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4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12-24
  • 최종수정일2021-04-2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대응지원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4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55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3,533명(해외유입 5,223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5,64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8,091건(확진자 15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13,731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985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699명으로 총 37,425명(69.91%)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5,35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91명이며, 사망자는 1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56명(치명률 1.41%)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955

314

43

26

53

14

11

9

1

277

21

46

29

12

2

50

21

26

누계

48,312*

15,427*

1,532

7,504

2,330

863

710

531

109

11,683*

989

868

1,237

649

471

2,071

1,034

302

* 신고 시·도 집계 오류 정정 및 지자체 오신고 정정(12.23. 0시 기준 서울 1, 경기 1)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30

1

11

3

15

0

0

11

19

16

14

누계

5,223

35

2,455

939

1,607

166

21

2,381

2,842

2,851

2,372

(0.7%)

(47.0%)

(18.0%)

(30.7%)

(3.2%)

(0.4%)

(45.6%)

(54.4%)

(54.6%)

(45.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24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55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3,533명(해외유입 5,223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5,64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8,091건(확진자 15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13,731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985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699명으로 총 37,425명(69.91%)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5,35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91명이며, 사망자는 1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56명(치명률 1.41%)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955

314

43

26

53

14

11

9

1

277

21

46

29

12

2

50

21

26

누계

48,312*

15,427*

1,532

7,504

2,330

863

710

531

109

11,683*

989

868

1,237

649

471

2,071

1,034

302

* 신고 시·도 집계 오류 정정 및 지자체 오신고 정정(12.23. 0시 기준 서울 1, 경기 1)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30

1

11

3

15

0

0

11

19

16

14

누계

5,223

35

2,455

939

1,607

166

21

2,381

2,842

2,851

2,372

(0.7%)

(47.0%)

(18.0%)

(30.7%)

(3.2%)

(0.4%)

(45.6%)

(54.4%)

(54.6%)

(45.4%)

* 중국 : 중국 1명,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2명(1명), 인도네시아 5명, 미얀마 3명(3명), 일본 1명, 유럽 : 우크라이나 1명(1명), 독일 1명, 스웨덴 1명, 아메리카 : 미국 14명(9명), 캐나다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23.() 0시 기준

36,726

15,0831)

284

739

12.24.() 0시 기준

37,425

15,352

291

756

변동

(+)699

(+)269

(+)7

(+)17

* 12230시부터 1224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1) 신고 시·도 집계 오류 정정 및 지자체 오신고 정정(12.23. 0시 기준 서울 1, 경기 1)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24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서울 마포구 보험회사와 관련하여 12월 5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종사자 12명, 가족 2명, 기타 2명(지표포함)


 ○ 서울 강남구 콜센터2와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종사자 15명(지표포함)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6명이다.


구분

환자/입소자

(지표포함)

종사자

간병인/

보호자

요양원

관련*

가족/

지인

기타*

확인중*

12.22일 누계

107

50

6

13

4

4

4

26

금일 누계

116(+9)

60(+10)

6

35(+22)

0(-4)

12(+8)

3(-1)

0(-26)

   *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재분류함


 ○ 서울 노원구 병원과 관련하여 격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2명*이다.
    * (구분) 환자 19명(지표포함, +2), 종사자 7명, 가족 및 지인 6명(+6)


 ○ 서울 금천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5명*이다.
    * (구분) 교인 24명(지표포함, +4), 가족 1명


 ○ 경기 파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입소자 및 이용자 4명, 가족 1명


 ○ 경기 파주시 복지시설과 관련하여 격리 중 1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0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4), 이용자 24명(+14)


 ○ 경기 남양주시 어린이집과 관련하여 12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원아 1명, 가족 및 지인 3명


 ○ 경기 안양시 고등학교와 관련하여 12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교사 5명(지표포함), 학생 8명   (지역) 경기 11명, 서울 2명


