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질병관리청,「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발간
  • 작성일2021-11-19
  • 최종수정일2021-11-22
  • 담당부서만성질환예방과
  • 연락처043-719-7435

질병관리청,「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발간


만성질환 주요 현황 통계집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발간

만성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우리나라의 주요 만성질환 발생 현황과 위험요인을 매년 파악하여 만성질환 관련 보건사업과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2015년 이후 일곱 번째로 발간된「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주요 만성질환*과 건강생활습관 및 선행질환 현황 등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현재 만성질환의 현황과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현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질병부담이 높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을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하여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을 권고함


 ○ 위 통계집은 국가승인통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유관기관 공개자료 등을 이용하여 보완하였으며, 국제비교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에서 제공하는 결과를 활용하였다.


 

주요내용

 


 

(주요 만성질환의 총괄적 현황) 주요 사망원인별 연령 표준화 사망률, OECD 사망률 비교 및 우리나라 회피가능 사망 분석

(주요 만성질환별 현황 요약)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생활습관 및 질환별 Fact) 수명 및 사망, 건강생활습관, 선행질환, 주요 만성질환

(최근 이슈 질환 Fact) 치매 관리현황, 코로나19 유행시기의 만성질환 관리


□ 「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주요 만성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과 효과적인 보건정책을 통해 예방·치료할 수 있는 회피가능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준화 사망률(인구 10만 명) : 심뇌혈관질환 (‘00) 150.6명 → (’19) 57.3명, 당뇨병 (‘00) 27.5명 → (’19) 8.0명


회피가능 사망(Avoidable Mortality) : 예방가능 사망(Preventable Mortality), 치료가능 사망(Amenable Mortality)로 구분

 

- (치료가능 사망) 조기검진, 시의적절한 치료 등과 같은 양질의 보건의료 중재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

- (예방가능 사망) 보건정책 중재에 의해 예방할 수 있는 사망


○ 또한, 주요 만성질환 사망률의 국제비교 시 급성심근경색, 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OECD 평균보다 낮아졌다.



<우리나라 회피가능 사망률 추이 및 주요 만성질환 OECD 사망률 비교 그림 붙임 참고>



 ○ 이는, 그 간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건강증진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과 국가 차원의 만성질환 조사감시체계 구축 등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 기반 구축 측면의 성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이러한 소기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만성질환(비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이 높은 상황이다.


 ○ 만성질환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의 79.9%를 차지하며,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8개*가 만성질환이다.


    * 높은 순서로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간질환, 만성하기도질환, 고혈압성 질환


 ○ 특히, 순환기계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은 비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68.6%를 차지하여, 이들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구성비 및 우리나라 사망원인 순위 그림 붙임 참고>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통해 우리나라 만성질환 현황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예방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에서 열람 및 내려 받기*가 가능하며, 유관기관, 관련학회, 전국 의과대학, 지자체 등에 제공하여 적극 활용하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알림 → 홍보자료 → 홍보지


<붙임>  「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구성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