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20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발표
  • 작성일2021-06-17
  • 최종수정일2021-06-18
  • 담당부서결핵정책과
  • 연락처043-719-7325

2020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발표


가족 및 집단시설 내 결핵환자 발생 시 역학조사 실시, 조기발견 및 추가전파 억제

- 집단시설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환자 102, 잠복결핵감염자 11,494 발견

- 가족접촉자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환자 126, 잠복결핵감염자 5,547 발견

 

결핵 전파 차단을 위해 역학조사 적극 협조 및 잠복결핵감염 등 치료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결핵환자 발생에 따른 가족 및 집단시설에서  접촉자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2020년 결핵 역학조사* 주요결과」를 발표하였다.


   * ’13년부터 결핵전문역학조사반을 구성·운영하였으며, 현재 전국 5개 권역 질병대응센터에 반원(24명)을 배치하여 지자체와 함께 결핵 역학조사 실시


 ○ 결핵 역학조사는 결핵환자의 전염성 등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 공간에서 지낸 접촉자를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실시하여 환자 또는 잠복결핵감염자를 신속히 발견하고 치료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2020년 집단시설에서 실시한 결핵 역학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붙임 2)


 ○ 2020년 전체 결핵환자 2만 5,350명*(신환자 19,933명) 중 집단시설에 속한 환자는 7,234명이며, 그 중 역학조사 실시기준**에 따라 총 4,188건 (57.9%)을 조사(전년 대비 실시율 1.6%p 증가)하였다.


     * 신환자 및 재치료자(재발자, 치료중단 후 재치료자 등),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환자 포함


    ** 전체 결핵환자 대상 호흡기 검체 검사결과 양성 또는 흉부X선 검사 상 공동이 확인된 경우


   - (집단시설 발생) 우리나라 결핵환자 발생이 감소함에 따라 집단시설 관련 결핵환자 수도 매년 감소하고 있고,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 유행으로 학교 비대면 수업,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면서 집단시설에서 환자 발생 감소* 폭이 더 컸다.


     * 전년대비 환자 발생 감소율 (’17) 1.2% → (’18) 8.8% → (’19) 4.2% → (’20) 10.1%


   - (역학조사 실시) 역학조사 실시기준(붙임 2-?)이 매년 강화되면서 집단시설 환자 발생 건수 대비 역학조사 실시 건수의 비율은 매년 증가해 왔지만, 2020년 역학조사 실시 건수는 지난 해(4,526건) 대비 7.5% 감소한 4,188건이었다.


[1] 최근 5년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 현황 (20162020)

 

 

(단위: ,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발생현황

(전년대비 감소율)

9,321

 

9,206

(1.2)

8,395

(8.8)

8,045

(4.2)

7,234

(10.1)

조사현황

(발생건 대비 실시율)

3,502

(37.6)

3,759

(40.8)

4,041

(48.1)

4,526

(56.3)

4,188

(57.9)


○ 집단시설별 역학조사 실시현황을 보면, 직장이 2,090건(49.9%)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시설 821건(19.6%), 의료기관 651건(15.5%), 학교 325건(7.8%) 순으로 확인되었다. (붙임 2-?)


   - (학교) 어린이집·유치원을 포함하여 학교 전체에서의 환자발생과 역학조사 실시 건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고, 2020년 환자발생은 전년대비 27% 감소(‘19년 935건 → ’20년 683건)함에 따라 역학조사 실시 건수도 함께 감소(‘19년 514건 → ’20년 325건)하였다.


   - (의료기관) 환자발생과 역학조사 실시 건수 모두 매년 감소하고 있고, 2020년 환자발생은 전년 대비 12.2% 감소(‘19년 1,160건 → ’20년 1,018건)함에 따라 역학조사 실시 건수도 함께 감소(‘19년 780건 → ’20년 651건)하였다.


   - (사회복지시설) 환자발생과 역학조사 실시 건수가 매년 증가하였으나, 2020년 환자 발생이 전년대비 12% 감소(‘19년 1,254건 → ’20년 1,104건)하면서, 역학조사 실시 건수도 11.2% 감소(‘19년 925건 → ’20년 821건)하였다.


   - (직장) 환자발생 건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역학조사는 실시기준 강화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0년에도 환자발생은 전년 대비 5.5% 감소(‘19년 4,173건 → ’20년 3,943건)한 반면, 역학조사 실시 건수는 6% 증가(‘19년 1,971건 → ’20년 2,090건)하였다.



<집단시설별 결핵 역학조사 건수 (2016-2020) 그림 붙임 참조>



 ○ 2020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를 통해 추가적으로 102명*(10만 명 당 93명)의 결핵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 1만 1,494명을 발견하였다.


   - (추가환자 발견) 접촉자 10만 9,723명 결핵검사를 통해 102명을 추가로 발견하였으며, 매년 추가로 발견되는 환자 수는 감소 추세이다. 시설별로는 사회복지시설 33명(32.4%), 직장 31명(30.4%), 의료기관 24명(23.5%), 학교 12명(11.8%) 순이었다.


   - (잠복결핵감염 진단) 결핵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5만 3,033명에 대해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1만 1,494명(21.7%)이 양성으로 진단되었으며, 잠복결핵감염률은 사회복지시설 30.0%, 교정시설 29.8%, 의료기관 25.8%, 직장 25.0% 순으로 확인되었다.



[2] 최근 5년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 결과 (20162020)

(단위: ,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247

206

181

154

102

잠복결핵

감염자()

12,707

(18.5)

10,884

(18.1)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 2020년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 2만 4,650명을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26명(10만 명 당 511명), 잠복결핵감염자 5,547명(27.4%)이 진단되었다.


   *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 및 동거인


 ○ 한편, 집단시설 및 가족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현황은 다음과 같다.



[3] 잠복결핵감염자 치료 현황 (2020)

 

(단위 : , %)

 

역학조사

잠복결핵감염 검사

잠복결핵감염 치료

검사자

잠복결핵감염자()

치료 시작자()*

치료 완료자()**

집단시설

53,033

11,494(21.7)

5,397(49.7)

4,184(79.5)

가족접촉자

20,254

5,547(27.4)

3,234(59.9)

1,850(57.6)


   *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중 치료시작자의 비율


  ** 잠복결핵감염 치료완료예정자 중 치료완료자의 비율


   - 집단시설의 결핵환자 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 시작률은 49.7%, 치료를 시작한 사람 중 치료완료율은 79.5%였으며, 가족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 시작률은 59.9%, 치료를 시작한 사람 중 치료 완료율은 57.6%였다.


 ○ 질병관리청은 결핵 검진 및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가족접촉자 검진 의료기관(553개)과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560개)을 운영*하고 있으며, 검사ㆍ치료관련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 검진 및 치료 의료기관 명단은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kdca.go.kr)에서 확인 가능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철저한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 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를 조기 발견·치료하는 것이 결핵퇴치의 중요한 수단이므로,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 “코로나19 대응으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결핵 역학조사를 차질 없이 실시하여 결핵 감소에 기여한 지자체 및 의료인 등 관계자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 아울러, 코로나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결핵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검사와 환자 관리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


<붙임>  1. 시‧도별 결핵환자 신고 현황
            2. 결핵역학조사 주요 결과
            3. 결핵전문역학조사반 배치현황 및 결핵역학조사 흐름도
            4. 결핵 바로알기 카드뉴스
            5. 잠복결핵감염 바로알기 카드뉴스
            6. 결핵예방 관련 홍보자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