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단계적 일상회복, 꼼꼼한 개인방역 수칙 준수로(11.2.,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11-02
  • 최종수정일2021-11-08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보도대응팀
  • 연락처043-719-9064

단계적 일상회복, 꼼꼼한 개인방역 수칙 준수로(11.2., 정례브리핑)    


※ 41, 42쪽 설명(주석) 추가(16:10), 8쪽 10대 확진자 증가 부분 설명 수정(11.3., 17:50), 어르신 인플루엔자 접종 안내 홍보물 삭제(11.8., 14:40)


- 실내마스크 착용, 환기, 유증상시 즉시 검사받기 등 방역 긴장감 유지 필요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1주간 위중증 환자 수(343333) 및 사망자(10185) 전주 대비 감소

 

국내 신규환자 일평균 발생(1,3381,726) 전주 대비 증가

 

거리두기 완화, 이동량 증가에 따른 확진자는 증가세로 실내마스크 착용, 환기, 손씻기 등 개인방역수칙 준수 당부

 

코로나19 국외발생 동향

 

한 주간 전 세계 신규환자는 294만 명으로 전주 비해 소폭 증가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시행 안내

 

설 이용 시 방역패스 또는 적용예외 확인서 및 PCR 음성 확인서 제시

 

 

코로나19 추가접종 예약 및 접종일정 안내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후 추가접종 가능, 가능일 2주 전부터 사전예약 가능

* 면역저하자, 얀센백신 접종자는 기본접종 완료 2개월 후부터 추가접종 가능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수칙 당부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환자 지속 증가, 개인위생 수칙 준수 당부



1.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10.24.~10.30.) 일평균 재원중인 중증 환자 수는 333명(전주 343명),  사망자는 85명(전주 101명)으로 전주 대비 다소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10월2주) 368명→(10월3주) 343명 →(10월4주) 333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0월2주) 84명 → (10월3주) 101명 → (10월4주) 85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10월2주) 504개→(10월3주) 540개→(10월4주) 604개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10월 4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에서 247명(74.2%), 다음으로 40~50대가 65명(19.5%), 30대 이하가 21명(6.3%)이었다.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0월 4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72명(84.7%)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12명(14.1%), 30대가 1명(1.2%)이었다.


< 최근 한 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101

(10.3.~10.9.)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주간 사망 환자 수()

56

84

101

85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361

368

343

333

가용 중환자실()

462

504

540

604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

국내발생

1,960.7

1,561.9

1,338.9

1,716.4(28.2%)

 

수도권

1,478.9

1,215.4

1,043.0

1,342.3(28.7%)

비수도권

481.9

346.4

295.9

374.1(26.4%)

해외유입

25.7

18.0

18.4

21.9

전 체

1,986.4

1,579.9

1,357.3

1,738.3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

국내발생


33.0

(4,531/13,725)


32.8

(3,589/10,933)


29.0

(2,721/9,372)


27.8

(3,345/12,015)

방역망 내 관리 분율(%)

국내발생

32.4

31.8

36.6

34.7

감염재생산지수(Rt)

0.89

0.86

0.88

1.06

신규 집단발생 건수()

92(-)

91(9)

77(46)

44*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389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불완전 접종자는 75.6%(294명), 완전접종자는 24.4%(95명) 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연령군별 사망자 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716명(국내 발생 12,015명)으로 전주(일평균 1,338.9명) 대비 28.2%(377.5명) 증가하였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342명(전체 환자 수 9,396명)으로, 전주(일평균 1,043.0명) 대비 28.7%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374명(전체 환자 수 2,619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295.9명) 대비 24.6%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06으로 확산세로 전환되었으며, 수도권은 1.06, 비수도권은 1.04였다.


   **전국 Rt : 0.89(10월1주) → 0.86(10월2주) → 0.88(10월3주) → 1.06(10월4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22명(총 153명)으로 전주 대비(18.4명) 18.5% 증가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10.30.)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증가하였으며, 10대(0~19세)‧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이 20% 이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학령기 연령군은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0.30. 0시 기준) >


구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세이상

101

(10.3.~10.9.)

환자수

13,725

932

1,516

2,771

2,455

2,196

1,579

1,383

563

330

일평균발생률

3.8

3.4

4.6

5.8

5.1

3.8

2.6

2.9

2.2

2.4

102

(10.10.~10.16.)

환자수

10,933

877

1,336

1,891

1,909

1,676

1,218

1,151

542

333

일평균발생률

3.0

3.2

4.0

4.0

4.0

2.9

2.0

2.4

2.1

2.4

103

(10.17.~10.23.)

