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단기 대량 검사 위한 '취합검사법' 프로토콜 제작
  • 작성일2020-04-09
  • 최종수정일2020-06-1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검사총괄팀
  • 연락처043-719-7848

코로나19 단기 대량 검사 위한 '취합검사법' 프로토콜 제작


질병관리본부대한진단검사의학회, 감염 위험군 대상 대규모 선별 검사 가능한 취합(Pooling)검사 프로토콜 공동마련

다수 검체 한 번에 혼합, 검사하는 방법으로, 높은 민감도유지 확인

환자진료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감염위험군의 선별검사 목적으로 한정하여 사용할 예정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이사장 권계철)은 여러 사람의 검체를 취합 한 번에 검사함으로서, 감염여부를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취합검사법(Pooling) 프로토콜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취합검사법은 여러 명의 검체를 혼합, 1개 검체로 만들어 검사하고 양성 시, 남은 검체로 개별 재검사 하는 방식으로, 증상은 없으나 감염 예방을 위해 주기 검사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원자 등 감염 위험군에서 감염 선별에 유용하다.


 ○ 본 프로토콜은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소속 3개 의료기관이 협업하여 650회 평가 시험을 거쳐 우리나라 실험 상황에 맞게 제작되었으며,


   - 프로토콜 적용 시 10개 검체를 혼합하여 시험하여도 개별 검체 대비 96% 이상 민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 현재 취합검사법은 빠르고 대량의 검사를 위해 외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세계적 의학전문지인 미국 의학회지(JAMA)에도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개 된 바 있다


   * 주요내용 : 한번에 10개의 검체를 혼합하는 pooling 법으로 바이러스 검출 문제 없음


   * JAMA Published online April 6, 2020,  Sample Pooling as a Strategy to Detect Community Transmission of SARS-CoV-2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권계철 이사장은 “취합검사법은 코로나19 확인 검사로는 사용되지 않고, 증상이 없는 감염위험군의 질병감시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환자진료 정확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하면서,


 ○ “드러나지 않은 지역사회 환자발견으로 질병예방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