 ○ 경기 광주시 특수학교와 관련하여 12월 22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학생 1명, 가족 5명, 지인 5명


 ○ 인천 강화군 종합병원과 관련하여 12월 14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환자 7명(지표포함), 환자가족 1명, 종사자 2명


 ○ 인천 남동구 일가족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5명(지표포함), 동료 및 지인 6명, 동료가족 4명


 ○ 대전 유성구 주간보호센터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 4명(지표포함), 이용자 9명, 가족 4명(+4)


 ○ 충북 청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 추적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0명*이다.
    * (구분) 종사자 21명(지표포함, +3), 입소자 60명(+8), 가족 9명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 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및 접촉자 조사 중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5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괴산 병원

37(+6)

환자 29(지표포함 +6), 종사자 2, 방문자 6

음성 병원

87(+4)

환자 83(+4), 종사자 4

진천 병원

21(+10)

환자 20(+9), 종사자 1(+1)

    * (추정감염경로) 괴산병원 → 음성병원/진천병원으로 환자 전원


 ○ 대구 동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50명*이다.
    * (구분) 교인 42명(지표포함, +7), 가족 등 8명(+6)


 ○ 경북 구미시 종교시설2와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3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3명*이다.
    * (구분) 모임참석 3명(지표포함), 참석자가족 4명, 교회 관련 26명


 ○ 광주 북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 (구분) 지표환자 1명, 종사자 6명, 입소자 13명(+1), 기타 9명(+4)


 ○ 제주 제주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제주 종교시설 관련

16

교인 8(지표포함), 가족 6, 지인 2

제주 저녁모임1 관련

9

모임참석자 5, 가족 3, 기타 1

제주 저녁모임2 관련

9

모임참석자 4, 가족 5

제주 사우나 관련

52(+6)

이용자 35, 가족 6(+2), 지인/기타 11(+4)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52(+13)

종사자 8, 가족 9, 방문객 19(+3), 기타 16(+10)

    * (추정감염경로) 제주 종교시설 관련 → 제주 저녁모임1 관련 → 제주 저녁모임2 관련 → 제주 사우나 관련 →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경비 방호요원의  코로나19 확진 상황을 설명하였다.


 ○ 서울시 강남구 소재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경비근무를 담당하는 방호요원 10명이 코로나19로 확진되어 역학조사 및 관리 중이다.


 ○ 또한 해당 부서 전원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후 자가격리 중이며, 확진자의 접촉자들도 검사 및 자가격리 조치 중이다.

    * 확진자와 접촉한 동료 25명 검사 결과 음성 확인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OECD 회원국의 코로나19 발생 현황(’20.12.23일 기준) 설명과 함께 현 상황을 진단하였다.


 ○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37개 국가 중 인구 10만명 당 확진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룩셈부르크이며(7,430명), 우리나라(101명)는 뉴질랜드(37명), 호주(112명)와 함께 가장 적은 국가 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국가명

총 확진자 수

10만명 당 확진자 수

국가명

총 확진자 수

10만명 당 확진자 수

룩셈부르크

44,582

7,430

콜롬비아

1,507,222

3,027

체코

635,414

5,994

슬로바키아

155,218

2,822

벨기에

626,911

5,404

덴마크

137,632

2,373

미국

17,712,290

5,382

아이슬란드

5,656

1,885

슬로베니아

106,296

5,062

독일

1,530,180

1,857

스위스

402,264

4,677

아일랜드

80,267

1,672

이스라엘

376,330

4,376

에스토니아

22,647

1,742

네덜란드

700,867

4,099

라트비아

31,335

1,649

리투아니아

116,358

4,012

터키

1,229,366

1,481

스페인

1,819,249

3,921

캐나다

507,795

1,361

오스트리아

337,440

3,835

그리스

131,597

1,186

프랑스

2,436,873

3,720

멕시코

1,320,545

998

스웨덴

367,120

3,635

노르웨이

43,905

813

포르투갈

376,220

3,653

핀란드

33,414

597

이탈리아

1,964,054

3,318

일본

200,658

158

칠레

587,488

3,210

호주

28,198

112

폴란드

1,214,525

3,196

대한민국

52,550

101

헝가리

306,368

3,158

뉴질랜드

1,765

37

영국

2,073,515

3,095

-

-

-


 ○ 그러나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절대 긍정적이지 않으며, 방역당국의 입장에서는 매우 우려스럽고 긴장감이 높은 상황이다.


