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4월 13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04-13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팀
  • 연락처043-719-906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4월 13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4월 13일 0시 현재, 총 누적 확진자수는 10,537명(해외유입 929명*(내국인 91.6%))이며, 이 중 7,447명(70.7%)이 격리해제 되었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25명이고, 격리해제는 79명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격리 중 환자는 감소하였다.


    * 조사가 완료되어 해외유입으로 확인된 사례


<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 (4.13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4. 12.()

0시 기준

514,621

10,512

7,368

2,930

214

13,788

490,321

4. 13.()

0시 기준


518,743


10,537

7,447

2,873

217

13,391

494,815

변동

(+)4,122

(+)25

(+)79

(-)57

(+)3

(-)397

(+)4,494


    ○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지역별 확진자 현황 (4.13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검역

격리중

2,873

394

20

1,277

48

8

16

7

24

313

20

14

30

9

9

267

31

7

379

격리해제

7,447

214

103

5,395

39

19

23

33

22

305

28

31

109

8

6

1,020

84

5

3

사망

217

2

3

147

0

0

0

1

0

13

1

0

0

0

0

50

0

0

0

합계

10,537

610

126

6,819

87

27

39

41

46

631

49

45

139

17

15

1,337

115

12

382

신규

25

8

0

3

1

0

0

0

0

3

0

0

0

0

0

4

0

0

6

해외유입(잠정)

16

7

0

0

1

0

0

0

0

2

0

0

0

0

0

0

0

0

6

지역발생(잠정)

9

1

0

3

0

0

0

0

0

1

0

0

0

0

0

4

0

0

0

* 4120시부터 413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신고내역을 해외유입과 이외의 경우로 구분하여 잠정수치를 제시.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전국적으로 약 81.5%는 집단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기타 조사·분류중인 사례는 약 9.7%이다.


지역

확진환자

주요 집단 발생 사례

누계

해외 유입

집단 발생 관련

기타*

신규

소계

신천지 관련

집단

발병

확진자 접촉자

해외 유입 관련

서울

610

233

355

8

262

18

67

22

8

구로구 콜센터 관련(98), 동대문구 동안교회-PC방 관련(20), 만민중앙교회 관련(41)

부산

126

16

81

12

50

18

1

29

0

온천교회 관련(39), 수영구 유치원 관련(5)

대구

6,819

14

6,088

4,508

653

923

4

717

3

제이미주병원 관련(191), 한사랑요양병원 관련(126), 대실요양병원 관련(98), 파티마병원 관련(36)

인천

87

36

47

2

34

5

6

4

1

구로구 콜센터 관련(20)

광주

27

11

16

9

0

1

6

0

0

 

대전

39

9

21

2

11

8

0

9

0

산림기술연구원 관련(3)

울산

41

10

24

16

1

4

3

7

0

 

세종

46

3

42

1

38

3

0

1

0

해양수산부 관련(30), 운동시설 관련(8)

경기

631

143

442

29

302

58

53

46

3

성남 은혜의강 교회 관련(72), 구로구 콜센터-부천 생명수교회 관련(48), 의정부성모병원(42)

강원

49

12

30

17

13

0

0

7

0

원주시 아파트 관련(3) 의정부성모병원(8)

충북

45

5

32

6

18

6

2

8

0

괴산군 장연면 관련(11)

충남

139

10

120

0

118

1

1

9

0

천안시 등 운동시설 관련(103), 서산시 연구소 관련(9)

전북

17

8

4

1

3

0

0

5

0

 

전남

15

7

7

1

3

2

1

1

0

만민중앙교회(2)

경북

1,337

9

1,194

566

436

191

1

134

4

청도 대남병원 관련(120), 봉화 푸른요양원(68), 성지순례 관련(49), 경산 서요양병원 관련(65)

경남

115

14

84

32

45

6

1

17

0

거창교회 관련(10), 거창군 웅양면 관련(8), 윙스타워 관련(10)

제주

12

7

1

0

0

0

1

4

0

 

검역

382

382

0

0

0

0

0

0

6

 

합계

10,537

929

8,588

5,210

1987

1,244

147

1,020

25

 

(8.8)

(81.5)

(49.4)

(18.9)

(11.8)

(1.4)

(9.7)

신고사항 및 질병관리본부 관리시스템에서 관리번호가 부여된 자료를 기준으로 함.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 시도단위에서 자체 집계한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고, 이후 역학조사 진행 등에 따라 변경 가능

* 기타는 개별사례, 조사 후 연관성 분류가 진행 중인 사례, 조사 중인 사례 등을 포함


 ○ 최근 2주간* 전파 경로는 해외유입 433명(49.4%), 해외유입 관련 64명(7.3%), 병원 및 요양병원 등 241명(27.5%), 그 외 집단발생 81명(9.2%), 선행확진자 접촉 29명(3.3%), 조사 중 24명(2.7%) 등 이다.


