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2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12-22
  • 최종수정일2021-04-2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대응관리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2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24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4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1,460명(해외유입 5,161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8,57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9,753건(확진자 13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08,324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869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773명으로 총 35,928명(69.82%)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4,81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1명이며, 사망자는 2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22명(치명률 1.40%)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22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824

309

26

39

44

26

9

6

1

193

23

30

15

4

4

58

18

19

누계

46,299

14,741

1,457

7,454

2,231

814

665

506

107

11,110

955

764

1,197

617

457

1,996

985

243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22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45

0

20

4

19

2

0

18

27

24

21

누계

5,161

34

2,427

928

1,586

166

20

2,361

2,800

2,814

2,347

(0.7%)

(47.0%)

(18.0%)

(30.7%)

(3.2%)

(0.4%)

(45.7%)

(54.3%)

(54.5%)

(45.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2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24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4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1,460명(해외유입 5,161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8,57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9,753건(확진자 13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08,324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869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773명으로 총 35,928명(69.82%)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4,81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1명이며, 사망자는 2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22명(치명률 1.40%)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22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824

309

26

39

44

26

9

6

1

193

23

30

15

4

4

58

18

19

누계

46,299

14,741

1,457

7,454

2,231

814

665

506

107

11,110

955

764

1,197

617

457

1,996

985

243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22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45

0

20

4

19

2

0

18

27

24

21

누계

5,161

34

2,427

928

1,586

166

20

2,361

2,800

2,814

2,347

(0.7%)

(47.0%)

(18.0%)

(30.7%)

(3.2%)

(0.4%)

(45.7%)

(54.3%)

(54.5%)

(45.5%)

* 아시아(중국 외) : 네팔 1명(1명), 필리핀 1명(1명), 키르기스스탄 1명, 인도 1명(1명), 미얀마 1명(1명), 러시아 9명(5명), 인도네시아 5명, 아랍에미리트 1명(1명), 유럽 : 우크라이나 1명(1명), 스웨덴 1명, 오스트리아 1명, 북마케도니아 1명, 아메리카 : 미국 16명(9명), 멕시코 2명, 브라질 1명(1명), 아프리카 : 케냐 1명, 카메룬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21.() 0시 기준

35,155

14,738

274

698

12.22.() 0시 기준

35,928

14,810

281

722

변동

(+)773

(+)72

(+)7

(+)24

* 12210시부터 1222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22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대구 동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3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1명*이다.


    * (구분) 교인 29명(지표포함), 가족 2명


 ○ 제주 제주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2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제주 종교시설 관련

16

교인 8(지표포함), 가족 6, 지인 2

제주 저녁모임1 관련

9

모임참석자 5, 가족 3, 조사중 1

제주 저녁모임2 관련

9

모임참석자 4, 가족 5

제주 사우나 관련

44

이용자 35, 가족 4, 지인 5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34(+12)

종사자 6(+1), 가족 9(+4), 방문객 13(+6), 기타 6(+1)


    * 관계 재분류


     ** (추정감염경로) 제주 종교시설 관련 → 제주 저녁모임1 관련 → 제주 저녁모임2 관련 → 제주 사우나 관련 →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5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7명이다.


구분

환자

(지표환자 포함)

종사자

간병인/

보호자

요양원

관련

가족/

지인

기타

확인중**

12.20일 누계

54

27

11

9

3

4

0

0

금일 누계

107(+53)

50(+23)

6(-5*)

13(+4)

4(+1)

4

4(+4)

26(+26)


   * 종사자 → 간병인(4명), 요양원 관련(1명)으로 재분류함


   ** 26명에 대한 구분은 조사 중임


 ○ 경기 의정부시 주간보호센터와 관련하여 12월 12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2명(지표포함), 종사자 4명, 이용자 및 가족 5명


 ○ 충북 청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 추적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1명*이다.


    * (구분) 종사자 18명(지표포함 +4), 입소자 48명(+6), 가족 5명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 병원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이후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및 접촉자 조사 중 2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6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괴산 병원

31(+9)

환자 23(지표포함 +9), 종사자 2, 방문자 6

음성 병원

44(+8)

환자 40(지표포함 +6), 종사자 4(+2)

진천 병원

11(+11)

환자 11(+11)


    * (추정감염경로) 괴산병원 → 음성병원/진전병원으로 환자 전원


 ○ 광주 북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의지인 1명(지표환자), 종사자 4명, 입소자 12명


 ○ 인천 신항물류터미널과 관련하여 12월 15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1명


 ○ 인천 중구 식품가공업소와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3명(지표포함), 종사자 12명, 종사자가족 2명


      (지역) 인천 16명, 경기 1명


 ○ 강원 동해시 초등학교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5명*이다.


