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60세이상 연령 중증자 증가, 추가예방접종 적극 권고(11.16.,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11-16
  • 최종수정일2021-11-1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보도대응팀
  • 연락처043-719-9064

60세이상 연령 중증자 증가, 추가예방접종 적극권고(11.16., 정례브리핑)   ※ 15쪽 편집 오류로 인한 문구 삭제(14:55) 

 

- 개인 방역수칙 준수, 미접종자 접종, 고위험군 추가접종 적극 참여 당부  -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60대 이상 연령 위중증 환자 지속 증가(위중증 환자의 82.1%)

 

최근 5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불완전 접종자는 64.6%

 

안전한 일상회복과 확산 억제를 위해 예방접종 참여와 철저한 개인 방역수칙 준수 필요

 

최근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증가원인

 

확진자 중 60세 이상 코로나19 발생은 1012,288(16.5%)에서 1114,434(29.5%)으로 증가

 

60세 이상 연령 중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8% 수준이나, 최근 5주간 (10.3~11.6) 사망자 452명 중 279(61.7%) 발생

 

60세 이상 미접종자 접종 및 고위험군 추가 접종 적극 당부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전 세계 발생 3주 연속 증가

 

럽 주간 발생 2백만 명 근접, 전 세계 신규 발생의 63% 차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11.7.~11.13.)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447명으로 전주 대비(전주 365명) 증가하였으며, 사망자는 127명(전주 126명)으로 전주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10월4주) 333명→(11월1주) 365명 →(11월2주) 44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0월4주) 85명 → (11월1주) 126명 → (11월2주) 127명


    * 가용 중환자실 :(10월3주) 604개→(10월4주) 471개→(11월1주) 387개


    ※ (11월 15일 기준)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 471명, 사망자 수: 12명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11월 2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 367명(82.1%), 40~50대 62명(13.9%), 30대 이하 18명(4.0%)이었고, 최근 5주간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위중증 환자 비율*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10월2주) 64.7% → (10월3주) 71.4% → (10월4주) 74.2% → (11월1주) 79.2% → (11월2주) 82.1%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1월 2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123명(96.9%)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4명(3.1%)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523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불완전 접종자는 64.6%(338명), 완전접종자는 35.4%(185명)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및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2,172.2명(국내 발생 15,205명)으로 전주(’21.10.31.~11.6. 일평균 2,133명) 대비 1.8%(39.2명) 증가하였으며, 수도권ㆍ비수도권 모두 확진자가 증가하였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711.3명(전체 환자 수 11,979명)으로, 전주(일평균 1,686.4명) 대비 1.5%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460.9명(전체 환자 수 3,226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446.6명) 대비 3.2%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05으로 전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확산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수도권은 1.05, 비수도권은 1.03이었다.


   * 전국 Rt : 0.88(10월3주) → 1.06(10월4주) → 1.20(11월1주) → 1.05(11월2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18.6명(총 130명)으로 전주 대비(20.1명) 7.5%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11.13.) 주간 일일평균확진자수, 위중증 및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19세 이하(5.3명)‧ 60대 이상(5.7명) 연령군에서 높은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을 유지하고 있고, 전주대비 9세이하, 50ㆍ60ㆍ70대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60대이상) 10월 3주대비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이 32.6%로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1.13. 0시 기준) >


구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세이상

103

(10.17.~10.23.)

환자수

9,372

773

1,304

1,346

1,575

1,349

1,005

1,149

510

361

일평균발생률

2.6

2.8

3.9

2.8

3.3

2.3

1.7

2.4

2.0

2.6

104

(10.24.~10.30.)

환자수

12,014

1,116

1,864

1,454

1,787

1,619

1,230

1,642

788

514

일평균발생률

3.3

4.0

5.6

3.1

3.7

2.8

2.0

3.5

3.0

3.7

111

(10.31.~11.6.)

환자수

14,931

1,339

2,109

1,503

2,075

1,816

1,673

2,383

1,161

872

일평균발생률

4.1

4.8

6.3

3.2

4.3

3.1

2.8

5.0

4.5

6.2

112

(11.7.~11.13.)

