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6.)
  • 작성일2022-02-06
  • 최종수정일2022-02-0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 (2월 6일)    ※ 4쪽 표 내 국가 위치 수정(2.7., 17:10)


전 세계 주간 확진자 2,300만명 이상 발생, 사망도 5주 연속 증가

일본, 독일 등 역대 최다 발생 지속, 아직 오미크론 유행 정점을 지나지 않은 프랑스, 독일 등 국가는 여전히 강화된 방역 조치 유지 중

OECD국가 간 비교 시, 한국은 구대비 누적환자발생은 째로 았고, 누적 100만명 확진되기까지 걸린 기간이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중) 가장 오래 걸린 것으로 조사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282명, 2차접종자 18,022명, 3차접종자 204,118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681,986명, 2차접종자수는 44,111,768명, 3차접종자수는 28,165,298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전체

12+

18+

60+

1

44,674,704

7,282

44,681,986

87.1

94.9

96.7

96.1

2

44,093,746

18,022

44,111,768

86.0

93.7

95.7

95.4

3

27,961,180

204,118

28,165,298

54.9

63.6

86.2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통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

누적 접종(C=A+B)

1(a=d+f+i+l)

44,674,704

7,282

44,681,986

2(b=e+g+j+l)

44,093,746

18,022

44,111,768

3(c=h+k+m)

27,961,180

204,118

28,165,298

AZ1)

1(d)

11,133,932

-

11,133,932

2(e)

11,095,366

48

11,095,414

교차접종

1,796,243

48

1,796,291

PF

1(f)

25,226,242

7,098

25,233,340

2(g)

24,762,765

17,015

24,779,780

3(h)

18,529,849

138,737

18,668,586

M1)

1(i)

6,801,002

175

6,801,177

2(j)

6,722,087

950

6,723,037

교차접종

106,850

76

106,926

3(k)

9,405,748

65,379

9,471,127

J2)(i)

1(l)

1,513,528

9

1,513,537

2(m)

25,583

2

25,585

1)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백신의 경우 AZ-PF, M-PF 교차접종자를 포함시키고, AZ-PF, M-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 2월 6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681,986

44,111,768

28,165,298

87.1

86.0

54.9

성별

남성

25,575,878

22,371,252

22,088,930

13,984,826

87.5

86.4

54.7

여성

25,741,511

22,310,734

22,022,838

14,180,472

86.7

85.6

55.1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28,431

2,204,895

2,023,370

90.7

89.8

82.4

70-79

3,883,747

3,740,494

3,720,422

3,478,554

96.3

95.8

89.6

60-69

7,404,447

7,232,236

7,190,733

6,347,123

97.7

97.1

85.7

50-59

8,574,374

8,410,611

8,351,915

6,068,586

98.1

97.4

70.8

40-49

8,035,809

7,687,399

7,605,926

4,177,387

95.7

94.7

52.0

30-39

6,591,585

6,330,029

6,216,288

2,950,651

96.0

94.3

44.8

20-29

6,404,726

6,324,905

6,239,256

2,755,801

98.8

97.4

43.0

12-19

3,732,656

2,727,881

2,582,333

363,826

73.1

69.2

9.7

(18-19)

(963,728)

(910,305)

(896,148)

(363,826)

(94.5)

(93.0)

(37.8)

(12-17)

(2,768,928)

(1,817,576)

(1,686,185)

(-)

(65.6)

(60.9)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2.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의 급증 이후 지난주와 유사한 발생 규모를 보였다고 밝혔다. 


 ○ 1.24.∼1.30. 1주간 전 세계 신규발생은 2,319만명(WHO 기준)으로 전 주 대비 1.4% 증가하며 지난주와 유사한 발생을 보였다.


     * (4주) 확진 23,199,977명(+1.4%), 사망 63,298명(+13.9%)



   - 미국은 최근 2주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사망자는 작년 2월 이후 최다를 기록하였고, 오미크론 검출률은 99.9%로 보고되었다.


     * 미국: (4주) 확진 3,785,082명(-24.0%), 사망 16,671명(+14.9%)


   - 러시아는 전 주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2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스텔스 오미크론(BA.2)은 오미크론 확진자의 약 3%(253건/8,239건, 2.2.)를 차지하였다.


     * 러시아: (4주) 확진 628,816명(+106.4%), 사망 4,616명(-3.7%)


   - 독일은 3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오미크론 검출률은 약 95%(1.28.)로 보고되었다.


     * 독일: (4주) 확진 1,055,768명(+47.6%), 사망 1,007명(-8.4%)


   - 일본은 2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오미크론이 먼저 확산된 오키나와에서 고령층 확진자 및 입원자가 증가 양상을 보였다.


     * 일본: (4주) 확진 463,354명(+72.7%), 사망 239명(+305.1%)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6.’22.1.30, WHO)

external_image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22.1.31.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2.1.24.‘22.1.30.)

