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1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12-21
  • 최종수정일2021-04-2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대응관리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1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92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0,591명(해외유입 5,116명)이라고 밝혔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433명으로 총 35,155명(69.49%)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4,73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74명이며, 사망자는 2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98명(치명률 1.38%)이다.


 ○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익명검사를 통한 신규 확진자는 94명*이 발생하여, 누적 확진자 수는 479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2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892

327

19

21

85

11

3

17

0

237

22

29

16

11

8

48

15

23

누계

45,475

14,432

1,431

7,415

2,187

788

656

500

106

10,917

932

734

1,182

613

453

1,938

967

224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2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34

0

13

8

13

0

0

10

24

21

13

누계

5,116

34

2,407

924

1,567

164

20

2,343

2,773

2,790

2,326

(0.7%)

(47.0%)

(18.1%)

(30.6%)

(3.2%)

(0.4%)

(45.8%)

(54.2%)

(54.5%)

(45.5%)

* 아시아(중국 외) : 러시아 9명(5명), 인도 1명(1명), 인도네시아 1명, 미얀마 1명(1명), 요르단 1명(1명), 유럽 : 폴란드 1명(1명), 우크라이나 1명, 영국 1명, 독일 4명, 오스트리아 1명, 아메리카 : 미국 12명(4명), 멕시코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20.() 0시 기준

34,722

14,269

278

674

12.21.() 0시 기준

35,155

14,738

274

698

변동

(+)433

(+)469

(-)4

(+)24

* 12200시부터 1221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21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서울 송파구 교정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17명*이다.


구분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수용자

가족

지인

전일 누계

215

16

185

13

1

금일 누계

217(+2)

17(+1)

186(+1)

13

1


 ○ 서울 강서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13명이다.


구분

교인

(지표환자 포함)

가족

지인/동료

기타

전일 누계

203

137

41

19

6

금일 누계

213(+10)

140(+3)

40(-1*)

24(+5)

9(+3)


 ○ 서울 용산구 건설현장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1명이다.


구분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가족

지인

기타

12.19일 누계

92

78

10

3

1

금일 누계

101(+9)

79(+1)

16(+6)

3

3(+2)


 ○ 경기 부천시 요양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6명이다.


구분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입소자

가족

기타

12.19일 누계

134

39

92

2

1

금일 누계

146(+12)

44(+5)

99(+7)

2

1


 ○ 경기 동두천시 의원과 관련하여 12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5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 환자 1명, 기타 5명


 ○ 경기 평택시 콜센터와 관련하여 12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종사자 8명(지표포함), 지인 2명


 ○ 경기 시흥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8명*이다.


    * (구분) 직원 8명(지표포함), 입소자 19명(+10), 가족 1명


 ○ 인천 서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2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4명*이다.


    * (구분) 종사자 6명(지표포함), 입소자 18명


 ○ 인천 미추홀구 건강기능식품판매와 관련하여 12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8명*이다.


    * (구분) 업소관련 10명(지표포함), 가족 및 지인 4명, 기타 4명  (지역) 인천 17명, 경기 1명


 ○ 강원 동해시 초등학교와 관련하여 12월 16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2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 (구분) 지표 1명, 학생 24명, 교사 2명, 학부모 2명


 ○ 강원 동해시 병원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환자 6명(지표포함 +2), 보호자 5명(+2), 종사자 1명(+1), 기타 1명(+1)


 ○ 대구 달성군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0명*이다.


대구 달성군 종교시설 관련

경산시 기도원 관련

전북 익산시 종교시설 관련

100

66(+4)

18

16


    * (추정감염경로) 달성군 종교시설 → 경산시 기도원 → 익산시 종교시설


 ○ 경북 경산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교인 9명(지표포함)


 ○ 경북 구미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교인 9명(지표포함)


 ○ 경북 안동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교인 8명(지표포함)


 ○ 경북 울릉군 해양경찰과 관련하여 12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직원 5명(지표포함), 가족 7명  (지역) 강원 9명, 경남 2명, 울산 1명


 ○ 부산 동구 요양병원2와 관련하여 12월 16일 이후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3명이다.


구분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환자

가족

12.16일 누계

10

6

4

-

금일 누계

23(+13)

7(+1)

14(+10)

2(+2)


 ○ 울산 남구 요양병원과 관련하여 격리자 검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40명이다.