환자수

9,372

774

1,304

1,346

1,575

1,349

1,005

1,149

510

360

일평균발생률

2.6

2.8

3.9

2.8

3.3

2.3

1.7

2.4

2.0

2.6

104

(10.24.~10.30.)

환자수

12,015

1,118

1,864

1,453

1,789

1,619

1,230

1,642

788

512

일평균발생률

3.3

4.0

5.6

3.0

3.7

2.8

2.0

3.5

3.0

3.7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일평균 발생률(10.30. 0시 기준) >


연령별

101

(10.3.~10.9.)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2,284

4.0

2,081

3.6

1,997

3.5

2,869

5.0

6세 이하

599

3.3

558

3.1

462

2.6

663

3.7

712

664

3.4

626

3.2

671

3.4

947

4.8

1315

459

4.7

469

4.8

467

4.8

658

6.8

1618

합계

562

5.5

428

4.2

397

3.9

601

5.9

 

16

260

7.8

189

5.7

201

6.1

275

8.3

17

201

5.8

175

5.1

143

4.1

263

7.6

18

101

2.9

64

1.9

53

1.5

63

1.8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53.9%, 6,564명) 및 ‘조사 중 비율’(27.5%, 3,345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10월1주) 45.5%(6,320명)→ (10월2주) 47.2%(5,225명) → (10월3주) 48.9%(4,643명) → (10월4주) 53.9%(6,564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9.26.~10.30.)>


구 분

101

(10.3.~10.9.)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전체

13,905

(100%)

11,059

(100%)

9,501

(100%)

12,168

(100%)

확진자 접촉

6,320

(45.5%)

5,225

(47.2%)

4,643

(48.9%)

6,564

(53.9%)

지역 집단발생

2,589

(18.6%)

1,755

(15.9%)

1,640

(17.3%)

1,534

(12.6%)

병원 및 요양시설 등

285

(2.0%)

364

(3.3%)

368

(3.9%)

569

(4.7%)

해외유입

180

(1.3%)

126

(1.1%)

129

(1.4%)

153

(1.3%)

해외유입 관련

0

(0.0%)

0

(0.0%)

0

(0.0%)

3

(0.0%)

조사중(미분류)

4,531

(32.6%)

3,589

(32.5%)

2,721

(28.6%)

3,345

(27.5%)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3,735

(31.6%)

2,983

(25.3%)

2,314

(19.6%)

2,772

(23.5%)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44건으로 교육시설 14건, 사업장 11건,  의료기관/요양시설 9건, 다중이용시설(사회복지시설, 목욕탕, 태권도학원 등) 7건,  종교시설 2건, 가족 및 지인모임 1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현황) 외국인 발생 비중은 14.3%(1,721명)로 4주연속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13.6% 높은 수준으로, 전주(10.6%) 대비 3.0%p 증가하였다.(10.26. 기준)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식당, 카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박물관,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에 대한 7일 이동 평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99.9%로 전주 대비 0.1% 증가하였고,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되었다. (10.30. 0시 기준)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0.30. 기준) >


분석주차

분석

건수

분석률

(%)

주요 변이

알파형

베타형

감마형

델타형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64

642

18.7

196

30.5

175

27.3

-

-

-

-

21

3.3

101

3,275

22.8

3,267

99.8

-

-

-

-

-

-

3,267

99.8

102

3,245

27.6

3,245

100.0

-

-

-

-

-

-

3,245

100.0

103

3,245

33.4

3,238

99.8

-

-

-

-

-

-

3,238

99.8

104

2,997

27.9

2,994

99.9

-

-

-

-

-

-

2,994

99.9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예방접종 효과로 감소세였던 확진자수가 거리두기 완화 및 이동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


    * 주간 일 평균확진자(명): 1,986.4(10.1주) → 1,579.9(10.2주) → 1,357.3(10.3주) → 1,738.3(10.4주)


 ○ (단계적 일상회복)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계획 시행에 따른 추가적인 거리두기 완화로 환자 증가의 가능성이 있다.


   *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 제한 해제, (행사·집회) 미접종자 100명 미만 허용, 접종완료자 100~500명 행사 허용, (사적모임) 12명까지 허용 등


   - 우리보다 먼저 일상 회복 전환을 시도한 국가들은 대부분 1~2개월 후 확진자가 재급증하였고, 일부 국가는 다시 강력한 방역 조치로 회귀한 사례가 있는 만큼 꼼꼼한 개인방역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 이에, 방역 당국은 안전한 일상 회복 연착륙을 위해 실내마스크 착용, 환기, 증상발생 시 즉시 검사받기 등 철저한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를 강조하는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고,


   -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안착을 위해 계도기간(1주) 중 지자체, 관련부처, 협회 등 대상으로 제도 변경 사항 안내 및 현장애로 사항을 청취할 예정이다.


