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만성뇌혈관질환 연구용 영상정보·라이프로그 등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보유 인체자원 공개범위 확대
  • 작성일2021-05-31
  • 최종수정일2021-06-01
  • 담당부서바이오뱅크과
  • 연락처043-719-6543

만성뇌혈관질환 연구용 영상정보·라이프로그 등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보유 인체자원 공개범위 확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 직접 수집 또는 기탁 받은 약 18만 명분의 인체자원 국내 연구자에게 공개 분양

만성뇌혈관질환,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체 자원화 사업,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등으로 수집한 인체자원이 다양한 보건의료연구 및 바이오헬스산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이하 ‘중앙은행’)에서 수집 및 기탁을 통해 확보한 연구용 뇌 영상정보와 라이프로그* 정보 등 약 18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6월 1일부터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 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통해 개인의 일상과 행동패턴(수면시간, 활동량 등)을 디지털 공간에 기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자료


  ○ 이번 공개에는 만성뇌혈관질환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 등으로 수집한 약 7천명분의 인체유래물(DNA)과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KoGES) 등 약 17만 4천명분의 추가 임상·역학정보가 포함된다.


   - 만성뇌혈관질환 바이오뱅크 컨소시엄(사업책임자 아주대 홍창형교수)을 통해 수집된 인체자원은 지난해 760명분의 임상정보와 인체유래물 및 434명분의 유전체정보(Korea Biobank Array*)를 공개한 바가 있으며,


    *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 분석 칩


   - 이번에 추가로 공개하는 인체자원은 1,013명분의 혈청, 혈장과 임상·역학정보를 비롯해 뇌 영상 정보(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라이프로그 정보와 지난해에 이어 추가된 556명분의 유전체정보이다.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주관부서 유전체역학과)으로 추가 공개하는 인체자원은 도시기반코호트 기반조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약 17만 3천명분의 수술력, 약물력 등 551개 임상·역학정보 항목으로써,


   - 기존에 공개한 1,232개 항목에 덧붙여 총 1,738개 변수로 공개 대상 임상·역학정보 범위가 확대되었다.


   -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체 자원화사업을 통해 수집되는 인체자원은 매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공개(주관부서 건강영양조사분석과) 시점에 맞추어 당해 연도 인체자원을 공개하고 있으며,


   - 이번에 공개하는 인체자원은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인체유래물 기증에 동의한 4,390명의 DNA, 혈청 및 혈장이다.


   - 최근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체 자원화사업을 통해 인체유래물 기증에 동의하는 참여자가 증가함에 따라 공개자원의 규모가 커지고 있어 면역도 조사, 새로운 혈액분석기술 개발 등 다양한 보건의료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공개된 인체자원의 코드북 등 상세정보는 질병관리청 중앙은행 누리집(http://nih.go.kr/biobank) 내 인체자원분양데스크를 통해 검색 및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중앙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들에게 제공된다.


 ○ 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더불어, 만성뇌혈관질환 바이오뱅크 컨소시엄에서는 분양과제 일괄 공모 등 기획 분양 및 활용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만성뇌혈관질환 인체자원 활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미래의료연구부장(중앙은행장)은 “보건의료 및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중앙은행은 앞으로도 연구수요가 높은 질환자 및 일반인 인체자원 확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공개범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신규 공개대상 인체자원 세부내용
          2.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대상 인체자원('21.6월 기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