구분

요양보호사

(지표환자 포함)

종사자

환자

기타

12.18일 누계

229

21

24

164

20

금일 누계

240(+11)

22(+1)

25(+1)

166(+2)

27(+7)


 ○ 광주 북구 유통업체와 관련하여 12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방문자 9명(지표포함), 가족 5명


 ○ 제주 제주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0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제주 종교시설 관련

16(+1)

교인 8(지표포함), 가족 6(+1), 지인 2

제주 저녁모임1 관련

9

모임참석자 5, 가족 3, 조사중 1

제주 저녁모임2 관련

9

모임참석자 4, 가족 5

제주 사우나 관련

44(-3)*

이용자 35, 가족 4, 지인 5(+1)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22(+22)

종사자 5(+5), 가족 5(+5), 방문객 7(+7), 기타 5(+5)


  * 관계 재분류


   ** (추정감염경로) 제주 종교시설 관련 → 제주 저녁모임1 관련 → 제주 저녁모임2 관련 → 제주 사우나 관련 →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주간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구 분

48주차

(11.22~11.28.)

49주차

(11.29.~12.05.)

50주차

(12.06.~12.12.)

51주차

(12.13.~12.19.)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

국내발생

400.1

487.7

661.7

949.0

해외유입

24.3

25.9

27.6

27.7

전 체

424.4

513.6

689.3

976.7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

14.2(421/2,971)

17.0(611/3,595)

22.6(1,091/4,825)

29.9(2,047/6,837)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39.6

43.4

37.9

31.6

신규 집단발생 건수()

42(+22))

54(+52))

45(+292))

34

감염재생산지수(Rt)

1.43

1.23

1.18

1.28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80

101

151

223

주간 사망 환자 수()

19

18

38

81

즉시 가용 중환자실()

86

55

62

38


 1)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2)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확진자는 최근 1주간(12.13일~12.19일) 1일 평균 949.0명으로 직전 1주(12.6일~12.12일, 661.7명)보다 287.3명 증가했고 한 달 전 대비 2배 이상 급증하였다. 해외 유입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27.7명으로 주 평균 30명 이하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 권역별 발생 상황을 보면(12.21일 기준) 주간 일 평균 확진자가 수도권 712.7명, 경남권 83.3명, 충청권 68.6명, 경북권 47.7명, 호남권 35.9명, 강원권 21.7명, 제주권 19.1명으로, 충청권, 경남권, 강원은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기준(충청·경남 60명, 강원 20명)을 초과하였다.


【 권역별 1주간 방역 관리 상황(12.15.~12.21.) 】


구 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

제주

거리두기 2단계 기준

(주간 일 평균)

-

20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20명 이상

20명 이상

전체

주간 일 평균()

989.0

712.7

68.6

35.9

47.7

83.3

21.7

19.1

주간 총 확진자 수

6,923

4,989

480

251

334

583

152

134

60세 이상

주간 일 평균()

320.3

221.3

24.6

18.9

10.6

31.9

5.7

7.4

주간 총 확진자 수

2,242

1,549

172

132

74

223

40

52

즉시 가용 중환자실 수

(12.19. 09시 기준)

38

3

1

6

4

7

7

10


   - 동 기간 전국 총 확진자 중 72.1%가 수도권에서 발생하였고, 12.14일부터 수도권에서 설치·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PCR 검사 및 신속항원검사 총 189,753건이 시행되어 479명이 확진됐다(12.21일 0시 기준, 0.25%).


 ○ 최근 1주간 사망자는 81명이 발생하여 80대 이상 49명, 70대 19명, 60대 9명, 50대 3명, 40대 1명으로, 60세 이상이 77명(95.1%)이다.


   - 추정 감염경로 현황은 시설 및 병원 40명(요양병원 30명, 요양원 8명, 기타 의료기관 2명), 확진자 접촉 8명, 지역 집단발생 6명, 조사중 27명이며,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79명*(97.5%)이다.


    * 나머지 2명(80대 이상 1명, 70대 1명)은 기저질환 유무 조사 중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선행 확진자 접촉 2,781명(40.7%), 집단발생 1,187명(17.4%), 병원 및 요양시설 628명(9.2%), 해외유입 194명(2.8%), 조사 중 2,047명(29.9%)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12.13. 0시∼ 12.19. 0시까지 신고된 6,837명 기준)


   - 감염경로가 확진자 접촉인 경우 선행 확진자가 가족인 사례가 38.2%, 지인이 8.5%, 동료가 7.6%, 기타 45.8%로 확인됐고,


   - 신규 집단발생 34건은 종교시설(10건, 29.4%), 의료기관·요양시설(7건, 20.6%), 사업장*(6건, 17.6%), 교육시설(4건, 11.8%), 스키장, 교정시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했다.