    * (구분) 지표 1명, 학생 24명, 교사 2명, 가족 15명(+13), 기타 3명(+3)


 ○ 강원 강릉시 가족모임과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4명(지표포함), 지인 등 6명


 ○ 경북 청송군 지인모임과 관련하여 12월 16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모임참석자 5명(지표포함), 지인 및 가족 6명, 조사중 2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집단감염 사례 유형별 발생 추이를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단위 : 집단발생 건수)


구 분

주차*

48주차

(11.22.11.28.)

49주차

(11.29.12.5.)

50주차

(12.6.12.12.)

51주차

(12.13.12.19.)

41

54

51

52

종교시설

2

4

11

15

의료기관/요양시설

5

9

12

10

사업장

5

17

12

12

가족/지인모임

10

10

7

4

교육시설

3

2

5

5

다중이용시설

11

10

4

3

집합영업설명회

-

-

-

-

기타

5

2

-

3


 * 기간 분류 기준 : 집단사례 지표환자가 확진된 날짜 기준 분류


 ※ 12.21일 0시 기준,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최근 4주간 주별 약 50건 내외의 신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였고, 지난 1주간(12.13.~12.19.)은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했다(총 발생건의 71.2%).


   -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및 사업장은 한 달 전(48주차)보다 집단발생 건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고, 가족·지인모임,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집단감염 발생은 감소세를 보였다.


 ○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사업장에서의 집단발생을 줄이기 위해


   - 모든 종교 활동은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하고 식사·소모임·행사 등을 취소하며,


   - 의료기관·요양시설 내 감염관리를 철저히 하고 방역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직장 내 마스크 착용, 비대면 회의 진행, 공용공간 환기 및 소독 철저, 회식·소모임 취소, 유증상자는 업무를 배제하고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것을 강조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 주관「정부합동점검단」의 방역 현장 특별점검 중 확인된 방역수칙 위반 사례를 공유하고, 방역수칙 준수를 독려하였다.


 ○ 최근 주요 집단감염 발생 시설인 식당, 카페, 종교시설 등과 연말·연시 인파가 집중되는 스키장, 휴게소 등을 중점 점검한 결과,


   - 교회의 예배당에서 현장 예배를 한 것이 확인됐고,


   - 식당·카페에서는 칸막이 없는 식당에서 테이블·좌석 간 거리 두기를 하지 않거나 종사자가 마스크를 턱 아래로 내리고 대화를 하였다.


   - 대형마트에서도 입점 세탁소 사업주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카드회사 상담 코너에는 가림막이 없고 거리두기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 식당이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경우에도 출입구 2개 중 1개만 열화상카메라를 설치·운영하고, 나머지 1개는 통제 없이 방치하는 등 이용자에 대한 출입 관리가 잘되지 않고 있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백신 개발 현황 등에 대해서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를 현재까지 93개 병원 1,994명(12.22일 0시 기준)의 환자에게 공급하였다.


 ○ 코로나19 백신 분야에서는 민간개발 4종 백신이 국내 임상시험 승인되었다.


   - DNA백신 1종의 임상시험 1/2a상이 6월 11일, 합성항원 백신 1종의 1상 임상시험이 11월 23일 승인되었으며, DNA 백신 1종 및 바이러스전달체 백신 1종의 1/2a 임상시험도 12월 4일 승인되어(식품의약품안전처) 연내 4종의 백신 후보주 모두 임상 착수 예정으로 ’21년 하반기 ~ ’22년을 목표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승인 현황 >


연번

관련 품목정보

내 용

승인일

향후계획

개발사

제품(플랫폼)

1

제넥신

(한국)

GX-19/GX-19N(DNA백신)

1/2a

‘20.6.11

‘20.12.11

(변경)

2b/3(‘21년상반기)

2

SK바이오사이언스

(한국)

NBP2001(합성항원)

1

‘20.11.23

2(‘21년상반기)

3(‘21년하반기)

3

진원생명과학

(한국)

GLS-5310(DNA백신)

1/2a

‘20.12.4

2b/3(‘21년하반기)

4

셀리드

(한국)

AdCLD-CoV19(바이러스전달체백신)

1/2a

‘20.12.4

2b/3(‘21년하반기)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대규모 환자발생, 고위험시설 내 집단감염 증가 등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함께, 다가오는 성탄절‧연말‧연시 연휴에 모임‧여행 등에 의한 추가확산을 우려하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정부의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대책’을 잘 따라주길 당부하였다.


