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4.)
  • 작성일2022-02-04
  • 최종수정일2022-02-0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4.)    ※ 2쪽 표 아래 설명 수정(14:25), 과체중 BMI 범위 수정(15:00)


먹는 치료제 투여 대상 확대

27일부터 먹는 치료제 투여 대상을 50대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까지 확대 실시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현황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현황 전산화, 23일 기준 총 19,169건 등록

예외확인서를 받은 경우 시설이용이 가능하나 미접종·불완전접종의 경우 감염위험 및 중증위험이 높아 실내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자제 당부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정보시스템 기능 고도화

27일부터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로 나누어진 전자문진표 항목을 간소화(2514)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가 가능

또한, 214일부터 전자문진표에 신속항원검사 항목이 추가되어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방문 시 수기대장 대신 전자문진표로 접수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수단 방역 관리

지난 131일부터 베이징 현지 선수단 종합상황실에 역학조사관을 파견하여 24시간 대응체계 가동 중

아울러 베이징동계패럴림픽(3.4.~3.13.) 기간에도 장애인체육회 등과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선수단 보호조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


1. 50대 이상 기저질환자까지 먹는 치료제 투여 대상 확대(2.7. 시행)


□ 지난 1월 14일 국내에서 처음 투약된 화이자사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는 생활치료센터 및 재택치료자를 대상으로 투여를 시작하였다. 


 ○ 이후, 노인요양시설, 요양병원, 감염병전담병원, 호흡기클리닉, 지정 진료 의료기관까지 처방기관 등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였고,투여 대상 연령도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조정(1.22)하여 2월 3일까지 총 1,275명분이 투약되었다.


< 공급 대상 기관별 운영 경과 >


구분

시행일

공급 대상 기관 수

운영방식

재택치료자

1.14


먹는 치료제 담당약국 472개소

(기존 유지 273개소, 신규 199개소)


재택치료 공급 방식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 처방, 약국 조제·전달)

생활치료센터

89개소

센터 내 처방·조제

노인요양시설

1.20

5,981개소


재택치료 공급 방식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 처방, 약국 조제·전달)

60세 이상 대상 확대

1.22

-

-

요양병원

1.22

1,438개소

요양병원 처방, 담당약국 조제·전달

감염병전담요양병원

24개소

병원 처방·조제

감염병전담병원

1.29


218개소

(거점병원 33개 포함, 요양병원 24개 제외)

병원 처방·조제


호흡기 클리닉,

지정 진료 의료기관

2.3

1,432개소 +α

병원 처방, 담당약국 조제·전달


□ 또한, 2월 7일부터는 60대 이상, 면역저하자에 더하여 50대 기저질환자 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 당뇨, 심혈관질환(고혈압 등), 만성신장질환, 만성폐질환(천식 포함), 암, 과체중(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 등


 ○ 정부는 “호흡기 클리닉, 지정 진료 의료기관 등 동네 병·의원 등 기관과 50대 기저질환자까지 대상을 확대함에 따라 의료진에게 치료제 사용지침을 준수하여 적극적으로 치료제를 활용하도록 당부”하였다.



2.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예외확인서 발급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월)부터 쿠브(COOV)앱 또는 전자출입명부 앱*에서 전자 접종증명·음성확인제(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을 시작함에 따라,


    * 카카오, 네이버, 토스, PASS앱(SKT, KT, LG)


 ○ 기존 각 보건소에서 수기 관리하던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현황을 전산화하였다고 밝혔다.


□ 방역패스 예외확인서는 ❶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참여자와 ❷의학적 사유에 의한 예외 적용자에게 발급되며,


 ○ ❷의학적 사유에 의한 예외 적용자는 아래 5가지 사유에 한하여 인정된다.