 ○ 바이러스 생존성이 높아지는 겨울인 상황과 연말·연시 모임이 잦은 시기 및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 등 위험요인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코로나19 방역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의료진, 전국의 방역 공무원 및 역학조사관이 심한 과로 상황에 처해 있다.


 ○ 그럼에도 현재의 위기 상황을 빠르게 타개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핵심 방역전략인 검사-추적-관리로 이어지는 연계 시스템의 실효성을 더욱 높이고자, 보다 선제적인 검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국민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 적극적인 참여를 지속적으로 독려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올해 성탄절 연휴에는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머물러줄 것을 요청하면서, 국민 한분 한분의 거리두기 실천이 내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며 성탄절을 가장 의미있게 보내는 방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 주말 성탄절 연휴를 맞아 각종 모임ㆍ행사가 증가하여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나고 감염이 더 확산된다면,


   - 성탄절은 잠시 즐겁게 보냈다 하더라도 그 이후에는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위기가 올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시고, 계획한 모든 모임과 약속을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연휴를 보내시길 간곡히 당부하였다.


 ○ 아울러 국민들께서 반드시 실천하여야 할 수칙 세 가지는,


   -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한다.


   -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전담클리닉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다.


   - 이와 함께 연휴임에도 환자 곁을 지키는 의료진과 코로나19로 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방역공무원, 역학조사관들의 노력이 헛되는 일이 없도록 온 국민이 힘을 모아주시길 거듭 강조하였다.


< 동절기 및 연말·연시 방역 수칙 >

공통 수칙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과태료 부과 대상 시설은 별도 확인

필수적인 경우가 아닌 불요불급한 외출 자제, 비대면·비접촉으로 모임행사 진행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검사

타인과 접촉 최소화 및 사람 많은 다중이용시설 이용 자제

 

1. 가정에서 생활 할 때

모임과 이동 없이 안전하게!”

2.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

외출은 짧게, 혼잡하지 않은 곳으로!”

3. 대중교통 이용하여 이동할 때

대중교통 이용시엔 마스크, 거리 두기는 필수!”

4. 연말연시 등 모임

아쉬워도 모임은 취소해 주세요!”

5. 음식점카페 등에서 식사할 때

외식할 경우 거리유지, 대화자제, 손 위생은 꼭 지켜주세요

6. 귀가 후

귀가 후 아프면 검사받으세요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및 비수도권 다중이용시설 방역지침 의무화 조치 비교표
           4. 전국 연말·연시 방역강화 조치사항
           5.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23.() 0시 기준

36,726

15,0831)

284

739

12.24.() 0시 기준

37,425

15,352

291

756

변동

(+)699

(+)269

(+)7

(+)17

* 12230시부터 1224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1) 신고 시·도 집계 오류 정정 및 지자체 오신고 정정(12.23. 0시 기준 서울 1, 경기 1)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24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서울 마포구 보험회사와 관련하여 12월 5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종사자 12명, 가족 2명, 기타 2명(지표포함)


 ○ 서울 강남구 콜센터2와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종사자 15명(지표포함)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6명이다.


