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학령기 및 60대 이상 연령군 발생 증가(11.9.,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11-09
  • 최종수정일2021-11-10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보도대응팀
  • 연락처043-719-9064

학령기 및 60대 이상 연령군 발생 증가(11.9., 정례브리핑)    ※ 13쪽 연령대별 돌파감염 발생률 설명 수정(16:40)


- 철저한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예방접종 적극 참여로 추가 확산 방지해야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최근 1주간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전주 대비 증가

 

학령기 연령군(13~17)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 높아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제한완화로 추가 확산 가능, 철저한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예방접종 참여 등 방역 경각심 유지 필요

 

요양병원·시설 집단사례 증가

 

8월 이후 요양병원·시설 관련 집단감염사례 총 101, 2,535명으로 지속 증가

 

요양병원·시설 내에서 주기적 실내 환기 및 개인 방역수칙 준수 등 철저한 관리와 백신 추가접종 적극 시행 필요

 

코로나19 국외발생 동향

 

전 세계 발생 2주 연속 증가

 

7주 연속 발생 증가 가운데 전 세계 신규 발생의 59% 차지



1.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10.31.~11.6.)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365명(전주 333명),  사망자는 126명(전주 85명)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10월3주) 343명→(10월4주) 333명 →(11월1주) 365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0월3주) 101명 → (10월4주) 85명 → (11월1주) 126명


    * 가용 중환자실 :(10월3주) 540개→(10월4주) 604개→(11월1주) 471개


    ※ (11월 8일 기준)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 409명, 사망자 수: 13명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11월 1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에서 289명(79.2%), 40~50대가 58명(15.9%), 30대 이하가 18명(4.9%)이었다.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1월 1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122명(96.8%)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4명(3.2%)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452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불완전 접종자는 71.9%(325명), 완전접종자는 28.1%(127명) 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및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2,133.6명(’21.10.31.~11.6. 국내 발생 14,935명)으로 전주(일평균 1.716.2명) 대비 24.3%(417.4명) 증가하였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686.9명(전체 환자 수 11,808명)으로, 전주(일평균 1,342.1명) 대비 25.7%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446.7명(전체 환자 수 3,127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374.1명) 대비 19.4%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20으로 2주 연속 증가 추세이며, 수도권은 1.20, 비수도권은 1.22였다.


   * 전국 Rt : 0.86(10월2주) → 0.88(10월3주) → 1.06(10월4주) → 1.20(11월1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평균 20.1명(총 141명)으로 전주 대비(21.8명) 7.8%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11.6.) 주간 일일평균 확진자수, 위중증 및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19세 이하‧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높고, 지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60대이상) 10월 4주대비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1.5배 증가하였고,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이 29.6%로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1.6. 0시 기준) >
 

구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세이상

102

(10.10.~10.16.)

환자수

10,933

876

1,336

1,891

1,909

1,676

1,218

1,151

542

334

일평균발생률

3.0

3.2

4.0

4.0

4.0

2.9

2.0

2.4

2.1

2.4

103

(10.17.~10.23.)

환자수

9,372

773

1,304

1,346

1,575

1,349

1,005

1,149

510

361

일평균발생률

2.6

2.8

3.9

2.8

3.3

2.3

1.7

2.4

2.0

2.6

104

(10.24.~10.30.)

환자수

12,014

1,116

1,864

1,454

1,787

1,619

1,230

1,642

788

514

일평균발생률

3.3

4.0

5.6

3.1

3.7

2.8

2.0

3.5

3.0

3.7

111

(10.31.~11.6.)