<의학적 사유에 의한 방역패스 예외적용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접종금기·연기 통보받은 경우

* 아나필락시스, TTS, 모세혈관누출증, 심근염·심낭염

코로나19 백신 구성물질에 중증 알레르기 발생이력이 있는 접종금기자(진단서)

면역결핍, 면역억제제·항암제 투여접종연기가 필요한 경우(소견서·진단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4-1(인과성 근거 불충분) 판정받은 경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접종 후 6주 이내입원치료를 받은 경우(입원확인서+진단서)


 ○ 2월 3일(목) 기준, 방역패스 예외적용자로 전산등록된 대상자는 총 19,169명으로,


   - 최초 1회에 한해 가까운 보건소에 증빙서류(진단서 등)와 신분증을 지참 후 방문하여 방역패스 예외적용자로 전산등록된 경우, 


    * 질병청에서 대상자를 결정 후 직접 등록하는 경우(아래 표의 ⑤·⑥), 보건소 방문없이 방역패스 예외자로 기 등록됨


   - 쿠브(COOV)·전자출입명부앱에서 전자 예외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방역패스 통합확인서 발급 누리집(pedpass.kdca.go.kr)에서 온라인으로 종이 통합확인서(예외자)도 발급 가능하다.


< 방역패스 예외적용자 전산 등록현황(2.3. 기준) >


구 분

예외 적용자별

등록건수

19,169

보건소에서 증빙서류

확인 후 예외자 등록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참여자

404

코로나19 백신 구성물질에 중증 알레르기 발생이력이 있는 경우

2,548

면역결핍 또는 면역억제제.항암제 투여로 접종연기가 필요한 경우

11,262

(신규)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의심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경우

2,363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접종금기·연기 통보받은 경우

2,551

질병청에서 직접 등록

(신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4-1(인과성 근거 불충분) 판정받은 경우

41


  * 4-1(인과성 근거 불충분) 판정을 받은 경우 중 이미 접종금기·연기를 통보받아 예외 적용된 대상자는 “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자”로 등록


 ○ 마지막으로 정은경 본부장은 방역패스 예외확인서를 받은 경우 시설 이용이 가능하나, 미접종·불완전접종 상태로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 위험이 높아* 실내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자제해주실 것을 당부하며,


    * ‘미접종 후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후 확진군’ 대비 13배,‘2차접종 후 확진군’ 대비 5배 높음 (1.3주 기준 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 항암제 투여, 입원치료 등으로 예외확인서를 발급받은 경우에도, 건강상태가 호전되면 나와 주변을 보호하기 위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완료해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3.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정보시스템 기능 고도화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검사체계 효율성 향상을 위해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관리를 하는 정보시스템* 기능이 2.7.(월), 2.14(월) 2차례에 걸쳐 고도화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covid19.kdca.go.kr)


 ○ 2.7.(월)부터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로 나누어진 전자문진표 항목을 통합 및 간소화(25→14개)하여 보다 신속하게 검사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 또한, 2.14.(월)부터는 전자문진표에 신속항원검사 항목이 추가됨에 따라, 신속항원검사를 받기 위해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방문 시 수기대장 접수 대신 전자문진표로 접수할 수 있게 되었다.


 ○ 기능 고도화 후 각각 일주일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방역현장의 의견을 듣고 필요 시 보완하도록 하여,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4. 베이징동계올림픽 선수단 코로나19 방역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오늘 개막하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2.4~2.20.) 기간 중 참가자들의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고, 국내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베이징동계올림픽 코로나19 대응 계획을 마련하여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감염병위기대응국장이 대책반장을 맡은 ‘베이징동계 올림픽 감염병 대책반’을 구성하였으며, 문체부, 대한체육회 등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 종합상황실을 통해 24시간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 또한 지난 1월 31일부터 베이징 현지 ‘선수단 종합상황실’에 역학조사관을 파견하여, 선수촌 내 코로나19 발생에 대비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선수단 방역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다. 


 ○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단 등에 대해 현지에서의 방역수칙 준수와 함께 귀국 후 철저한 모니터링을 당부했다. 


□ 한편, 질병관리청은 2022 베이징동계패럴림픽(3.4.~3.13) 기간에도 코로나19 예방‧관리를 위해 장애인체육회 등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역학조사관 파견 등 우리 선수단 보호조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5.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2,217명, 2차접종자 51,835명, 3차접종자 323,149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658,333명, 2차접종자수는 44,053,608명,  3차접종자수는 27,594,934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전체

12+

18+

60+

1

44,646,116

12,217

44,658,333

87.0

94.9

96.7

96.0

2

44,001,773

51,835

44,053,608

85.8

93.6

95.7

95.4

3

27,271,785

323,149

27,594,934

53.8


62.3

86.0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통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