 ○ 먼저, 요양·정신병원, 요양시설 등에 대한 선제적 검사를 강화*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며 종사자들의 사적 모임을 금지하도록 한다.


    * 종사자 등에 대해 수도권은 1주, 비수도권은 2주마다 진단검사 의무화,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하여 1주에 1∼2회 정도로 검사 확대 추진


 ○ 종교시설에 대해서는 2.5단계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 적용하여 정규예배·미사·법회·시일식 등은 비대면을 원칙으로 하며, 종교시설 주관의 모임·식사는 금지한다.


 ○ 성탄절 및 연말·연시의 사적 모임이나 파티, 여행·관광, 겨울철 레저시설 이용 등도 최소화한다.


   - 5인 이상의 사적 모임·회식·파티 등은 취소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식당에서는 5인 이상의 모임을 금지한다.


    * 단, 가족 등 주민등록상 같은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제외


   - 개인의 모임·파티 장소로 빈번하게 활용되는 ‘파티룸*’은 집합금지 조치한다.


    * 별도의 장소를 단기간 임대하여 각종파티를 즐기는 곳


   - 성탄절‧연말연시 선물 구입 등 쇼핑을 위해 이용객이 밀집될 수 있는 백화점·대형마트에 대해서는, ▴발열체크 의무화, ▴시식·시음·견본품 사용 금지, ▴집객행사 중단, ▴휴게실·의자 등 휴식공간의 이용을 금지한다.


   - 겨울철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스키장, 눈썰매장, 스케이트장 등 겨울스포츠시설은 전국적으로 집합금지한다.


    * 전국 스키장 16개소, 빙상장 35개소, 눈썰매장 128개소


   - 여행·관광 및 지역 간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조트, 호텔등의 숙박 시설은 객실의 50% 이내로 예약을 제한하고, 객실 내 정원을 초과하는 인원은 숙박할 수 없도록 한다.


 ○ 서울 남산공원, 강릉 정동진 등 해맞이·해넘이 등 주요 관광명소, 국공립공원 등은 폐쇄하고, 방문객의 접근을 제한할 예정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성탄절 및 연말연시의 모임이나 여행은 또다른 대규모 확산의 불씨가 될 수 있으므로, 모임과 약속, 여행 계획을 취소하고 집에 머물며 안전한 연휴를 보내주시길 당부하였다.


 ○ 특히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콜센터 등 고위험사업장과 같이 감염에 취약한 시설의 종사자는 퇴근 후 사적모임 금지 등 보다 철저한 방역 수칙을 지켜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전국 연말·연시 방역강화 조치사항
           4.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21.() 0시 기준

35,155

14,738

274

698

12.22.() 0시 기준

35,928

14,810

281

722

변동

(+)773

(+)72

(+)7

(+)24

* 12210시부터 1222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22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대구 동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3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1명*이다.


    * (구분) 교인 29명(지표포함), 가족 2명


 ○ 제주 제주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2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제주 종교시설 관련

16

교인 8(지표포함), 가족 6, 지인 2

제주 저녁모임1 관련

9

모임참석자 5, 가족 3, 조사중 1

제주 저녁모임2 관련

9

모임참석자 4, 가족 5

제주 사우나 관련

44

이용자 35, 가족 4, 지인 5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34(+12)

종사자 6(+1), 가족 9(+4), 방문객 13(+6), 기타 6(+1)


    * 관계 재분류


     ** (추정감염경로) 제주 종교시설 관련 → 제주 저녁모임1 관련 → 제주 저녁모임2 관련 → 제주 사우나 관련 →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5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7명이다.