구분

환자/입소자

(지표포함)

종사자

간병인/

보호자

요양원

관련*

가족/

지인

기타*

확인중*

12.22일 누계

107

50

6

13

4

4

4

26

금일 누계

116(+9)

60(+10)

6

35(+22)

0(-4)

12(+8)

3(-1)

0(-26)

   *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재분류함


 ○ 서울 노원구 병원과 관련하여 격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2명*이다.
    * (구분) 환자 19명(지표포함, +2), 종사자 7명, 가족 및 지인 6명(+6)


 ○ 서울 금천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5명*이다.
    * (구분) 교인 24명(지표포함, +4), 가족 1명


 ○ 경기 파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입소자 및 이용자 4명, 가족 1명


 ○ 경기 파주시 복지시설과 관련하여 격리 중 1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0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4), 이용자 24명(+14)


 ○ 경기 남양주시 어린이집과 관련하여 12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원아 1명, 가족 및 지인 3명


 ○ 경기 안양시 고등학교와 관련하여 12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교사 5명(지표포함), 학생 8명   (지역) 경기 11명, 서울 2명


 ○ 경기 광주시 특수학교와 관련하여 12월 22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학생 1명, 가족 5명, 지인 5명


 ○ 인천 강화군 종합병원과 관련하여 12월 14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환자 7명(지표포함), 환자가족 1명, 종사자 2명


 ○ 인천 남동구 일가족과 관련하여 12월 1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5명(지표포함), 동료 및 지인 6명, 동료가족 4명


 ○ 대전 유성구 주간보호센터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 4명(지표포함), 이용자 9명, 가족 4명(+4)


 ○ 충북 청주시 요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 추적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0명*이다.
    * (구분) 종사자 21명(지표포함, +3), 입소자 60명(+8), 가족 9명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 병원과 관련하여 공동격리자 추적검사 및 접촉자 조사 중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5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괴산 병원

37(+6)

환자 29(지표포함 +6), 종사자 2, 방문자 6

음성 병원

87(+4)

환자 83(+4), 종사자 4

진천 병원

21(+10)

환자 20(+9), 종사자 1(+1)

    * (추정감염경로) 괴산병원 → 음성병원/진천병원으로 환자 전원


 ○ 대구 동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50명*이다.
    * (구분) 교인 42명(지표포함, +7), 가족 등 8명(+6)


 ○ 경북 구미시 종교시설2와 관련하여 12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3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3명*이다.
    * (구분) 모임참석 3명(지표포함), 참석자가족 4명, 교회 관련 26명


 ○ 광주 북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 (구분) 지표환자 1명, 종사자 6명, 입소자 13명(+1), 기타 9명(+4)


 ○ 제주 제주시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제주 종교시설 관련

16

교인 8(지표포함), 가족 6, 지인 2

제주 저녁모임1 관련

9

모임참석자 5, 가족 3, 기타 1

제주 저녁모임2 관련

9

모임참석자 4, 가족 5

제주 사우나 관련

52(+6)

이용자 35, 가족 6(+2), 지인/기타 11(+4)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52(+13)

종사자 8, 가족 9, 방문객 19(+3), 기타 16(+10)

    * (추정감염경로) 제주 종교시설 관련 → 제주 저녁모임1 관련 → 제주 저녁모임2 관련 → 제주 사우나 관련 → 제주 라이브카페 관련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경비 방호요원의  코로나19 확진 상황을 설명하였다.


 ○ 서울시 강남구 소재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경비근무를 담당하는 방호요원 10명이 코로나19로 확진되어 역학조사 및 관리 중이다.


 ○ 또한 해당 부서 전원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후 자가격리 중이며, 확진자의 접촉자들도 검사 및 자가격리 조치 중이다.

    * 확진자와 접촉한 동료 25명 검사 결과 음성 확인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OECD 회원국의 코로나19 발생 현황(’20.12.23일 기준) 설명과 함께 현 상황을 진단하였다.