누적 접종(C=A+B)

1(a=d+f+i+l)

44,646,116

12,217

44,658,333

2(b=e+g+j+l)

44,001,773

51,835

44,053,608

3(c=h+k+m)

27,271,785

323,149

27,594,934

AZ1)

1(d)

11,132,284

-

11,132,284

2(e)

11,093,452

119

11,093,571

교차접종


1,795,939


119


1,796,058

PF

1(f)

25,200,616

11,868

25,212,484

2(g)

24,678,409

48,827

24,727,236

3(h)

18,054,619

224,017

18,278,636

M1)

1(i)

6,799,875

313

6,800,188

2(j)

6,716,571

2,853

6,719,424

교차접종


106,514


156


106,670

3(k)

9,191,722

99,063

9,290,785

J2)(i)

1(l)

1,513,341

36

1,513,377

2(m)

25,444

69

25,513

1)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백신의 경우 AZ-PF, M-PF 교차접종자를 포함시키고, AZ-PF, M-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 2월 4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658,333

44,053,608

27,594,934

87.0

85.8

53.8

성별

남성

25,575,878

22,358,856

22,058,443

13,696,406

87.4

86.2

53.6

여성

25,741,511

22,299,477

21,995,165

13,898,528

86.6

85.4

54.0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28,156

2,204,136

2,021,059

90.7

89.8

82.3

70-79

3,883,747

3,740,150

3,719,513

3,472,617

96.3

95.8

89.4

60-69

7,404,447

7,231,301

7,188,069

6,319,616

97.7

97.1

85.3

50-59

8,574,374

8,408,757

8,347,173

5,956,217

98.1

97.4

69.5

40-49

8,035,809

7,684,890

7,598,705

3,997,178

95.6

94.6

49.7

30-39

6,591,585

6,325,961

6,205,303

2,838,205

96.0

94.1

43.1

20-29

6,404,726

6,321,878

6,231,864

2,643,047

98.7

97.3

41.3

12-19

3,732,656

2,717,240

2,558,845

346,995

72.8

68.6

9.3

(18-19)

(963,728)

(909,688)

(894,366)

(346,995)

(94.4)

(92.8)

(36.0)

(12-17)

(2,768,928)

(1,807,552)

(1,664,479)

(-)

(65.3)

(60.1)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658,333

44,053,608

27,594,934

87.0

85.8

53.8

성별

남성

25,575,878

22,358,856

22,058,443

13,696,406

87.4

86.2

53.6

여성

25,741,511

22,299,477

21,995,165

13,898,528

86.6

85.4

54.0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28,156

2,204,136

2,021,059

90.7

89.8

82.3

70-79

3,883,747

3,740,150

3,719,513

3,472,617

96.3

95.8

89.4

60-69

7,404,447

7,231,301

7,188,069

6,319,616

97.7

97.1

85.3

50-59

8,574,374

8,408,757

8,347,173

5,956,217

98.1

97.4

69.5

40-49

8,035,809

7,684,890

7,598,705

3,997,178

95.6

94.6

49.7

30-39

6,591,585

6,325,961

6,205,303

2,838,205

96.0

94.1

43.1

20-29

6,404,726

6,321,878

6,231,864

2,643,047

98.7

97.3

41.3

12-19

3,732,656

2,717,240

2,558,845

346,995

72.8

68.6

9.3

(18-19)

(963,728)

(909,688)

(894,366)

(346,995)

(94.4)

(92.8)

(36.0)

(12-17)

(2,768,928)

(1,807,552)

(1,664,479)

(-)

(65.3)

(60.1)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6.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월 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57명, 사망자는 2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836명(치명률 0.73%)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입원환자***

2.3.() 0시 기준

274

6,812

1,200

2.4.() 0시 기준

257

6,836

1,364

변동

(-)17

(+)24

(+)164

* 2.3. 0시부터 2.4.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7,283명, 해외유입 사례는 16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7,44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34,656명(해외유입 25,967명)이다.