    * 3월 30일 0시부터 4월 13일 0시 전까지 2주간 신고된 876명


  - 어제 신규로 확인된 해외유입 환자는 16명이며, 유입 국가(지역)은 미주 12명, 유럽 3명, 기타 1명 이었다.


 < 해외유입 환자 현황(4.13 0시 기준) >


구분

합계

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중국 외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6

0

1

3

12

0

6

10

13

3

누계

929

16

100

421

389

3

376

536

835

78

(1.7%)

(10.8%)

(45.3%)

(41.9%)

(0.3%)

(41.1%)

(58.9%)

(91.6%)

(8.4%)


  * 지자체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대구 달성군 소재 의료기관(제이미주병원)에서는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중인 환자 및 직원(137명)에 대해 실시한 전수검사에서 1명(환자)이 추가로 확진되어 3월 26일부터 현재까지 191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다.


     * 환자 177명, 직원 14명


  - 경기 의정부시 소재 의료기관(의정부성모병원)과 관련하여 격리 중이던 3명(환자 1, 환자 보호자 1, 기타 접촉자 1)이 추가로 확진되어 3월 29일부터 현재까지 62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다


     * 환자 22명, 직원 16명, 환자 보호자 및 기타 접촉자 24명


  - 경북 예천군에서는 접촉자 조사 과정에서 3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4월 9일부터 현재까지 14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다.     (2페이지 표의 환자수는 4.13일 0시 기준으로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해외유입 환자와 해외유입으로 인한 전파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자가격리 지침 준수를 당부하였다.


 ○ 자가격리 중에는 가족 간 전파를 막기 위해 개인물품을 사용하면서 가족 또는 동거인과 접촉하지 않는 등 자가격리 지침을 준수하여야 한다.


 ○ 자가격리대상자의 동거 가족들도 자가격리대상자와 생활용품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손길이 많이 닿는 곳의 표면은 자주 닦으며, 최대한 자가격리대상자와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들어 확진환자수는 감소하였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면 밀폐된 환경과 밀접한 접촉으로 인한 대규모 유행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 대규모 유행 발생시 의료시스템이 붕괴되고 고위험군 사망자가 증가하는 문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는 무증상 또는 경증으로 개개인이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초기에 전염력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어,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국민행동지침’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 사람간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고, 손씻기를 철저히 하고, 밀폐‧밀집 장소 방문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출근‧외출을 하지 않으면서 선별진료소에서 진단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젊은 연령층은 유흥주점, 클럽, 카페 등 밀폐된 공간을 피하고, 밀접한 접촉을 하는 모임 자제를 당부하였다.


 ○ 특히, 지난 주말 동안 사전투표ㆍ부활절 등으로 인해 사람 간 접촉이 증가하여 감염전파의 우려가 커졌다고 평가하며, 이번 주 중 코로나19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될 경우 의료진이 적극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에 환자를 발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국민 행동 지침]

 

불요불급한 외출, 모임, 외식, 행사, 여행 등은 연기하거나 취소하기

* 해외에서 식사 시 감염사례 다수 보고되어, 특히 식사를 동반하는 행사·모임은 연기하거나 취소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있으면 출근하지 않고 집에서 충분히 휴식하기

 

생필품 구매, 의료기관 방문, 출퇴근을 제외하고는 외출 자제하기

 

다른 사람과 악수 등 신체 접촉 피하고, 2m 건강거리 두기

 

손씻기, 기침예절개인위생수칙 준수하기

 

매일 주변 환경을 소독하고 환기시키기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보도 준칙 [한국기자협회]
           4. 코로나19 심각단계 행동수칙


<별첨> 1.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
           2. 코로나19 예방수칙
           3. <입국자> 코로나19 예방주의 안내
           4.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5. 자가격리환자 생활수칙
           6. <확진자>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7. <격리자>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8. 마스크 착용방법
           9. 마음 가까이 두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