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흡연, 음주 감소했지만 지역 간 격차 해소 노력 필요
  • 작성일2020-05-21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만성질환관리과
  • 연락처043-719-7385

흡연, 음주 감소했지만 지역 간 격차 해소 노력 필요


-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


흡연, 음주 지표는 개선되었으나,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커

* 지역 간 격차는 지역별로 산출한 지표값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이며, 지표별로 ( )안에 %p로 표기함

- 남자 현재흡연율: ’1840.6%(30.7%p) ’1937.4%(33.8%p)

- 고위험음주율: ’1815.0%(18.0%p) ’1914.1%(19.0%p)

- 걷기 실천율: ’1842.9%(70.4%p) ’1940.4%(58.0%p)

- 건강생활실천율: ’1830.7%(54.5%p) ’1928.4%(45.1%p)

- 비만유병률: ’1833.8%(25.5%p) ’1934.6%(20.6%p)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5월 22일(금)「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를 발표하고, ‘2008-2019년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를 발간하였다.


 ○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보건법 제4조에 근거하여 전국 255개 보건소가 주민건강실태 파악을 위해 2008년부터 만19세 이상 대상으로 보건소 당 약 9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8-10월에 조사하는 법정조사이다.


   - 이 조사를 통해 시‧군‧구 단위 건강통계와 지역 간 비교통계를 생산하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주요 지표별 2019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는 표준화 인구로 보정한 표준화율1)이며, 전국 대푯값은 시구 중앙값2)

1) 연도 및 지역 간 인구구성 차이에 따른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표준인구(2005년 추계인구, 통계청)로 보정

2) 지역별로 산출한 지표결과를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였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

????그래프에 제시된 파란색 막대는 연도별 시구 간 격차(%p)를 나타내며, 막대 상단은 최댓값(%)이고 막대 하단은 최솟값(%)


 ○ (현재흡연율) 일반담배 현재흡연율은 ’19년 20.3%로 감소 추세이며, 특히 남자의 경우 ’19년 37.4%로 전년대비 3.2%p 감소하였다.


   - 지역 간 격차는 남자 흡연율의 경우 33.8%p로 전년(30.7%p) 대비 증가하였고, 최근 3년 간 지속 증가경향으로 나타났다.



<현재흡연율, 남자 현재흡연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음주율) 월간음주율은 ’19년 59.9%로 전년대비 1.0%p 감소하였고, 고위험음주율도 ’19년 14.1%로 전년대비 0.9%p 감소하였다.


   - 지역 간 격차는 월간음주율의 경우 26.1%p, 고위험음주율은 19.0%p로 전년(월간음주율 25.7%p, 고위험음주율 18.0%p)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월간음주율, 고위험음주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걷기실천율) ’19년 40.4%로 전년대비 2.5%p 감소하였고, 지역 간 격차는 58.0%p로 전년(70.4%p)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건강생활실천율) 금연, 절주, 걷기 등 3종의 건강행태를 모두 실천한 건강생활실천율은 ’19년 28.4%로 전년대비 2.3%p 감소하였고, 지역 간 격차는 45.1%p로 최근 3년만에 다시 감소하였다.




<걷기실천율, 건강생활실천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비만유병률) ’19년 34.6%로 전년대비 0.8%p 증가하였고, 지역 간 격차는 20.6%p로 전년(25.5%p)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관적 건강인지율) ’19년 41.3%로 전년대비 1.1%p 감소하였으며, 지역 간 격차는 38.6%p로 전년(36.8%p) 대비 증가하였다.



<비만유병률, 주관적 건강인지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정신건강) 우울감 경험률은 ’19년 5.5%로 전년대비 0.5%p 증가하였고, 스트레스 인지율은 ’19년 25.2%로 전년대비 1.2%p 감소하였다.


   - 지역 간 격차는 우울감 경험률의 경우 10.5%p, 스트레스 인지율은 26.4%p로 전년(우울감 11.7%p, 스트레스 29.8%p) 대비 감소하였다.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인지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율)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은 ’19년 61.7%로 전년대비 7.5%p 증가하였고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도 ’19년 56.9%로 전년대비 6.8%p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추세였다.


   - 지역 간 격차는 뇌졸중(중풍)의 경우 52.3%p로 전년(68.4%p) 대비 감소하였고, 심근경색증도 58.1%p로 전년(70.5%p)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17-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자석 착용률은 ’19년 89.7%로 지속 증가 경향이었으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28.4%로, 안전벨트 전좌석 의무화가 ‘18년 9월부터 시행된 점을 고려 시 여전히 낮았다.


  - 지역 간 격차는 운전자석의 경우 47.1%p로 최근 3년 간 감소하였고, 뒷좌석은 52.0%p로 ’18년부터 격차 폭이 크게 증가하였다.



<운전자석 안전벨트 착용률,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2008-2019년 그래프 붙임 참조>



□ 올해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경과보고 및 질 관리 평가대회’를 영상으로 제작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 누리집 (http://chs.kdca.go.kr)을 통해 공개한다.


 ○ 또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는 각 보건소에서 통계집 형태로 최종결과를 공표하며, 질병관리본부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누리집(http://chs.kdca.go.kr)을 통해 8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매년 발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지역 보건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하고, 지역 간 건강지표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밝히면서,


 ○ “흡연, 음주, 비만율 감소와 건강생활실천율 향상, 정신건강 및 심뇌혈관질환 관리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또한 “기존 시‧군‧구 단위 건강통계 생산에 그치지 않고 동‧읍/면 지역주민의 맞춤형 보건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소지역 건강통계를 생산할 예정임”을 밝혔다.


 ○ 아울러 지역사회건강조사로 성과가 확인된 지역 우수 보건사업 사례를 발굴한 보건소와 본 조사사업에 공적이 높은 유공기관 및 유공자에 대해 포상을 수여하였다.


     * 보건복지부장관표창: 6개 기관, 유공자 16명, 질병관리본부장표창: 17개 기관, 유공자 3명



<붙임> 1.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개요
           2. 2008-2019년 지표별 시‧군‧구 중앙값 및 격차 추이
           3. 유공기관 및 유공자 명단 
           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활용 우수 사례(6개) 요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