   - 또한, 소관 시설에 대한 제도 운영 점검과 관련 협회를 통한 자율 방역 협조를 요청하였다.


 ○ (10대 확진자 증가) 10대 학령층은 아직 접종률이 낮으나, 최근 활동 및 대면수업 확대로 인해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 확진자수(10대/명): 200(10.25) →208(10.26) →335(10.27) →325(10.28) →301(10.29) →270(10.30)


** 0~19세 확진자 비율(%): 16.5(9월 5주) → 17.6(10월 1주) → 20(10월 2주) → 21.9(10월 3주) → 24.5(10월 4주)


   - 정부는 10대 학령층의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학생·학부모 대상 예방접종 효과와 안전성 등의 안내 및 홍보를 강화하고, 8세 이하 아동ㆍ청소년이 방역패스 없이 출입 가능한 시설 및 행사 등에 대한 세부 기준 및 관리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60대 이상 확진자 증가) 상반기 우선 접종대상인 60대 이상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 수가 증가하였다.


  * 확진자수(60대 이상/명): 274(10.25) → 288(10.26) → 451(10.27) → 508(10.28)→ 514(10.29) → 607(10.30)


 ** 위증증수(60대 이상/명): 231(10.25) → 242(10.26) → 251(10.27) → 265(10.28) → 331(10.29) → 339(10.30)


   - 특히, 60대 이상 고위험군 환자가 많은 병원·요양원에서 집단감염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병원의 외부출입인원 관리 미흡, 밀집·밀접한 환경, 환기설비 관리 미흡, 화장실 공동사용 등이 주요인으로 파악되었다.


   - 60대 이상 고위험군에서 집단 발생은 위중증,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요양원·정신병원의 입소자·종사자의 추가 접종 신속 시행 및 입소 전 PCR 검사 등을 지속 강화할 것이다.


   - 아울러, 병문안, 면회, 병원 근무 등 관련, 철저한 접종증명·음성확인제에 준수 점검 및 계도를 통해 병원·요양원에 대한 관리를 면밀하게 해 갈 것이다.



2. 코로나19 국외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이전 주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유럽과 미주 지역이 전 세계 발생과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 10.18.∼10.24. 1주간 전 세계 신규환자는 294만 명(WHO 기준)으로 전주(283만 명)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 전 세계: (42주) 확진 2,940,336명(+4%), 사망 49,413명(+5%)


   - 유럽 지역은 전 세계 신규 발생의 57%(1,671,245명)를 차지하며, 6개 지역 중 유일하게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영국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330,465명, +16%)하였다.


     * 유럽: (42주) 확진 1,671,245명(+18%), 사망 21,475명(+14%)


   - 그 다음 신규 환자가 많이 발생한 지역은 미주 지역으로 전 세계 신규 발생의 25%를 차지하였으나, 전주 대비 9% 감소하였다.


     * 미주: (42주) 확진 745,287명(-9%), 사망 18,684명(+1%)


 ○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의 경우, 미국은 1,432명, 영국은 4,868명, 프랑스는 525명, 독일은 1,111명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이스라엘은 833명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미국은 32.5명, 영국은 13.8명, 프랑스는 2.9명, 독일은 5.8명으로 이전 주에 비해 증가하였고, 일본은 0.8명, 이스라엘은 4.4명으로 이전 주에 비해 감소하였다.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5.∼’21.10.23., WHO) 그림 붙임 참고】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0.25.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1.10.18.10.24.)

예방접종률(%)

(’21.10.24.)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45,107,253

730,306

136,275

2,206(1.6%)

1,432

32.5

65.5

56.7

영국

8,734,938

139,461

128,671

2,054(1.6%)

4,868

13.8

72.9

66.8

프랑스

6,899,508

115,088

106,082

1,770(1.7%)

525

2.9

75.6

67.7

독일

4,466,157

95,100

53,701

1,143(2.1%)

1,111

5.8

68.5

65.6

일본

1,716,692

18,191

13,573

144(1.1%)

19

0.8

76.9

69.9

이스라엘

1,322,592

8,048

152,803

930(0.6%)

833

4.4

70.8

65.0

한국

351,899

2,766

6,864

54(0.8%)

185

2.1

79.5

70.2



3. 접종증명·음성확인제(이하 방역패스) 시행 안내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1(월)부터 시행된 접종증명·음성확인제(방역패스)와 관련하여, 국민들께서 시설 이용 전 준비해야 할 접종증명서 등 확인서와 발급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 11.1일∼7일(실내체육시설 11.1일∼14일)은 계도기간으로 운영


