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중증외상, 절반은 운수사고로 발생
  • 작성일2021-11-23
  • 최종수정일2021-11-24
  • 담당부서손상예방관리과
  • 연락처043-719-7423

중증외상, 절반은 운수사고로 발생


- 제2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 발표 -


2019년 중증외상환자의 52%는 사망, 29%는 중등도 이상 장애

중증외상은 운수사고나 추락 등으로 심하게 다쳐(손상중증도점수 16점 이상) 사망과 장애 위험이 큰 손상

중증외상은 55%가 운수사고, 38%는 추락 및 미끄러짐으로 발생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를 통해 2019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 현황을 11월 24일 결과보고회를 통해 발표했다.


 ○중증외상은 운수사고, 추락 등으로 발생한 외상 중 손상 정도*가 심해 사망, 장애 위험이 높은 경우로,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응급구조, 구급대, 이송, 치료 단계에서의 긴급한 대응과 고품질의 치료가 필요하다.

 

    * 119구급대가 이송한 외상중 손상중증도점수(0~75점)가 16점 이상이거나 이송 중 심장정지가 발생하거나 사망한 경우로, 손상중증도점수는 외상척도(최대 25점)가 높은 3개 부위의 척도 합으로 산출


 ○ 2018년 통계 발표 시에는 중증도를 고려하지 않고 119구급대원 판단에 따라 의식, 혈압, 호흡 등에 이상이 있거나 중증외상으로 의심되는 경우를 모두 중증외상으로 분류하였으나,


   - 지역별, 연도별 비교를 위해 객관적인 중증도 점수를 활용하여 지표 산출 방법을 개선하였다.


□ 2019년 중증외상환자는 총 9,115명으로, 2018년 8,803명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남자 환자가 여자의 2.8배였고(남자 6,695명, 여자 2,420명), 연령별로는 50~59세가 1,907명으로 가장 많았고, 0~9세가 84명으로 가장 적었다.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은 인구 10만 명당 17.8명 수준이었으며, 시․도별로는 충북(46.4명)이 가장 높고,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하였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하였다.


【시도별 중증외상1) 발생】


*

환자수()

인구10만명당 발생률()**

환자수()

인구10만명당 발생률()

전체

9,115

17.8

경기

2,107

16.2

서울

912

9.5

강원

396

25.9

부산

559

16.5

충북

738

46.4

대구

343

14.1

충남

512

24.3

인천

369

12.6

전북

489

26.9

광주

131

9.0

전남

505

27.1

대전

269

18.3

경북

707

26.6

울산

193

16.8

경남

649

19.4

세종

51

15.6

제주

185

27.9

1) 운수사고, 추락 등으로 발생한 외상 중 손상중증도점수가 16 이상이거나 병원 도착 전 심장정지 발생 또는 사망(응급실 도착시 사망)한 경우

* 사고 발생지 기준

** 2019년 통계청 주민등록연앙인구 기준


○ 중증외상의 55%는 운수사고로 발생했고, 추락 및 미끄러짐이 38%였다. 대부분의 시·도에서 운수사고가 1위였으나, 서울(추락 및 미끄러짐 54%, 운수사고 42%), 부산(각각 50%, 44%), 인천(각각 49%, 46%), 광주(각각 49%, 44%)는 추락 및 미끄러짐으로 발생한 경우가 더 많았다.



【시도별 중증외상1) 발생 기전 그림 붙임 참고】



 1) 운수사고, 추락 등으로 발생한 외상 중 손상중증도점수가 16점 이상이거나 병원 도착 전 심장정지 발생 또는 사망(응급실 도착시 사망)한 경우
 

* 시·도는 사고 발생지 기준


□ 환자 중 4,357명은 생존했으나 4,758(52%)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발생한 환자도 2,667명으로 생존자의 61%였다.


    * 중등도 장애는 대중교통 이용, 제한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독립적인 개인생활(집안에서 자신을 돌보는 정도 이상)은 유지하지만, 지능과 기억능력의 결핍, 성격 변화, 연하곤란, 편마비, 실조증 등 다양한 장애가 남은 상태


 ○ 중증외상은 아니지만 손상중증도점수 9~15점 사이의 중증도 환자 중에도 5%가 사망하고 생존자의 42%에게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발생하였다.



【중증외상 치료 결과 그림 붙임 참고】



 * (중등도 장애) 중등도 장애는 대중교통 이용, 제한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독립적인 개인생활(집안에서 자신을 돌보는 정도 이상)은 유지하지만, 지능과 기억능력의 결핍, 성격 변화, 연하곤란, 편마비, 실조증 등 다양한 장애가 남은 상태


   (지속식물인간상태) 환자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말을 하거나 명령을 수행하지 못하며 주위 환경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상태, 스스로 눈을 뜨며 수면과 각성주기를 가지지만 행동학적 측면에서 뇌의 기능이 없는 상태



【중증외상1)으로 인한 연령별 사망 및 장애 발생 현황 그림 붙임 참고】



 1) 운수사고, 추락 등으로 발생한 외상 중 손상중증도점수가 16점 이상이거나 병원 도착 전 심장정지 발생 또는 사망(응급실 도착시 사망)한 경우


□ 질병관리청은 지역 고유의 손상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국가 및 시·도 단위의 중증손상(외상성, 비외상성) 및 다수사상 발생 현황과 환자의 치료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연 단위 조사를 시행하고 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에 대한 상세한 통계는 2021년 12월에 발간할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 2019」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며,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중증외상은 운수사고와 추락, 미끄러짐 등으로 주로 발생하며 나와 내 가족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


 ○ “지역별로 중증외상이 주로 발생하는 연령, 기전 등을 파악하고 각 문제에 집중하여 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19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주요 결과 
            2.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개요
            3. 제2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보고회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