구분

환자

(지표환자 포함)

종사자

간병인/

보호자

요양원

관련

가족/

지인

기타

확인중**

12.20일 누계

54

27

11

9

3

4

0

0

금일 누계

107(+53)

50(+23)

6(-5*)

13(+4)

4(+1)

4

4(+4)

26(+26)


   * 종사자 → 간병인(4명), 요양원 관련(1명)으로 재분류함


   ** 26명에 대한 구분은 조사 중임


 ○ 경기 의정부시 주간보호센터와 관련하여 12월 12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2명(지표포함), 종사자 4명, 이용자 및 가족 5명


 ○ 충북 청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 추적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1명*이다.


    * (구분) 종사자 18명(지표포함 +4), 입소자 48명(+6), 가족 5명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 병원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이후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및 접촉자 조사 중 2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6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괴산 병원

31(+9)

환자 23(지표포함 +9), 종사자 2, 방문자 6

음성 병원

44(+8)

환자 40(지표포함 +6), 종사자 4(+2)

진천 병원

11(+11)

환자 11(+11)


    * (추정감염경로) 괴산병원 → 음성병원/진전병원으로 환자 전원


 ○ 광주 북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의지인 1명(지표환자), 종사자 4명, 입소자 12명


 ○ 인천 신항물류터미널과 관련하여 12월 15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1명


 ○ 인천 중구 식품가공업소와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3명(지표포함), 종사자 12명, 종사자가족 2명


      (지역) 인천 16명, 경기 1명


 ○ 강원 동해시 초등학교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5명*이다.


    * (구분) 지표 1명, 학생 24명, 교사 2명, 가족 15명(+13), 기타 3명(+3)


 ○ 강원 강릉시 가족모임과 관련하여 12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4명(지표포함), 지인 등 6명


 ○ 경북 청송군 지인모임과 관련하여 12월 16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모임참석자 5명(지표포함), 지인 및 가족 6명, 조사중 2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집단감염 사례 유형별 발생 추이를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단위 : 집단발생 건수)


구 분

주차*

48주차

(11.22.11.28.)

49주차

(11.29.12.5.)

50주차

(12.6.12.12.)

51주차

(12.13.12.19.)

41

54

51

52

종교시설

2

4

11

15

의료기관/요양시설

5

9

12

10

사업장

5

17

12

12

가족/지인모임

10

10

7

4

교육시설

3

2

5

5

다중이용시설

11

10

4

3

집합영업설명회

-

-

-

-

기타

5

2

-

3


 * 기간 분류 기준 : 집단사례 지표환자가 확진된 날짜 기준 분류


 ※ 12.21일 0시 기준,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최근 4주간 주별 약 50건 내외의 신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였고, 지난 1주간(12.13.~12.19.)은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했다(총 발생건의 71.2%).


   -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및 사업장은 한 달 전(48주차)보다 집단발생 건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고, 가족·지인모임,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집단감염 발생은 감소세를 보였다.


 ○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시설, 사업장에서의 집단발생을 줄이기 위해


   - 모든 종교 활동은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하고 식사·소모임·행사 등을 취소하며,


   - 의료기관·요양시설 내 감염관리를 철저히 하고 방역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직장 내 마스크 착용, 비대면 회의 진행, 공용공간 환기 및 소독 철저, 회식·소모임 취소, 유증상자는 업무를 배제하고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것을 강조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 주관「정부합동점검단」의 방역 현장 특별점검 중 확인된 방역수칙 위반 사례를 공유하고, 방역수칙 준수를 독려하였다.


 ○ 최근 주요 집단감염 발생 시설인 식당, 카페, 종교시설 등과 연말·연시 인파가 집중되는 스키장, 휴게소 등을 중점 점검한 결과,


   - 교회의 예배당에서 현장 예배를 한 것이 확인됐고,


   - 식당·카페에서는 칸막이 없는 식당에서 테이블·좌석 간 거리 두기를 하지 않거나 종사자가 마스크를 턱 아래로 내리고 대화를 하였다.


   - 대형마트에서도 입점 세탁소 사업주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카드회사 상담 코너에는 가림막이 없고 거리두기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 식당이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경우에도 출입구 2개 중 1개만 열화상카메라를 설치·운영하고, 나머지 1개는 통제 없이 방치하는 등 이용자에 대한 출입 관리가 잘되지 않고 있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백신 개발 현황 등에 대해서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를 현재까지 93개 병원 1,994명(12.22일 0시 기준)의 환자에게 공급하였다.