환자수

14,935

1,339

2,110

1,504

2,075

1,817

1,674

2,383

1,161

872

일평균발생률

4.1

4.8

6.3

3.2

4.3

3.1

2.8

5.0

4.5

6.2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모든 학령기 연령군에서 확진자수가 증가하였고, 13~17세 연령군은 특히 높은 일평균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 학령기 연령군 일평균 발생률(11.6. 0시 기준) >


연령별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111

(10.31.~11.6.)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2,080

3.6

1,996

3.5

2,867

5.0

3,376

5.9

6세 이하

557

3.1

461

2.6

661

3.7

800

4.5

712

626

3.2

671

3.4

947

4.8

1099

5.6

1315

469

4.8

467

4.8

658

6.8

804

8.3

1618

합계

428

4.2

397

3.9

601

5.9

673

6.6

 

16

189

5.7

201

6.1

275

8.3

313

9.4

17

175

5.1

143

4.1

263

7.6

275

8.0

18

64

1.9

53

1.5

63

1.8

85

2.5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51.9%, 7,818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10월2주) 47.6%(5,263명)→ (10월3주) 48.3%(4,590명) → (10월4주) 49.9%(6,073명) → (11월1주) 51.9%(7,818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10.10.~11.6.)>


구 분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111

(10.31.~11.6.)

전체

11,059

(100%)

9,501

(100%)

12,167

(100%)

15,076

(100%)

확진자 접촉

5,263

(47.6%)

4,590

(48.3%)

6,073

(49.9%)

7,818

(51.9%)

지역 집단발생

1,830

(16.5%)

1,748

(18.4%)

2,115

(17.4%)

1,706

(11.3%)

병원 및 요양시설 등

370

(3.3%)

369

(3.9%)

750

(6.2%)

925

(6.1%)

해외유입

126

(1.1%)

129

(1.4%)

153

(1.3%)

141

(0.9%)

해외유입 관련

0

(0.0%)

0

(0.0%)

7

(0.1%)

4

(0.0%)

조사중(미분류)

3,470

(31.4%)

2,665

(28.0%)

3,069

(25.2%)

4,482

(29.7%)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2,898

(25.2%)

2,276

(19.8%)

2,617

(22.7%)

3,723

(32.3%)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 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49건으로 교육시설 16건, 의료기관/요양시설 13건, 사업장 10건, 다중이용시설(사회복지시설, 목욕탕, 실내체육시설 등) 5건,  종교시설 3건,

가족 및 지인모임 2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12.3%(1,819명)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확진자 수는 증가추세에 있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100%로 전주 대비 0.1% 증가하였고,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되었다. (11.6. 0시 기준)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1.6. 기준) >


분석주차

분석

건수

분석률

(%)

주요 변이

알파형

베타형

감마형

델타형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64

642

18.7

196

30.5

175

27.3

-

-

-

-

21

3.3

102

3,245

27.6

3,245

100.0

-

-

-

-

-

-

3,245

100.0

103

3,245

33.4

3,238

99.8

-

-

-

-

-

-

3,238

99.8

104

2,997

27.9

2,994

99.9

-

-

-

-

-

-

2,994

99.9

111

2,437

16.7

2,437

100.0

-

-

-

-

-

-

2,437

100.0


□ (인구이동량)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14.0% 높은 수준으로, 전주(13.6%) 대비 0.4%p 증가하였다.(11.4. 기준)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식당, 카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박물관,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에 대한 7일 이동 평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이후, 주간 평균 확진자수는 2천명대로 진입하였고 10대 학령층 및 60대이상 고령층에서 확진자수가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평균확진자(명): (10.2주) 1,579.9 → (10.3주) 1,357.3 → (10.4주) 1,738.1 → (11.1주) 2,153.7


 ○ (단계적 일상회복) 다중이용 시설 이용시간 및 인원 제한 완화로 인한 이동량 증가 등 다수의 위험요인에 따른 추가 확산 가능성이 있다.


   * 이동량 증가 추이: 기준점(`20.1.3~2.6)대비 14.0% 높음, 지난주 대비 0.4%p 증가


   - 이에, 방역 당국은 방역수칙 위반행위 단속,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현장점검 및 안내 등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 관련 방역관리·점검을 시행하고,


   - 실내마스크 착용, 환기, 손씻기 등 철저한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와 방역 경각심 유지 필요성을 지속 홍보하였다.