구분

합계

국내

27,283

6,139

1,719

1,707

1,779

826

757

471

248

7,202

632

628

1,067

1,063

642

1,140

1,056

207

0

해외

160

21

6

6

4

3

6

0

4

24

4

0

5

1

6

4

8

5

53

합계

27,443

6,160

1,725

1,713

1,783

829

763

471

252

7,226

636

628

1,072

1,064

648

1,144

1,064

212

53


□ 2월 4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2월 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7,28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9,965.7명), 수도권에서 15,120명(55.4%) 비수도권에서는 12,163명(44.6%)이 발생하였다.


(주간: 1.29.~2.4., 단위: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2.4.(0시 기준)

27,283

15,120

2,700

2,531

2,847

3,246

632

207

주간 일 평균

19,965.7

11,978.9

1,837.0

1,655.6

1,858.0

2,181.0

342.0

113.3

주간 총 확진자 수

139,760

83,852

12,859

11,589

13,006

15,267

2,394

793

주간 발생률*

38.7

46.0

33.2

32.7

37.1

28.0

22.2

16.7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7.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은 지난주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급성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022년 5주(1.23.~1.29.)의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2.1명*(전년 동기간 1.9명)으로 4주(2.3명) 대비 감소하였으며, 유행기준(5.8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자료원) 전국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기관(의원급 의료기관 199개소) 주간 단위 보고자료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 38.0℃ 이상의 갑작스런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 2021-2022절기 유행주의보 발령 기준 : 5.8명 / 외래환자 1,000명


□ 한편, 질병관리청은 설 연휴로 인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입원환자 수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6세 미만 영·유아를 중심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주의를 당부하였다(표 참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환자 발생 현황>


2

(1.2.~1.8.)

3

(1.9.~1.15.)

4

(1.16.~1.22.)

5

(1.23.~1.29.)

입원환자 수

(219개 병원급 의료기관)

360

415

496

390*

* 신고환자의 89.4%6세 미만 영·유아임


 ○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집단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손씻기, 마스크 착용,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나 방문객 출입 제한, 주기적 환기, 개인물품 공유 제한 등 감염관리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8.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2.3.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길리어드,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242개 병원 31,557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셀트리온, 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 279개 병원 등 44,413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 「붙임 3」 참고



9.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3.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2.2.3.) 총 97개 기관에 1,582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449건, ▲진단기술 개발용 1,087건, ▲정도관리용 5건, ▲기타 융합연구 등 19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VOC는 921*건, ▲ FMV는 603**건, ▲VOI 58***건이 분양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921): 알파(175), 베타(169), 감마(118), 델타(334), 오미크론(125)

     ** FMV (603): 에타(81), 카파(116), 입실론(169), 아오타(85), 제타(89), 기타(63)

    *** 관심 변이주(VOI, 58): 뮤(58)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2.3. 0시 기준)]


목적

자원

백신·치료제연구

진단기술연구

기타
(정도관리 포함)

분양기관

21

73

3

97

분양수()

449

1109

24

1,582

V

O

C

알파형

(영국 GRY: B.1.1.7)

56

115

4

175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53

112

4

169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37

79

2

118

델타형

(인도 G: 1.617.2)

61

98

2

161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8

46

0

54

델타형

(서울 GK: AY.1)

9

52

2

63

델타형

(경기 GK: AY.69)

6

22

0

28

델타형

(경기 GK: AY.122)

6

22

0

28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1.529)

33

91

1

125

VOI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11

46

1

58

F

M

V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22

57

1

80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27

61

1

89

제타형

(브라질 GR: P.2)

28

58

3

89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22

58

1

81

아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21

63

1

85

카파형

(인도 G: B.1.617.1)

35

80

1

116

기타형

(경기 G: B.1.619)

7

27

0

34

기타형

(서울 G: B.1.620)

7

22

0

29


* WHO SARS-CoV-2 variants 분류변경으로 인하여 기존의 VUM에서 FMV(Formerly Monitored Variants)로 변경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2. 1. 25.)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일일확진자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 통계(1.31. 기준)

        4.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2.3. 18시 30분 기준)

        5.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6. 코로나19 확진자·밀접접촉자 격리기준   

        7. 코로나19 진료 병의원 운영방안 중 접촉자 관리기준 

        8.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9.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0. 방역패스 적용시설 및 입장 가능자 안내 포스터 2종

       11.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12.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3.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15.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6.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7.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8. 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9.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