< 접종증명·음성확인제에 따른 시설별 이용가능 대상 >


구 분

접종완료자

미접종자 중 예외 인정범위

PCR음성

의학적사유

18세 이하

유흥시설*

×

×

×

경마·경륜·경정/카지노

×

×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

의료기관·요양시설 면회

×

×

노인·장애인 이용 시설

×

×


 * 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 방역패스 적용시설 입장 전,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증명서(COOV앱, 누리집, 접종기관 등)를 제시해야 하며,


 ○ 미접종자는 ①코로나19 PCR 음성확인 또는 ②의학적 사유에 의한 적용예외 확인 후 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 ①코로나19 유전자 진단검사(PCR) 음성 결과(2일 이내)는 보건소*의 PCR 음성확인 문자 통지서**로 확인할 수 있다.


    * PCR 검사를 받은 의료기관의 PCR 음성확인 문자 통지서 사용 가능


    ** 문진표 작성 시 전화번호 오입력 등으로 문자 통지서 수신이 어려운 경우, PCR 음성확인 통지서(종이)로 확인 가능


□ ②의학적 사유에 의한 방역패스 적용 예외자는 코로나19 확진 후 완치자 및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 등 건강상 이유로 인한 접종예외자이다.


 ○ 코로나19 확진 후 완치자는 격리 관할 보건소*에서 ‘격리해제 확인서’를 발급받아 제시하면 된다.


    * 격리·격리해제 통보, 확진자 관리 등 실제 격리업무를 수행한 보건소


 ○ 코로나19 백신 1차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관할 보건소로부터 접종 연기·금기 대상자 통지(문자 등)를 받은 경우, 가까운 보건소에서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예외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 아나필락시스, 혈소판감소성혈전증, 모세혈관누출증후군, 심근염·심낭염 등


 ○ 마지막으로, 건강상 이유로 접종연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진단서·소견서를 지참하여 가까운 보건소에서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예외 확인서를 받을 수 있다.


  - 11.1일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 1차 개편에서는 면역결핍자 또는 항암제·면역억제제 투여자로 접종연기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자로 인정되며,


    * 해당 질환명 및 그로 인한 접종연기 필요성이 모두 명시된 진단서·소견서


  - 세 가지 질환 외의 건강상 이유(경미한 부작용(발열, 통증) 등)은 접종 예외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 방대본은 증명서 또는 확인서를 위·변조하거나, 위·변조한 증명서(또는 확인서)를 사용한 경우, 형법에 따라 처벌 가능하며,


 ○ 안전한 시설이용을 위해 국민과 시설 운영자들께 사전 준비사항을 확인하시어(붙임6~9), 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준수하여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4. 돌파감염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3,037만 6,023명 중 0.076%(76.0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23,072명*으로(10월 24일 기준),


     * (4월) 2명, (5월) 7명, (6월) 116명, (7월) 1,180명, (8월) 2,764명, (9월) 8,911명, (10월) 10,092명


  - (연령대별) 30대가 0.123%(123.1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288%(287.5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112%(112.2/10만 접종자),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46%(46.4명/10만 접종자),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6%(5.8명/10만 접종자)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82%(81.6명/10만 접종자)이었다.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고】



  - (중증화) 돌파감염 추정사례 중 위중증자는 365명, 사망자는 109명이었다.


  - (변이현황) 변이바이러스 분석을 완료한 4,849명 중 95.3%(4,619명)에서 주요변이(델타형 4,586명, 알파형 30명, 감마형 2명, 베타형 1명)가 확인되었다.



5. 코로나19 추가접종 예약 및 접종일정 안내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추가접종 대상자의 예약 및 접종 일정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하였다.


 ○ 현재, 사전예약을 실시하는 추가접종 대상군 중 접종완료 후 6개월이 도래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추가접종 가능일 3주 전부터 개별 문자 발송을 통해 접종일정을 안내 중이다.


【대상별 사전예약 및 접종 일정】


접종대상

접종간격

사전예약 일정

예방접종 일정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6개월 이후

* 6~8개월 사이 권고

10.05.() ~

10.25.() ~

면역저하자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2개월 이후

10.18.() ~

11.01.() ~

얀센백신 접종자

10.28.() ~

11.08.() ~

50대 연령층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6개월 이후

* 6~8개월 사이 권고

11.01.() ~

11.15.() ~

18~49세 기저질환자

우선접종직업군**

* 4.1.부터 1차접종을 시작한 75세 이상 어르신, 노인시설 거주·이용·종사자 대상

** 1차대응요원, 보건의료인, 돌봄종사자,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사회필수인력


   - 사전예약은 추가접종 가능일 2주 전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면역저하자*는 어제부터 추가접종이 시작되었다.