   - 또한, 지자체별 방역 대응 인력 추가 확보 계획 수립 요청을 통하여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인한 확진자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


 ○ (10대 학령층 감염 확산) 10대 학령층 확진자수가 증가 하고 있으며 특히, 13~17세 연령군은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8.5명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 확진자수(18세 이하, 국내발생): 1,996명(10.3주) → 2,867명(10.4주) → 3,376명(11.1주)


  **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21.3%(10.3주) → 23.9%(10.4주) → 22.6%(11.1주)


   - 또한, 최근 2주간 신규 집단감염 사례 166건 중 교육시설이 47건을 차지하는 등 집단감염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 (참고) 최근 2주 교육시설(47건, 28.3%), 사업장(37건, 22.3%), 의료기관/요양시설(35건, 21.1%) 順으로 집단감염 발생


   - 주요 감염 경로는 학교, PC방, 코인노래방 등이며, 학교 내 마스크 미착용 등 일부 방역 수칙 준수 미흡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 정부는 이번 달 수능을 앞두고 10대 학령층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를 더욱 철저히 해 나가기로 하였다.


   - 주요 집단감염 발생 시설에 대한 집중 점검 및 학생 이용 지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학교, 학부모에 예방접종의 안전성, 효과성, 해외사례 등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여 소아·청소년 접종률을 높일 것이다.


 ○ (60대 이상 고령층 확진자 증가) 전파력이 높은 델타변이 유행, 종사자 및 입소자(환자)의 검사 지연으로 조기 인지 미흡으로 60대 이상 고령층 확진자수가 증가하였고


  * (확진자수): (10월2주) 2,027명 → (10월3주) 2,020명 → (10월4주) 2,944명 → (11월1주) 4,416명


   - 기본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종효과 감소로 인해 60대 이상 치명률 및 중증화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치명률): (9월5주) 3.10% → (10월1주) 2.19% → (10월2주) 2.79%


 ** (중증화율): (9월5주) 6.89% → (10월1주) 6.60% → (10월2주) 8.24%


   - 또한, 요양병원, 주간보호센터 등 감염취약시설 집단감염 건수와 확진자 수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 발생건수, 확진자수:  25건/458명(9월) → 63건/1,733명(10월)


   - 이에, 정부는 고령층 추가 접종률 향상을 위해 접종안내(유선, 방문 등), 예약지원(대리예약 등), 이동편의 제공 등을 지원하고,


   - 요양병원·시설 관련 예방접종력과 무관하게 종사자에 대한 예방접종 권고 및 주기적 PCR 검사 등을 통해 해당 시설에 대한 방역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 방역당국은 단계적 일상 회복이 많은 위험 요소와 도전이 있는 가보지 않은 길로서, 더 안전하고, 더 나은 일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방접종과 방역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한 만큼,


   - 아직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신 국민들의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당부 드리고,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에 국민들의 참여를 당부하였다.



2. 요양병원/시설 집단사례 증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8월 이후 예방접종률이 높은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집단사례가 지속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 8월 이후 요양병원·시설 관련 집단감염사례는 총 101건, 2,535명*(건당 평균 25명)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월별 발생건수/확진자수: (8월)13건/344명 → (9월)25건/458명 → (10월)63건/1,733명


 ○ 최근 주요 집단발생 사례를 살펴보면, 주로 외부로부터 종사자·이용자 감염 후 시설 내 유입을 통해 추가전파가 이루어졌다.


   < 최근 요양병원/시설 주요 집단 감염 사례(2021.11.9. 0시기준>


집단사례명

확진자구분

특이 사항

경기 안산시 재활병원

(10.27.~진행중)

11

*종사자 3, 환자 7, 가족 1

(추정감염경로) 가족을 통한 종사자 감염 후 시설 내 유입을 통한 추가전파 추정

지표환자(무증상) 요양병원 종사자 선제검사를 통한 확진(10.27)

전북 남원시 주간보호센터

(10.27.~진행중)

42

*이용자 24(지표포함), 종사자 10, 지인 2, 가족 6

(추정감염경로) 비동거 가족의 자택방문을 통한 이용자 감염 후 시설 내 유입을 통한 추가전파 추정

생활실 프로그램(웃음치료, 건강체조, 노래부르기 등) 중 적극적 비말 발생 행위를 통한 확산 가능

생활실 등 밀접·밀집 환경에서 장시간(하루 6시간 이상), 지속 노출을 통한 감염 확산

고령층 인지장애 등으로 지속적 마스크 착용 미흡

전남 고흥군 주간보호센터

(10.29.~진행중)