환자수

15,205

1,350

1,889

1,422

1,966

1,790

1,829

2,772

1,333

854

일평균발생률

4.2

4.9

5.6

3.0

4.1

3.1

3.0

5.9

5.1

6.1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모든 학령기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감소하였으나, 13~17세 연령군은 주간 일평균 발생률이 7.4명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 학령기 연령군 일평균 발생률(11.13. 0시 기준) >


연령별

103

(10.17.~10.23.)

104

(10.24.~10.30.)

111

(10.31.~11.6.)

112

(11.7.~11.13.)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

주간

일평균

발생률

1,996

3.5

2,867

5.0

3,375

5.9

3,138

5.5

6세 이하

461

2.6

661

3.7

800

4.5

788

4.4

712

671

3.4

947

4.8

1099

5.6

1069

5.5

1315

467

4.8

658

6.8

803

8.3

769

7.9

1618

합계

397

3.9

601

5.9

673

6.6

512

5.0

 

16

201

6.1

275

8.3

313

9.4

218

6.6

17

143

4.1

263

7.6

275

8.0

232

6.7

18

53

1.5

63

1.8

85

2.5

62

1.8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48.8%, 7,476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10월3주) 48.3%(4,586명)→ (10월4주) 48.1%(5,850명) → (11월1주) 50.1%(7,548명) → (11월2주) 48.8%(7,47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10.17.~11.13.)>


구 분

103

(10.17.~10.23.)

104

(10.24.~10.30.)

111

(10.31.~11.6.)

112

(11.7.~11.13.)

전체

9,500

(100%)

12,167

(100%)

15,072

(100%)

15,335

(100%)

확진자 접촉

4,586

(48.3%)

5,850

(48.1%)

7,548

(50.1%)

7,476

(48.8%)

지역 집단발생

1,760

(18.5%)

2,305

(18.9%)

2,345

(15.6%)

1,334

(8.7%)

병원 및 요양시설 등

369

(3.9%)

843

(6.9%)

1,104

(7.3%)

833

(5.4%)

해외유입

128

(1.3%)

153

(1.3%)

141

(0.9%)

130

(0.8%)

해외유입 관련

0

(0.0%)

7

(0.1%)

4

(0.0%)

0

(0.0%)

조사중(미분류)

2,657

(28.0%)

3,009

(24.7%)

3,930

(26.1%)

5,562

(36.3%)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2,268

(17.6%)

2,557

(19.9%)

3,262

(25.4%)

4,776

(37.1%)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 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39건으로 교육시설 10건, 의료기관/요양시설 9건, 사업장 10건, 다중이용시설(사회복지시설, 목욕탕, 시장 등) 6건, 종교시설 2건, 가족 및 지인모임 1건, 공공기관 1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8.7%(1,328명)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99.9%로 전주 대비 0.1% 감소하였고,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되었다.(11.13. 0시 기준)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1.13. 기준) >


분석주차

분석

건수

분석률

(%)

주요 변이

알파형

베타형

감마형

델타형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64

642

18.7

196

30.5

175

27.3

-

-

-

-

21

3.3

103

3,245

33.4

3,238

99.8

-

-

-

-

-

-

3,238

99.8

104

2,997

27.9

2,994

99.9

-

-

-

-

-

-

2,994

99.9

111

2,437

16.7

2,437

100.0

-

-

-

-

-

-

2,437

100.0

112

2,904

19.3

2,902

99.9

-

-

-

-

-

-

2,902

99.9


□ (인구이동량)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11.7% 높은 수준으로, 전주(14.3%) 대비 1.6%p 감소하였다.(11.12. 기준)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식당, 카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박물관,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에 대한 7일 이동 평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이후, 확진자 증가로 인한 병상 가동률 상승, 60대 이상 위중증 환자 지속 증가, 학교 전면 등교 확대와 수능 및 대학별 고사 진행으로 학령층 감염 확산 우려 등의 위험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 (병상가동률 상승)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확진자 증가*로 병상 가동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에서 병상 가동률**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 국내발생 일평균확진자(명): (10.4주) 1716.2명 → (11.1주) 2,133.0명 → (11.2주) 2,172.2명


  **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10.4주) 55.4% → (11.1주) 59.3% → (11.2주) 69.5%


   - 또한, 수도권 확진자 비중*이 70% 후반대를 넘어서고 있어, 수도권 중환자 병상 여력은 당분간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 수도권 확진자 비중: (11.8) 77% → (11.9) 76.1% → (11.10) 82.6% → (11.11) 80.2% → (11.12) 78.6% → (11.13) 78.4%


   - 따라서, 안전한 일상 회복의 연착륙과 확산세 억제를 위한 실내마스크 착용, 환기, 손씻기, 조기검사 등 철저한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 아울러, 방역 당국은 방역패스 이행력 강화를 위한 위반업체 단속 및 점검을 지속하고 병상 여력 확보 및 운영 효율화를 추진할 것이다.


