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5월 11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05-11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팀
  • 연락처043-719-906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5월 11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5월 11일 0시 현재, 신규 확진자가 35명 발생하여 총 누적 확진자수는 10,909명(해외유입 1,133명*(내국인 90.4%))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2명으로 총 9,632명(88.3%)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1,021명이 격리 중이다.


    * 조사가 완료되어 해외유입으로 확인된 사례


<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 (5.1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5. 10.()

0시 기준

663,886

10,874

9,610

1,008

256

10,128

642,884

5. 11.()

0시 기준

668,492

10,909

9,632

1,021

256

10,922

646,661

변동

(+)4,606

(+)35

(+)22

(+)13

0

(+)794

(+)3,777


    ○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지역별 확진자 현황 (5.1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검역

격리중

1,021

136

13

365

22

0

2

5

2

125

11

10

9

5

4

85

7

1

219

격리해제

9,632

545

125

6,318

82

30

38

38

45

557

41

42

134

14

12

1,228

110

13

260

사망

256

2

3

178

0

0

1

1

0

16

2

0

0

0

0

53

0

0

0

합계

10,909

683

141

6,861

104

30

41

44

47

698

54

52

143

19

16

1,366

117

14

479

신규

35

20

0

0

3

0

0

0

1

4

1

3

0

0

0

0

0

0

3

해외유입(잠정)

6

0

0

0

1

0

0

0

1

0

1

0

0

0

0

0

0

0

3

지역발생(잠정)

29

20

0

0

2

0

0

0

0

4

0

3

0

0

0

0

0

0

0

* 5100시부터 511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신고내역을 해외유입과 이외의 경우로 구분하여 잠정수치를 제시.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5월 11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35명 중 해외유입은 6명이며, 지역사회 발생은 29명이었다.


 ○ 해외 유입 확진자의 추정 유입국가는 미주 2명, 유럽 1명, 아프리카 1명( 탄자니아), 기타 2명( 아랍에미리트 1명, 쿠웨이트 1명) 이다.


 < 해외유입 환자 현황(5.11 0시 기준) >


구분

합계

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중국 외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호주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6

0

2

1

2

1

0

3

3

6

0

누계

1,133

19

156

463

487

7

1

479

654

1024

109

(1.7%)

(13.8%)

(40.9%)

(43.0%)

(0.6%)

(0.1%)

(42.3%)

(57.7%)

(90.4%)

(9.6%)


  * 지자체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국내 지역사회 발생은 29명(5.11일 0시 기준)이며, 모두 이태원 클럽 집단발생 관련 확진자이다.


  - 이태원 클럽을 방문한 사람 중 20명, 확진자 접촉자 9명이 추가로 확인되어 총 2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 5.11일 12시까지 추가로 1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환자는 86명*이다. 추가 접촉자 파악과 감염원에 대한 역학조사가 계속 진행 중이다.


     * (지역별) 서울 51, 경기 21, 인천 7, 충북 5, 부산 1, 제주1

       (감염경로별) 이태원 클럽 방문 63명, 가족, 지인, 동료 등 접촉자 23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월 24일부터 5월 6일까지 서울 이태원 소재 유흥시설(클럽‧주점 등)을 방문하신 분은 노출 가능성이 높으므로 ① 외출을 자제하고 자택에 머무르면서,

② 관할 보건소나 1339에 문의하여, ③ 증상에 관계없이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요청하였다.


  - 지자체와 의료기관의 선별진료소에서도 방문 시설의 종류나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적극적으로 진단검사를 실시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개정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제8판)’을 오늘부터 시행한다.


 ○ 사례정의 중 코로나19 임상증상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고, 다음의 조사대상 유증상자는 적극적인 검사를 하도록 권고하였다.


   * 발열,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또는 폐렴 등


  - 가족(동거인) 또는 동일시설 생활자가 코로나19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


  - 해외에서 입국한지 14일 이내의 가족(동거인), 친구, 지인과 접촉한 경우


  - 지역사회 유행 양상 고려하여 확진자가 발생한 기관 또는 장소 방문력이 있는 경우


 ○ 또한, 유증상 확진환자 격리해제시 최소한 경과기간을 추가*하였다.


   * (기존) 임상기준과 검사기준이 충족되면 격리해제  →  (변경) 발병 후 7일이 경과하여 임상기준과 검사기준이 충족되면 격리해제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집단시설‧다중이용시설 소독 안내(제3-2판)’을 개정‧배포하였다. 


 ○ 초음파, 고강도 UV 조사, LED 청색광 등을 적용하는 대체 소독방법은 효과 검증이 안되었고, 피부‧호흡기를 자극하거나, 눈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 미국 CDCWHO에서 권고하지 않음


 ○ 또한 야외에서 무분별한 소독제 살포는 효과의 과학적 근거가 없고, 과다한 소독제 사용시 건강문제 및 환경오염 유발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 실내에서는 손이 빈번하게 접촉하는 표면*을 차아염소산나트륨(일명 가정용 락스) 희석액 등의 소독제로 자주 닦아줄 것을 권고하였다.


   * 엘리베이터 버튼, 손잡이 레일, 문 손잡이, 팔걸이, 등받이, 책상, 조명 조절 장치, 키보드, 스위치, 블라인드 등 사람과 접촉이 많은 곳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지역사회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최근 2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4월 27일 0시부터 5월 11일 0시까지 신고된 171명) : 해외유입 87명(50.9%), 지역집단발병 73명(42.7%), 조사중 7명(4.1%) 등


 ○ 클럽 등의 유흥시설은 지난 5월 8일 내려진 행정명령에 따라 운영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불가피한 운영 시에는 방역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별 지자체에서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집합금지 등 추가적인 조치가 이뤄진 경우 이를 따라야 한다.


   * 입장 후에도 음식물 섭취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마스크 착용, 방역관리자 지정, 출입자 명단 작성시 신분증 확인 등 ☞ 미준수시 처벌 및 확진자 발생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음 


 ○ 일반 국민들은 개인방역 5대 기본수칙을 준수하고, 유흥시설(클럽‧주점) 등 사람들이 많이 모여 밀접한 접촉을 하는 실내 밀폐 시설에 대한 방문 자제를 요청하였다.


<개인방역 5대 기본수칙>

아프면 34일 집에 머물기, 두 팔 간격 건강 거리 두기,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 매일 2번 이상 환기와 주기적 소독, 거리는 멀어져도


 ○ 발열,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외출‧출근을 하지 말고 집에 머물며 3~4일 휴식하고, 38도 이상 고열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해지면 콜센터(1339, 지역번호+120)나 보건소에 문의하여 진료‧검사를 받을 것과, 의료기관도 환자가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를 시행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또한, 가족이나 본인이 속한 집단에서 2명 이상의 코로나19 의심 유증상자가 발생할 경우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4. 코로나19 보도 준칙 [한국기자협회]


<별첨> 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2.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4.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5.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6. <입국자> 코로나19 예방주의 안내
           7.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8. 자가격리환자 생활수칙
           9. 마음 가까이 두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