38

*이용자 33, 종사자 4, 가족 1

(추정감염경로) 가족을 통한 주간보호센터 이용자 감염 후 시설 내 유입 추정

생활실 프로그램(웃음치료, 노래교실, 놀이치료, 전통악기연주 등) 중 적극적 비말 발생 행위를 통한 추가 전파 가능

생활실 및 휴게실 이용자 간 거리두기 준수 미흡

고령층 인지장애 등으로 지속적 마스크 착용 미흡

경북 고령군 요양원

(11.3.~진행중)

67

*종사자 17(지표포함), 입소자 48, 가족 2

지표환자(종사자) 증상발현(10.30) 요양원 종사자 주기적 선제검사(11.3)에서 확진

(추정감염경로) 근원환자 조사중, 종사자를 통해 가족, 동료 및 입소자에게 전파 추


   -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증상 조기 인지 미흡으로 검사지연, △백신 완전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종효과 감소, △밀폐·밀집된 환경 및 방역수칙 준수 미흡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양병원·시설 내에서 실내 환기 및 개인 방역수칙 준수가 보다 철저히 지켜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 ①고령층 추가접종 적극시행, ②이용자·종사자 건강 모니터링 강화 및 유증상자 이용(근무) 제한, ③예방접종력과 관계없이 의심증상시 즉시 검사, ④프로그램 운영 시 혼잡도 최소화, ⑤상시 환기 및 주기적 표면소독 등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종사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기본접종 완료 5개월 이후 조기에 추가접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관련 부처·협회 등에 안내하고 있다.


 ○ 이에 따라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종사자의 본격적인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째인 11월 10일(수)부터,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는 11월 15일(월)부터 시행되나,


   - 지난 10월 말부터 기본접종 완료 후 5개월경과 일정에 따라 조기 추가접종을 시행하고 있다.


 ○ 아울러, 사전예약을 실시하는 추가접종 대상군에 대해서는 접종완료 후 6개월이 도래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추가접종 가능일 3주 전부터 개별 문자 발송을 통해 접종일정을 안내 중이다.


【대상별 사전예약 및 접종 일정】


접종대상

접종간격

사전예약 일정

예방접종 일정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6개월 이후

* 6~8개월 사이 권고

10.05.() ~

10.25.() ~

면역저하자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2개월 이후

10.18.() ~

11.01.() ~

얀센백신 접종자

10.28.() ~

11.08.() ~

50대 연령층

기본접종 완료일로부터 6개월 이후

* 6~8개월 사이 권고

11.01.() ~

11.15.() ~

18~49세 기저질환자

우선접종직업군**

* 60세 이상 고령층,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 중 일부 등

** 1차대응요원, 보건의료인, 돌봄종사자,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사회필수인력


   - 사전예약은 추가접종 가능일 2주 전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할 수 있고,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의 경우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 주민센터 방문예약도 가능하다.


 ○ 추진단은, 특히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어르신 등 고위험군 대상자분들께서는 예약한 일정에 맞춰 접종기관을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3. 돌파감염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3,310만 8,428명 중 0.086%(85.5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28,293명*으로(10월 31일 기준),


     * (4월) 2명, (5월) 7명, (6월) 116명, (7월) 1,180명, (8월) 2,764명, (9월) 8,913명, (10월) 15,311명


  - (연령대별) 80세 이상이 0.144%(143.9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315%(315.0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137%(136.8/10만 접종자),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53%(52.9명/10만 접종자),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7%(6.7명/10만 접종자)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98%(98.2명/10만 접종자)이었다.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고】



  - (중증화) 돌파감염 추정사례 중 위중증자는 445명, 사망자는 136명이었다.