 ○ (위중증 환자 증가 지속) 위중증 환자* 400명대 진입 이후 지난주 475명으로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중증화율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명): (10.4주) 333 → (11.1주) 365 → (11.2주) 447


   - 대부분 접종효과가 감소한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자 급증**으로 연결되고 있다.


   * 위중증 환자 중 60대 이상 비중(11.2주): (재원) 82.1%, (신규) 83.8%


  ** 60대 이상 사망자수(명): (10.3주) 89 → (10.4주) 72 → (11.1주) 122 → (11.2주) 123


   - 60대 이상 고령층의 위중증, 사망은 주로 요양병원 등 고위험·취약시설에서 발생하지만, 해당 시설 관련 추가 접종율은 아직 낮은 상황이다.


   - 이에, 방역 당국은 요양병원·시설,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추가 접종을 신속히 시행하고 지자체에서는 대상 시설 접종일정 확인 및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 또한, 수도권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에 대한 PCR 검사를 기존 주1회에서 주2회로 확대하고 해당 시설에 대한 중수본·지자체 합동 방역 수칙 현장 점검을 지속할 것이다.


 ○ (10대 학령층 감염위험) 수능을 앞두고 18세 이하 학령층 확진자 급증세는 둔화되었으나, 확진자수* 400명대, 20%대 비중** 기록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일 평균 18세이하 확진자(명):  (10.4주) 410 → (11.1주) 482  → (11.2주) 448


  ** 18세이하 확진자 비중: (10.3주) 21.3% → (10.4주)23.9% → (11.1주)22.6% → (11.2주)20.6%


   - 학령기 접종율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유·초·중등분야 전면등교 확대가 계획(11월 22일)되어 있어 교내 및 학교 주변 방역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며,


   * (11월 11일) 12~17세 예방접종률: 1차 28.9%, 완료 3.6% / 12~15세 사전예약률: 31.6%


   - 아울러, 수능이후 예정된 전국 대학별 고사에 참여하는 학생과 학부모 이동으로 인한 감염 확산 위험이 상존해 있다.


   - 이에, 방역당국은 교육부와 함께 중앙단위 합동 역학조사반 운영을 활성화하고 소아·청소년 대상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특히, 수능 및 대학별 고사 시기에는 교내 및 학교밖 방역수칙(마스크 착용, 환기, 환경점검 등) 준수 이행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것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변인과 나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예방접종과 방역수칙 준수가 더욱 중요해진 만큼,


  - 아직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신 국민들의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부탁드리고,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에 국민들의 참여를 당부하였다.



2. 최근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증가원인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원인을 분석하고 관련 결과를 발표하였다.


 ○지난 10월 이후 60세 이상의 코로나19 발생은 10월 1주 2,288명(16.5%)에서 11월 1주 4,434명(29.5%)으로 증가하였으며, 60세 이상의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비율도 동반하여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최근(‘21.10.3~11.6) 60세 이상의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월 1주 220명(60.9%)에서 11월 1주 289명(79.2%)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최근(’21.10.3.∼11.6.) 연령별 확진자 현황 및 ‘21년 7월 이후 연령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최근(10.3~11.6.) 연령군별 위중증환자>


구 분

101

(10.3~10.9.)

102

(10.10~10.16.)

103

(10.17~10.23.)

104

(10.24~10.30.)

111

(10.31~11.6.)