    * 콜센터, 금융기관, 공기업, 제조회사 등


 ○ 최근 가족·지인·동료와의 접촉으로 감염된 사례가 많고 집단발생 장소도 종교시설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여 이와 관련된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족·지인모임 및 행사 취소, 평소 가정 내 주기적 환기, 증상 발생 시 집 안에서도 마스크 착용, 동거가족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이 있으면 외부인 방문을 자제하고,


   - 직장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비대면 회의 진행, 공용공간 환기 및 소독 철저, 회식·소모임 취소, 유증상자 업무 배제 및 검사가 실질적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 또한 모든 종교 활동은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하고, 식사·소모임·행사 등을 취소해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 동참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요양·정신병원 및 시설 등에 대한 집단감염 사례현황을 설명하면서, 요양·정신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 (발생현황) 집단감염 발생 사례 총 26건 모니터링(774명 환자 발생, 최근 한달)

- (지역) 수도권 15(서울 8, 경기 5, 인천 2), 비수도권 11(부산 2 )

- (유형) 요양병원·시설 17(68%), 종합병원·의원 9(32%)

* 요양병원 8, 요양시설 8, 정신병원 1, 종합병원 6, 의원 3

???? (감염경로) 종사자로부터 전파 13(50%), 환자·이용자로부터 전파 7(27%), 간병인력으로부터 전파 6(23%)


 ○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의 코로나19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행정명령을 통해 종사자 등에 대한 주기적 선제검사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 12월 21일부터 감염취약시설* 모든 종사자 등에 대한 주기적 선제검사의 검사주기가 수도권은 2주에서 1주로, 비수도권은 4주에서 2주로 단축하여 운영된다.


    * 요양병원, 정신병원, 노인요양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정신요양시설


   - 검사주기 사이 또는 유증상자 발생 등 필요 시에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 또한,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행정명령을 통해,


   - 모든 감염취약시설 종사자에 대해 퇴근 후 사적 모임을 금지하여 외부 감염원에 의한 기관내 감염 전파를 차단하고,


   - 기관장은 방역관리자를 지정하여 종사자 등의 ▴주기적 선제 검사, ▴종사자 사적 모임 금지 및 마스크 상시 착용, ▴기관 내 사람들에 대한 증상 확인 및 조치 등의 의무사항을 이행하여야 하며,


   - 미이행 시에는 의료기관 손실보상의 제한, 건강보험급여 삭감, 손해발생에 따른 배상청구 등의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다.


 ○ 요양시설에 대해서는 종사자 대상 예방적 격리를 희망하는 기관에 대하여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시행한다.


   - 이에 대해 장기요양급여기준을 개정하여, “예방적 코호트 격리시에도 감염원 유입 최소화를 위한 종사자 업무배제 기간(현행 7일에서 주말포함 최대 14일까지)을 폭넓게 인정하는 등의 조치”로 예방적 격리로 인한 장기요양보험의 수가 손실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 지난주(’20년 50주차(12.6.~12.12.)) 인플루엔자 발생 동향은 의사환자(ILI)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2.8명(전년 동기간 28.5)으로 유행기준(5.8명) 이하 수준이며, 표본감시 의료기관*(의원급 의료기관 52개소)의 호흡기감염증 환자들의 병원체 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며(0/110), 국내 검사전문 의료기관(5개소)의 호흡기 검체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은 0.1%(2/2,645)였다.


   * 전년 동기간 : 16.2%(50/308)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연말·연휴를 맞아 코로나19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을 설명하고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국민들이 준수해야 할 세 가지를 강조하였다.


 ○ 앞으로 2주 연속으로 주말 동안 성탄절과 신정 연휴가 시작되어 종교 행사 및 다양한 형태의 가족·지인모임이 많은 곳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에 사람 간 접촉을 줄이지 못할 경우 더욱 심각하게 확산할 우려가 있어 주의를 당부하였다.


 ○ 방역당국과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할 것을 당부하였다.


   -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회피할 것을 강조하였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전담클리닉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을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동절기 및 연말·연시 방역 수칙 >

공통 수칙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과태료 부과 대상 시설은 별도 확인

필수적인 경우가 아닌 불요불급한 외출 자제, 비대면·비접촉으로 모임행사 진행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검사

타인과 접촉 최소화 및 사람 많은 다중이용시설 이용 자제

 

1. 가정에서 생활 할 때

모임과 이동 없이 안전하게!”

2.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

외출은 짧게, 혼잡하지 않은 곳으로!”

3. 대중교통 이용하여 이동할 때

대중교통 이용시엔 마스크, 거리 두기는 필수!”

4. 연말연시 등 모임

아쉬워도 모임은 취소해 주세요!”

5. 음식점카페 등에서 식사할 때

외식할 경우 거리유지, 대화자제, 손 위생은 꼭 지켜주세요

6. 귀가 후

귀가 후 아프면 검사받으세요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동절기 및 연말·연시 방역수칙

        4. 인플루엔자 유행 현황
        5. 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
        6. 예방접종 전·중·후 주의사항
        7.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