백신종류/연령대

30대미만

30-39

40-49

50-59

60-69

70-79

80세이상

위중증

445

0

7

4

20

97

144

173

사망

136

0

0

1

2

13

29

91



4.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2주 연속 증가하였고 유럽에서의 증가세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 10.25∼10.31. 1주간 전 세계 신규환자는 302만 명(WHO 기준)으로 전주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 전 세계: (43주) 확진 3,021,634명(+3%), 사망 50,477명(+8%)


   - 유럽 지역은 7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며 전 세계 신규 발생의 59%를 차지하였다. 특히, 러시아에서 주간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연속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독일에서는 발생이 크게 증가하였다.


     * 유럽: (43주) 확진 1,794,518명(+6%), 사망 24,243명(+12%)


     * 러시아: (43주) 확진 272,147명(+9.3%), 사망 7,938명(+8.9%)


     * 독일: (43주) 확진 131,393명(+42.3%), 사망 629명(+30.5%)


   - 서태평양 지역의 경우 전주 대비 발생 및 사망이 소폭 증가하였다. 특히 싱가포르는 역대 최대 발생과 사망을 기록하였고, 일본에서는 전주 대비 발생이 대폭 증가하였다.


     * 서태평양: (43주) 확진 178,088명(+2%), 사망 2,936명(+10%)


     * 싱가포르: (43주) 확진 25,950명(+7.5%), 사망 94명(+23.7%)


     * 일본: (43주) 확진 5,918명(+148.2%), 사망 70명(-29.3%)


 ○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의 경우, 미국은 1,597명, 프랑스는 589명, 독일은 1,580명, 일본은 47명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영국은 4,199명, 이스라엘은 537명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영국은 16.2명, 독일은 7.6명, 이스라엘은 5.0명으로 이전 주에 비해 증가하였고, 미국은 28.9명, 프랑스는 2.8명, 일본은 0.6명으로 이전 주에 비해 감소하였다.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5.∼’21.10.30., WHO) 그림 붙임 참고>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1.1.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1.10.25.10.31.)

예방접종률(%)

(’21.10.31.)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45,635,708

739,856

137,871

2,235(1.6%)

1,597

28.9

65.9

56.9

영국

9,019,966

140,558

132,869

2,071(1.6%)

4,199

16.2

73.3

67.0

프랑스

6,937,418

115,265

106,665

1,772(1.7%)

589

2.8

75.8

68.0

독일

4,597,550

95,729

55,281

1,151(2.1%)

1,580

7.6

68.8

66.1

일본

1,722,610

18,261

13,620

144(1.1%)

47

0.6

77.8

72.4

이스라엘

1,327,173

8,100

153,332

936(0.6%)

537

5.0

71.0

65.2

한국

364,700

2,849

7,113

56(0.8%)

250

1.6

80.2

75.4



5. 코로나19 백신 도입 현황


□ 11.10.(수)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150.6만 회분이 인천공항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화이자 백신 편명 : KE9518, 도착시간 11.10(수) 12:00


□ 이로써 11월 10일 기준 누적 9,317만 회분의 백신이 국내 공급된다.


 ○ 정부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협의 후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11.10.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도입 확정

도입 완료

도입 예정

상반기

3분기

10.1~11.10

11.11~12.31

1 9,534

9,317

1,862

5,630

1,825

12백만

화이자

6,749

4,882.5

700.2

3,001.6

1,180.7

모더나

4,045

2,031.2

11.2

1,376.1

643.9

얀센

740

151.4

101.3

50.1

-

노바백스

4,000

-

-

-

-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2,000

210.2

126.7

83.5

-

화이자

41.4

41.4

-

-

아스트라제네카

2,000

2,000

881.4

1,118.6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일일확진자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
        6.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7.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추가접종 종합 안내
        8.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별 추가접종 안내
        9.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의료기관 유의사항
       10.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1.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업자용)
       12.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13.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사업자용)
       14.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이용자용)
       15.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1탄 (대상자, 건강관리 편)
       16.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2탄 (생활관리, 격리관리 편)
       17.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8.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9.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0.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
       21.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홍보물
       22.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23.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24.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25.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26.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27.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28.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29.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3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