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멈춘 심장 되살리는 심폐소생술, 2020년 지침 개정
  • 작성일2020-12-08
  • 최종수정일2020-12-09
  • 담당부서손상예방관리과
  • 연락처043-719-7418

멈춘 심장 되살리는 심폐소생술, 2020년 지침 개정


- 2019년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및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발표 -


2019119구급대 이송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0,782, 생존율 8.7%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081.9%에서 ’1924.7%로 크게 향상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

- 구급상황(상담)요원(119) 역할 강조, 코로나19 등 감염의심 시 시행방법 등 추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12월 9일(수) 제9차(2020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19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 여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붙임 1).


    * (급성심장정지) 급작스럽게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


 ○ 또한, 질병관리청과 대한심폐소생협회(이사장 황성오)가 개정한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도 발표하였다.


□ 2019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는 30,782명으로,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0명이었다.


 ○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나 이후 인구 10만명 당 6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시ㆍ도별로는 강원(96.6명), 제주(94.5명), 전남(89.0명) 등이 높았고, 서울(46.2명), 광주(44.7명), 세종(32.2명)이 낮은 편이었다.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 추이】



【시ㆍ도별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 현황】

*

환자수()

인구10만명당 발생률()**

환자수()

인구10만명당 발생률()

전체

30,782

60.0

경기

6,848

52.5

서울

4,424

46.2

강원

1,476

96.6

부산

1,999

59.0

충북

1,350

84.9

대구

1,294

53.2

충남

1,738

82.3

인천

1,548

52.9

전북

1,381

76.0

광주

647

44.7

전남

1,658

89.0

대전

739

50.2

경북

2,157

81.3

울산

624

54.5

경남

2,167

64.7

세종

105

32.2

제주

627

94.5

* 급성심장정지 발생지 기준

** 2019년 통계청 주민등록연앙인구 기준


 ○ 의무기록조사가 완료된 환자 30,279명 중 2,623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8.7%였으며(남자 10.3%, 여자 5.7%), 뇌기능 회복률은 5.4%였다.


【급성심장정지환자 생존율1) 및 뇌기능 회복률2)】


 1) 생존율: 급성심장정지환자 중 생존하여 퇴원한 분율
2) 뇌기능 회복률: 급성심장정지환자 중 퇴원 당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



 ○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19년 24.7%로, ’06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고


   -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19년 기준으로 15.0%로, 심폐소생술을 받지 않은 환자(생존율 6.2%)에 비해 생존 확률이 높았다.


【급성심장정지환자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1) 및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2)】


 1)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병원 도착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분율
 2) 생존율: 급성심장정지환자 중 생존하여 퇴원한 분율



□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개정에는 국내 15개 전문단체*에서 101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 대한간호협회,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대한소아응급의학회,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신경외과학회, 대한심장학회, 대한심폐소생협회,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재활의학회, 대한적십자사, 대한주산의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 한국응급구조학회, 한국의학교육학회(이상 가나다순)


 ○ 국제소생술교류위원회*(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에서 2020년 10월 21일 발표한 ‘심폐소생술에 관한 과학적 합의와 치료 권고’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의료 환경 및 제도 등을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 미국심장협회, 유럽심폐소생협회 등이 참여하여 2000년부터 5년 주기로 심폐소생술 및 급성심장정지 치료 가이드라인에 대한 학문적 근거 검토 및 발표


 ○ 또한 가이드라인 개정을 위해 기본소생술, 전문소생술, 소아소생술, 신생아소생술, 소생후 치료, 교육 및 실행 등 6개 분과의 전문위원회를 운영하였다.


    ※ 우리나라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2006년 처음 제정, 5년 주기로 개정


 ○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보면, 심장정지 치료단계를 보여주는 ‘심장정지 생존사슬’을 병원 밖과 병원 내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구급상황(상담)요원 역할, 생존자 재활,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사회관계망 서비스 활용 등이 강조되었다.


【심장정지 생존사슬】


   - 기본심폐소생술에서는, 환자를 침대에서 바닥으로 옮기지 않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기도 이물질 제거방법으로는 등 두드리기를 먼저 시행하도록 권고하는 내용 등이 변경되었다.


   - 또한, 코로나19 감염(의심)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심폐소생술 전 보건용 마스크 등 개인용 보호구 착용, 시행 후 손씻기, 코로나19 검사 수행 등을 권고하였다.


 ○ 황성오 대한심폐소생협회 이사장은 가이드라인 개정에 대해 “일반인이 쉽게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급상황(상담)요원 역할을 강화했으며, 코로나19 감염의심 상황에서도 심폐소생술 시행하도록 독려하여 환자의 생존률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마무리 작업을 거쳐 2021년 1월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cda.go.kr)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 신열우 소방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심장정지환자의 예후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119신고자 또는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가장 중요하다.”며,


 ○ “앞으로도 신고자에 대한 영상 응급처치 안내와 구급대원 화상의료지도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병원 전단계의 응급처치 인프라를 강화하여 중증응급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 목격 시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비율과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정책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거둔 성과라고 볼 수 있다.”면서,


 ○ “이번에 발표되는「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더 많은 환자를 살리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교육·홍보 활동을 지속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집은 2020년 12월 말 발간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을 통해서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1. 2019년 급성심장정지조사 주요 결과
            2.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3. 급성심장정지조사 개요
            4. 제9차(2020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