 ○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37개 국가 중 인구 10만명 당 확진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룩셈부르크이며(7,430명), 우리나라(101명)는 뉴질랜드(37명), 호주(112명)와 함께 가장 적은 국가 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국가명

총 확진자 수

10만명 당 확진자 수

국가명

총 확진자 수

10만명 당 확진자 수

룩셈부르크

44,582

7,430

콜롬비아

1,507,222

3,027

체코

635,414

5,994

슬로바키아

155,218

2,822

벨기에

626,911

5,404

덴마크

137,632

2,373

미국

17,712,290

5,382

아이슬란드

5,656

1,885

슬로베니아

106,296

5,062

독일

1,530,180

1,857

스위스

402,264

4,677

아일랜드

80,267

1,672

이스라엘

376,330

4,376

에스토니아

22,647

1,742

네덜란드

700,867

4,099

라트비아

31,335

1,649

리투아니아

116,358

4,012

터키

1,229,366

1,481

스페인

1,819,249

3,921

캐나다

507,795

1,361

오스트리아

337,440

3,835

그리스

131,597

1,186

프랑스

2,436,873

3,720

멕시코

1,320,545

998

스웨덴

367,120

3,635

노르웨이

43,905

813

포르투갈

376,220

3,653

핀란드

33,414

597

이탈리아

1,964,054

3,318

일본

200,658

158

칠레

587,488

3,210

호주

28,198

112

폴란드

1,214,525

3,196

대한민국

52,550

101

헝가리

306,368

3,158

뉴질랜드

1,765

37

영국

2,073,515

3,095

-

-

-


 ○ 그러나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절대 긍정적이지 않으며, 방역당국의 입장에서는 매우 우려스럽고 긴장감이 높은 상황이다.


 ○ 바이러스 생존성이 높아지는 겨울인 상황과 연말·연시 모임이 잦은 시기 및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 등 위험요인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코로나19 방역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의료진, 전국의 방역 공무원 및 역학조사관이 심한 과로 상황에 처해 있다.


 ○ 그럼에도 현재의 위기 상황을 빠르게 타개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핵심 방역전략인 검사-추적-관리로 이어지는 연계 시스템의 실효성을 더욱 높이고자, 보다 선제적인 검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국민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 적극적인 참여를 지속적으로 독려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올해 성탄절 연휴에는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머물러줄 것을 요청하면서, 국민 한분 한분의 거리두기 실천이 내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며 성탄절을 가장 의미있게 보내는 방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 주말 성탄절 연휴를 맞아 각종 모임ㆍ행사가 증가하여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나고 감염이 더 확산된다면,


   - 성탄절은 잠시 즐겁게 보냈다 하더라도 그 이후에는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위기가 올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시고, 계획한 모든 모임과 약속을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연휴를 보내시길 간곡히 당부하였다.


 ○ 아울러 국민들께서 반드시 실천하여야 할 수칙 세 가지는,


   -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한다.


   -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전담클리닉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다.


   - 이와 함께 연휴임에도 환자 곁을 지키는 의료진과 코로나19로 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방역공무원, 역학조사관들의 노력이 헛되는 일이 없도록 온 국민이 힘을 모아주시길 거듭 강조하였다.


< 동절기 및 연말·연시 방역 수칙 >

공통 수칙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과태료 부과 대상 시설은 별도 확인

필수적인 경우가 아닌 불요불급한 외출 자제, 비대면·비접촉으로 모임행사 진행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검사

타인과 접촉 최소화 및 사람 많은 다중이용시설 이용 자제

 

1. 가정에서 생활 할 때

모임과 이동 없이 안전하게!”

2.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

외출은 짧게, 혼잡하지 않은 곳으로!”

3. 대중교통 이용하여 이동할 때

대중교통 이용시엔 마스크, 거리 두기는 필수!”

4. 연말연시 등 모임

아쉬워도 모임은 취소해 주세요!”

5. 음식점카페 등에서 식사할 때

외식할 경우 거리유지, 대화자제, 손 위생은 꼭 지켜주세요

6. 귀가 후

귀가 후 아프면 검사받으세요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및 비수도권 다중이용시설 방역지침 의무화 조치 비교표
           4. 전국 연말·연시 방역강화 조치사항
           5.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