 ○ 코로나19 백신 분야에서는 민간개발 4종 백신이 국내 임상시험 승인되었다.


   - DNA백신 1종의 임상시험 1/2a상이 6월 11일, 합성항원 백신 1종의 1상 임상시험이 11월 23일 승인되었으며, DNA 백신 1종 및 바이러스전달체 백신 1종의 1/2a 임상시험도 12월 4일 승인되어(식품의약품안전처) 연내 4종의 백신 후보주 모두 임상 착수 예정으로 ’21년 하반기 ~ ’22년을 목표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승인 현황 >


연번

관련 품목정보

내 용

승인일

향후계획

개발사

제품(플랫폼)

1

제넥신

(한국)

GX-19/GX-19N(DNA백신)

1/2a

‘20.6.11

‘20.12.11

(변경)

2b/3(‘21년상반기)

2

SK바이오사이언스

(한국)

NBP2001(합성항원)

1

‘20.11.23

2(‘21년상반기)

3(‘21년하반기)

3

진원생명과학

(한국)

GLS-5310(DNA백신)

1/2a

‘20.12.4

2b/3(‘21년하반기)

4

셀리드

(한국)

AdCLD-CoV19(바이러스전달체백신)

1/2a

‘20.12.4

2b/3(‘21년하반기)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대규모 환자발생, 고위험시설 내 집단감염 증가 등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함께, 다가오는 성탄절‧연말‧연시 연휴에 모임‧여행 등에 의한 추가확산을 우려하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정부의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대책’을 잘 따라주길 당부하였다.


 ○ 먼저, 요양·정신병원, 요양시설 등에 대한 선제적 검사를 강화*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며 종사자들의 사적 모임을 금지하도록 한다.


    * 종사자 등에 대해 수도권은 1주, 비수도권은 2주마다 진단검사 의무화,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하여 1주에 1∼2회 정도로 검사 확대 추진


 ○ 종교시설에 대해서는 2.5단계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 적용하여 정규예배·미사·법회·시일식 등은 비대면을 원칙으로 하며, 종교시설 주관의 모임·식사는 금지한다.


 ○ 성탄절 및 연말·연시의 사적 모임이나 파티, 여행·관광, 겨울철 레저시설 이용 등도 최소화한다.


   - 5인 이상의 사적 모임·회식·파티 등은 취소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식당에서는 5인 이상의 모임을 금지한다.


    * 단, 가족 등 주민등록상 같은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제외


   - 개인의 모임·파티 장소로 빈번하게 활용되는 ‘파티룸*’은 집합금지 조치한다.


    * 별도의 장소를 단기간 임대하여 각종파티를 즐기는 곳


   - 성탄절‧연말연시 선물 구입 등 쇼핑을 위해 이용객이 밀집될 수 있는 백화점·대형마트에 대해서는, ▴발열체크 의무화, ▴시식·시음·견본품 사용 금지, ▴집객행사 중단, ▴휴게실·의자 등 휴식공간의 이용을 금지한다.


   - 겨울철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스키장, 눈썰매장, 스케이트장 등 겨울스포츠시설은 전국적으로 집합금지한다.


    * 전국 스키장 16개소, 빙상장 35개소, 눈썰매장 128개소


   - 여행·관광 및 지역 간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조트, 호텔등의 숙박 시설은 객실의 50% 이내로 예약을 제한하고, 객실 내 정원을 초과하는 인원은 숙박할 수 없도록 한다.


 ○ 서울 남산공원, 강릉 정동진 등 해맞이·해넘이 등 주요 관광명소, 국공립공원 등은 폐쇄하고, 방문객의 접근을 제한할 예정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성탄절 및 연말연시의 모임이나 여행은 또다른 대규모 확산의 불씨가 될 수 있으므로, 모임과 약속, 여행 계획을 취소하고 집에 머물며 안전한 연휴를 보내주시길 당부하였다.


 ○ 특히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콜센터 등 고위험사업장과 같이 감염에 취약한 시설의 종사자는 퇴근 후 사적모임 금지 등 보다 철저한 방역 수칙을 지켜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전국 연말·연시 방역강화 조치사항
           4.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