    * 면역저하자에 해당하는 대상 질환의 범위는 관련 학회, 전문가 자문 및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거쳐 선정되었으며, 세부사항은 [붙임 26] 참고


□ 추진단은, 특히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어르신 등 고위험군 대상자분들께서는 도래하는 일정에 맞추어 예약한 후, 예약한 일정에 따라 접종기관을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6. 호흡기감염병 예방을 위해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최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의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주의를 당부하였다.


 ○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비말 접촉으로 전파되며, 우리나라는 주로 4~8월에 유행한다.


   - 대부분 경미한 발열, 기침, 콧물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소아에서  컹컹 짖는 듯한 기침이 특징인 크룹(croup, 급성후두기관지염)이나 세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해열제나 수액 보충과 같이 증상에 따른 치료를 한다.
  
 ○  36주(08.29∼09.04) 이후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6세 이하 영유아에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최근 전국적으로 환자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 표본감시 결과(입원환자 수, 병원급 의료기관 219개소 참여)


     -  38주(9.12.∼9.18.) 56명 → 39주(9.19.∼9.25.) 119명 → 40주(9.26∼10.2) 163명 →  41주(10.3∼10.9) 284명 → 42주(10.10∼10.16) 339명 → 43주(10.17∼10.23) 515명


    - 6세이하 환자수(전체환자 대비 비율): 38주 55명(98.2%)  → 39주 111명(94.9%)  → 40주 152명(93.3%) → 41주 275명(96.8%) → 42주 319명(94.1%) → 43주 473명(91.8%)


    - 시도별 환자수(43주): 경기 121, 경북 68, 서울 44, 강원 38, 전북 35, 경남 35



< 급성호흡기바이러스 환자 발생 추이(2017∼2021) 그림 붙임 참고>



 ○ 의원급 의료기관과 검사 전문 의료기관의 병원체 감시 결과에서도, 43주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률*이 각각 62.5%와 79.1%로 전년 동기간에 비해 상승하였다.


   * (의원급의료기관) ’20년 43주, 0%(전체 71건중 0건) → ’21년 43주, 62.5%(전체 120건중 75건)

     (검사전문의료기관) ’20년 43주, 0.6%(전체 2,339건중 14건) → ’21년 43주, 79.1% (전체 7,464건중 5,902건)


□ 코로나19 유행 이후 올바른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준수와 온라인 수업, 외출 자제 등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사람 간 접촉 빈도 감소, 해외여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호흡기감염병* 발생이 크게 감소**하였다.


  *  결핵(’19년 23,821명 → ’20년 19,933명), 수두(’19년 82,868명 → ’20년 31,430명),
    홍역(’19년 194명 → ’20년 6명), 백일해(’19년 496명 → ’20년 123명),
    성홍열(’19년 7,562명 → ’20년 2,300명), 급성호흡기감염증(’19년 101,038명 → ’20년 24,260명/표본감시)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1,000명당 1∼2명대로 유행기준(5.8명) 이하 유지되어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미발령


 ○ 최근 코로나19 예방접종률 향상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이동량이 많아지면서 사람 간 접촉을 통한 호흡기감염병이 다시 증가 할 수 있으며,
 
   - 보육시설 및 학교의 등원·등교 확대로 감염위험에 취약한 소아에서 호흡기감염병에 감염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 특히 가을 이후 유행가능성이 있는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 접종대상자는 일정에 맞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백일해 등 예방접종 대상 호흡기감염병의 전파 차단을 위해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접종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개인위생수칙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용변 후 등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씻지 않은 손으로 눈, , 입 만지지 않기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
        6.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용자용)
        7.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8.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사업장용)
        9.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이용자용)
       10. 2021년 연령별 파라인플루엔자 신고 현황(5.9.∼10.23.)
       11. 2021년 지역별 파라인플루엔자 신고 현황(5.9.∼10.23.)
       12.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 개요
       13. 연도별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병원체 검출률(40∼43주)
       14.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5.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1탄 (대상자, 건강관리 편)
       16.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2탄 (생활관리, 격리관리 편)
       17.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8.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의료인용)
       19.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주요 FAQ
       20.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21.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의료인용) 
       22.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주요 FAQ
       23.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4.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
       25.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추가접종 종합 안내
       26.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27.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28.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2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학생용)
       3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3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3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33.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34.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3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3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