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내 희귀질환 국가통계 첫 공표
  • 작성일2020-12-29
  • 최종수정일2020-12-29
  • 담당부서희귀질환관리과
  • 연락처043-719-8779

국내 희귀질환 국가통계 첫 공표


희귀질환관리법 시행(‘16.12) 이후 국내 희귀질환 현황 파악을 위한 2019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 첫 발간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국내 희귀질환 발생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2019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를 공표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희귀질환관리법」에 근거하여 2019년부터 희귀질환* 관리 정책 및 연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희귀질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희귀질환 등록통계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이번이 첫 번째 공표이다.


     * 희귀질환 : 유병(有病)인구가 2만 명 이하이거나 진단이 어려워 유병인구를 알 수 없는 질환으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절차와 기준에 따라 정한 질환(희귀질환관리법 제2조)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공고한 질환


   - 이번 통계 연보는 등록통계 사업 추진을 통하여 산출한 결과로서 희귀질환 산정특례*에 등록된 국내 희귀질환자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작성되었다.


     *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및 「의료급여 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에 의거 희귀질환자가 부담하는 진료비에 대하여 본인부담율을 경감하거나 면제하는 제도


□ 「2019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발생) 2019년도 신규 희귀질환자 발생자 수*는 55,499명(주민등록연앙인구 대비 0.1%)이다.


     * 발생자 수 : 통계 작성기준년도 기간(매년 1월 1일~12월 31일)동안 희귀질환 산정특례에 신규로 등록한 환자의 수


 ○ (성별) 희귀질환자 중 남자는 26,148명(47.1%), 여자는 29,351명(52.9%)이었다.


 ○ (질환별) 희귀질환 중 극희귀질환*은 775명(1.4%), 기타 염색체 이상질환**은 45명(0.1%)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 극희귀질환 : 독립된 질환으로 유병(有病)인구가 200명 이하로 유병률이 극히 낮거나 별도의 상병코드가 없는 질환


     ** 기타 염색체 이상질환 : 과학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발견된 질환명이 없는 새로운 염색체 이상(염색체 결손, 중복 등) 질환으로 별도의 상병코드가 없지만 증상이 아닌 질환으로 규정할 수 있는 희귀질환


< 2019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 주요 내용 >
                                                                               (단위 : 명, %)


성별

 

질환별

구분

발생자 수

비율

 

구분

발생자 수

비율

 

 

 

 

 

 

 

55,499

100

 

55,499

100

 

 

 

 

 

 

 

남자

26,148

47.1

 

희귀질환

54,679

98.5

 

극희귀질환

775

1.4

여자

29,351

52.9

 

기타 염색체 이상질환

45

0.1


 ○ (다빈도 질환) 발생자 수가 200명 초과인 질환은 926개 질환(2019년 희귀질환 지정 공고 목록 기준)* 중 총 48개** 질환으로서 43,518명(78.4%)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 [붙임1] 2019 희귀질환 지정 공고 목록


     ** [붙임2] 발생자 수가 200명 초과인 질환 목록 및 발생자 수


   - (연령군별) 이 중, 희귀질환 발생자 수가 가장 많은 연령군은 60~64세(4,185명)로, 50세 이상이 24,195명(55.6%*)으로 나타났다.


     * 200명 초과 희귀질환 발생자 수(43,518명) 대비


   - (권역별) 권역별로는 서울·인천 등록 희귀질환자 수가 11,57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11,067명), 영남(10,562명)이 뒤를 이어 전체의 76.3%*를 차지하였다.


     * 200명 초과 희귀질환 발생자 수(43,518명) 대비


< 다빈도 질환 주요 현황 >
                                                                                 (단위 : 명, %)


연령군별

 

권역별

구분

발생자 수

비율

 

구분

발생자 수

비율

 

 

 

 

 

 

 

43,518

100

 

43,518

100

 

 

 

 

 

 

 

1세 미만

422

0.97

 

서울·인천

11,576

26.60

1~4

416

0.96

 

5~9

490

1.13

 

경기

11,067

25.43

10~14

699

1.61

 

15~19

1,367

3.14

 

강원

1,280

2.94

20~24

1,884

4.33

 

25~29

2,286

5.25

 

30~34

2,340

5.38

 

충청

4,413

10.14

35~39

3,008

6.91

 

40~44

2,915

6.70

 

영남

10,562

24.27

45~49

3,490

8.02

 

50~54

3,599

8.27

 

호남

3,930

9.03

55~59

4,036

9.27

 

60~64

4,185

9.62

 

65~69

3,435

7.89

 

제주

683

1.57

70~74

3,146

7.23

 

75~79

2,956

6.79

 

알수없음

7

0.02

80세 이상

2,838

6.52

 

알수없음

6

0.01

 


□ 질병관리청은 매년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를 발간할 계획이며, 통계 이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통계 결과표를 개발하여 연보에 추가할 예정이다.


□ 아울러 이 연보는 질병관리청 대표 누리집(http://www.kdca.go.kr) 및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https://www.helpline.kdca.go.kr)에서 열람 및 내려 받기가 가능하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본 통계 연보를 통하여 국내 희귀질환자 발생 현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희귀질환과 관련된 연구계획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연보가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붙임>  1. 2019년 희귀질환 지정 공고 목록[926개]
            2. 발생자 수 200명 초과 질환 목록[48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