재원

(일평균)

신규

재원

(일평균)

신규

재원

(일평균)

신규

재원

(일평균)

신규

재원

(일평균)

신규

전체

361

229

368

202

343

198

333

212

365

263

19세이하

1

1

1

1

0

0

1

2

1

1

20-29

7

6

2

3

4

4

2

2

3

1

30-39

26

25

27

16

20

11

18

14

14

10

40-49

49

26

44

20

27

11

24

12

24

16

50-59

59

30

56

25

47

24

41

20

34

20

60-69

82

43

81

36

87

51

96

59

105

77

70-79

77

46

82

49

86

49

81

47

97

66

80세이상

61

52

75

52

72

48

70

56

87

72


 ○최근(’21.10.3~11.6) 사망자 452명에 대한 분석 결과, 60세 이상이면서 미접종 및 불완전 접종자는 279명이며, 이는 동 기간 사망자의 6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10.3~11.6.) 사망자의 접종력/기저질환 유무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연령층의 경우 환자 발생뿐만 아니라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 60세 이상에서의 미접종자 대상 예방접종 및 요양병원·요양원 등 취약시설에서의 추가 접종 시행을 강화할 것임에 따라 이에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3. 돌파감염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기본접종 후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3,590만 7,789명 중 0.099%(99.2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35,620명*으로(11월 7일 기준),


     * (4월) 2명, (5월) 7명, (6월) 116명, (7월) 1,180명, (8월) 2,757명, (9월) 8,898명, (10월) 16,095명, (11월) 6,565명


  - (연령대별) 80세 이상이 0.183%(183.4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350%(349.6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171%(171.4/10만 접종자),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64%(63.8명/10만 접종자),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8%(8.3명/10만 접종자)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117%(116.7명/10만 접종자)이었다.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고】



  - (중증화) 돌파감염 추정사례 중 위중증자는 545명, 사망자는 170명이었다.


백신종류/연령대

12-17

18-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

이상

위중증

545

0

0

7

5

22

126

178

207

사망

170

0

0

0

1

2

14

33

120


 ○ 추가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추가접종 완료자 26,272명 중 2명이었다(11월 7일 기준).


     * 기본접종(1차‧2차) 및 추가접종 모두 화이자 접종자이며 30대



4.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3주 연속 증가하였고 유럽에서 작년 11월 이후 역대 최다 발생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11.1.∼11.7. 1주간 전 세계 신규발생은 310만명(WHO 기준)으로 그 이전 주와 유사한 발생을 보였다.


     * (44주) 확진 3,103,186명(+1%), 사망 48,703명(-4%)


   - 유럽 지역이 2백만 명에 가깝게 발생하면서 전체 발생의 63%를 차지하였고, 유럽 지역 61개 국가 중 26개(42%) 국가에서 전주 대비 10% 이상 발생이 증가하였다. 특히 독일에서 6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며 일일 확진자가 역대 최다(11.5. 37,120명)로 발생하였다.
 
     * 유럽: (44주) 확진 1,949,419명(+7%), 사망 26,726명(+10%)


     * 독일: (44주) 확진 169,483명(+29.0%), 사망 796명(+26.6%)


   - 미주 지역의 경우 그 이전 주 대비 발생은 감소하였으나 두 번째로 높은 비중(23%)을 차지하였다. 미국의 경우 주간 발생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신규 확진자 중 5∼11세(128명, 인구 10만 명당)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 미주: (44주) 확진 710,791명(-5%), 사망 13,106명(-14%)


     * 미국: (44주) 확진 510,968명(-3.3%), 사망 8,101명(-15.2%)


 ○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의 경우, 독일 2,038명, 프랑스 724명으로 이전 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영국 3,714명, 미국 1,544명, 이스라엘 436명, 일본 11명으로 이전보다 감소한 상황이다.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5.∼’21.11.6., WHO) 그림 붙임 참고>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1.8.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1.11.1.11.7.)

예방접종률(%)

(’21.11.7.)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46,146,676

747,957

139,415

2,260(1.6%)

1,544

24.5

66.6

57.3

영국

9,272,070

141,743

136,583

2,088(1.5%)

3,714

17.5

73.7

67.2

프랑스

6,984,329

115,469

107,386

1,775(1.7%)

724

3.2

76.1

68.3

독일

4,767,033

96,525

57,319

1,161(2.0%)

2,038

9.6

69.1

66.5

일본

1,724,037

18,309

13,631

145(1.1%)

11

0.4

78.3

74.1

이스라엘

1,333,687

8,121

154,085

938(0.6%)

436

2.4

67.3

61.8

한국

379,934

2,967

7,411

58(0.8%)