예방접종률(%)

(’22.1.30.)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73,542,955

876,374

220,916

2,633(1.2%)

11,370

50.1

75.4

63.6

프랑스

18,311,268

127,665

279,989

1,952(0.7%)

35,825

28.6

79.7

76.3

영국

17,154,516

156,514

251,532

2,295(0.9%)

9,171

32.1

76.7

71.0

독일

9,737,215

117,725

116,057

1,403(1.2%)

12,584

12.0

75.1

73.3

이스라엘

2,778,994

8,817

315,795

1,002(0.3%)

53,780

33.8

72.0

65.6

일본

2,584,596

18,729

20,496

149(0.7%)

3,674

1.9

80.4

79.1

한국

828,624

6,732

16,047

130(0.8%)

1,834

3.7

87.0

85.8

□ 또한, 2월 6일 현재 오미크론 유행으로 국내 확진자도 100만명을 넘어섰지만 다른 주요 국가들과의 감염 규모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환자 발생이 가장 낮은 수준이라 설명하며, 이는 국민들께서 방역조치와 예방접종에 적극 협조해 준 결과임을 강조하였다.


 ○ 우리나라는 인구 백만명당 누적 확진자 수가 약 18,217명으로 OECD 38개 국가 중 2번째로 낮은 수준이며(1위 뉴질랜드 3,370명), 우리나라보다 인구 수가 적은 OECD국가(인구 1천만 명 이상 국가)와 비교하여도 누적 확진자 수가 가장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external_image


○ 한편, 코로나19 환자 집계를 시작한 이후 100만 명이 발생하기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749일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보다 인구수가 적은 OECD국가(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와 비교해서도 가장 늦게 도달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국가

최초 확진

1백만명 발생 시점

소요 기간()

콜롬비아

2020.3.6

2020.10.24

233

스페인

2020.2.1

2020.10.21

264

폴란드

2020.3.4

2020.12.2

274

체코

2020.3.1

2021.2.3

340

네덜란드

2020.2.27

2021.2.6

346

칠레

2020.2.23

2021.4.1

404

캐나다

2020.1.26

2021.4.4

435

벨기에

2020.2.4

2021.5.5

457

스웨덴

2020.2.1

2021.5.6

461

포르투갈

2020.3.2

2021.8.14

531

그리스

2020.2.26

2021.12.12

656

호주

2020.1.26

2022.1.9

715

대한민국

2020.1.20

2022.2.6.

749


 ○ 방역당국은 이 같은 결과가 의료진과 지자체 관계자들의 헌신과 국민의 방역참여 없이는 어려운 일이었음을 강조하며, 


  - 오미크론 유행이 본격화된 지금, 높은 감염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위중증 발생 특징에 맞춰 개편한 방역·의료 체계의 안정적 이행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국민들께도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 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감염예방

1.

코로나19 예방접종 3차접종(부스터) 적극 참여하기

3차접종(부스터)받기, 미접종자는 신속히 1·2차 접종받기

2.

3(밀폐·밀집·밀접)환경에서 보건용 마스크(KF80, KF94) 쓰기

밀폐·밀집·밀접환경, 감염취약시설 방문 시 KF80, KF94 마스크 권장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마스크 착용하기

하루 3, 10분이상 문과 창문을 열어 환기하기

3.

대면 접촉 줄이기

사적모임은 6인 이내,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짧게, 대화할 때는 마스크 착용

조기진단·조기치료

4.

(60세 이상, 고위험군) 유증상 시 신속하게 PCR 검사받고, 치료받기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 확진 시 먹는 치료제 등 조기 치료

5.

(일반) 유증상 시 신속항원검사받고, 치료받기

가정·지정의료기관·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양성PCR), 확진 시 재택치료



3.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72명, 사망자는 1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873명(치명률 0.68%)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입원환자***

2.5() 0시 기준

269

6,858

1,571

2.6() 0시 기준

272

6,873

1,360

변동

(+) 3

() 15

(-)211

* 2.5. 0시부터 2.6.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502명, 해외유입 사례는 18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8,69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09,688명(해외유입 26,339명)이다.

구분

합계

부산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국내

38,502

7,778

2,168

1,967

2,227

1,180

1,189

571

269

11,924

783

950

1,520

1,010

1,190

1,741

1,750

285

0

해외

189

43

6

4

11

6

1

0

1

28

3

3

6

2

2

9

13

0

51

합계

38,691

7,821

2,174

1,971

2,238

1,186

1,190

571

270

11,952

786

953

1,526

1,012

1,192

1,750

1,763

285

51


□ 2월 6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2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50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25,685.1명), 수도권에서 21,929명(57.0%) 비수도권에서는 16,573명(43.0%)이 발생하였다.

(주간: 1.31.~2.6., 단위: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2.6.(0시 기준)

38,502

21,929

3,928

3,380

3,708

4,489

783

285

주간 일 평균

25,685.1

14,968.7

2,461.0

2,278.6

2,413.1

2,902.0

492.6

169.1

주간 총 확진자 수

179,796

104,781

17,227

15,950

16,892

20,314

3,448

1,184

주간 발생률*

49.7

57.5

44.4

45.0

48.1

37.3

32.0

25.0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4. 코로나19 확진자·밀접접촉자 격리기준   

        5. 코로나19 진료 병의원 운영방안 중 접촉자 관리기준 

        6.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7.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8. 방역패스 적용시설 및 입장 가능자 안내 포스터 2종

        9.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10.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1.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2.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13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4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5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6 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7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18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