반 구축 재난 대비 의약품, 의료자원의 전략적 비축 및 활용방안 마련
8.3 감염병 재난 현장요원 보호기술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호장비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보호 장비 실용화 현장 요원 교육 및 보호장비 개발을 통한 현장 대응 역량 확보
8.4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한 부처·지자체·민간과의 협력 인프라구축 협력 네트워크 설계 방안 마련 협력 대응 메뉴얼 개발 부처, 지자체, 민간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8.5 감염병 재난 대응통합 상황실(EOC) 운영체계확립 및 의사 지원 정보시스템 개발 재난 대응 상황실 운영 방안 수립 통합 상황실 건립 및 정보 시스템 개발 재난 대응 통합 상황실 운영체계 확립 및 정보 시스템 개발
8.6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을 위한대국민 위험소통 방안 연구 위기소통 메뉴얼 구축 수립된 메뉴얼 현장 적용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을 위한 소통 시스템 구축
8.7 감염병 권역별 고위험병원체에 대한 검사 역량 확보 방안 병원체 운영 방안 수립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고위험병원체 수립 및 교육 프로그램 활용 고위험병원체 시설 인프라 활용도 및 검사 역량 제고
8.8 감염병 연구를 위한 연구자원 및 정보 인프라 구축 검체 확보 및 정보 공유 기반 구축 확보된 검체 분석 및 정보 활용도 제고 연구자원 및 정보 인프라 구축을 통한 국내 연구 수준 제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