297

2.3

80.9

76.7



5.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방안


□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 및 이동량 증가 등으로 동절기 계절인플루엔자 유행 가능성이 있어 주의를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유행 이후 올바른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준수와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사람 간 접촉 빈도 및 해외여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인플루엔자 환자 발생이 감소하여, 지난 '20-'21절기에는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았으나,


   - 최근 이동량이 늘어나면서 사람 간 접촉이 많아지고, 보육시설 및 학교의 등원·등교가 확대됨에 따라 인플루엔자 환자 발생이 증가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현재까지 북반구의 인플루엔자 유행수준은 코로나19 유행 전 보다는 현저히 낮으나, 작년 동기간 대비 높은 수준이고, 최근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붙임4).


   - 또한 9월 이후 국내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및 유행성이하선염 환자가 증가(붙임5)하고, 미국, 일본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환자가 증가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급성호흡기감염증 환자 발생이 지난해에 비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시 안전한 진료환경 조성을 위해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방안」을 마련하였다.


 ○ 인플루엔자에 취약한 유·소아,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은 유행 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고, 의사는 유증상자에게 코로나19 검사를 적극 권고하며,


   * 생후 6개월부터 만 13세까지 어린이, 임신부, 및 만 65세 이상 어르신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접종 현황, 11.15. 0시 기준 68.5%)


 ○ 인플루엔자 환자가 증가하면, 의료기관에서는 인플루엔자 의심환자에 대한 선제적 항바이러스제 투약*과 함께 내원 전 사전예약, 전화상담·처방 등을 실시하여 감염확산 예방조치에 참여해 줄 것을 권고하였다.


   *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아도 47주(11월 15일)부터 고위험군에 대해 요양급여 적용


< 일반의료기관 표준감염예방수칙>


(진입·접수) 의료기관 진입 전 또는 진입 즉시 발열체크 및 손 소독, 접수창구에는 투명 가림막을 설치하거나 직원이 페이스 쉴드 착용

 

(진료대기) 대기 공간 내 최소 1m 이상 환자간 거리를 두거나, 발열·비발열 환자 간 최대한 동선을 분리(. 칸막이 설치 등)하여 운영

* 잡지 등 공용 물품 비치 최소화, 놀이공간 등 폐쇄, 대기 중 대화나 취식 금지 등

 

(진료) 의료진 판단 시 인후두도말 등 비말이 발생하는 검사·시술 시 개인보호구 착용하고 정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하며, 문진청진시진 시 가능하면 환자가 마스크를 벗지 않는 상태로 진료*

* 인플루엔자 신속진단검사 등 연무(aerosol)가 발생하는 시술 시 필요할 경우 환기가 잘 되는 별도 공간에서 4종 보호구 착용 후 실시토록 하고, 동 원칙 준수가 어려울 경우 선별진료소 내원 안내


□ 인플루엔자 환자발생 추이 파악과 유행감지를 위해 표본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절기는 45주(10.31.-11.6.)부터 일일감시를 실시하고 있으며,


   * 200개 의원급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의사환자 분율이 유행기준(외래환자 천명당 5.8명)을 초과하게 되면 유행주의보 발령


 ○ 표본감시 실시 결과는  주간 건강과 질병, 감염병 뉴스레터 등을 통해 국민과 의료인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은 예방접종을 받을 것과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고,


 ○ 발열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는 의료기관 내원 전 전화상담을 하고, 내원 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의료기관에서도 환자 발열증상 여부 확인, 예약시간 분산 등의 의료기관내 감염예방을 위해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일일확진자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
        6. 2021-2022절기 인플루엔자 대응 계획
        7.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방안
        8. 국내 인플루엔자 현황
        9. 북반구 인플루엔자 동향
       10. 급성호흡기감염증 및 유행성이하선염 발생동향
       11.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2.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추가접종 종합 안내
       13.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별 추가접종 안내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의료기관 유의사항
       15.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6.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업자용)
       17.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18.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사업자용)
       19.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이용자용)
       20.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1탄 (대상자, 건강관리 편)
       21.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2탄 (생활관리, 격리관리 편)
       22.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23.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24.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5.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
       26.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홍보물
       27.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28.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2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3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3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3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33.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34.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3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