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1.)
  • 작성일2022-03-11
  • 최종수정일2022-03-14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1.)    ※ 3쪽 양성 비율 설명 수정(15:08)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3월 1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116명, 사망자는 22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9,875명(치명률 0.17%)이라고 밝혔다.


구분

2.26.

2.27.

2.28.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3.11.

사망자

112

49

114

112

96

128

186

216

161

139

186

158

206

2291)

재원중

위중증

643

663

715

727

762

766

797

896

885

955

1,007

1,087

1,113

1,1162)

입원

1,967

1,877

1,458

1,667

1,627

1,629

1,884

2,051

1,714

1,385

1,716

2,149

2,020

1,982


1) 사망자 연령대 및 접종력 : 20대 1명, 40대 4명, 50대 7명, 60대 18명, 70대 49명, 80대 이상 150명미접종자 101명(40대 2명, 50대 6명, 60대 6명, 70대 20명, 80대 이상 67명)

2) 재원중 위중증 연령대 : 10세 미만 4명(-2명/0.4%), 10대 3명(0명/0.3%), 20대 17명(0명/1.5%), 30대 23명(-1명/2.1%), 40대 31명(0명/2.8%),  50대 85명(-3명/7.6%), 60대 240명(-1명/21.5%), 70대 331명(+15명/29.7%), 80세 이상 382명(-5명/34.2%)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82,880명, 해외유입 사례는 10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82,98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822,626명(해외유입 30,130명)이다.


구분

합계

국내

282,880

56,600

22,917

10,307

17,457

8,836

7,212

5,261

1,840

72,420

7,480

7,910

10,798

8,841

8,984

10,306

21,422

4,289

0

해외

107

3

3

0

1

12

0

0

0

7

2

4

0

11

3

9

6

0

46

합계

282,987

56,603

22,920

10,307

17,458

8,848

7,212

5,261

1,840

72,427

7,482

7,914

10,798

8,852

8,987

10,315

21,428

4,289

46


□ 3월 11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1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82,88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266,254.3명), 수도권에서 146,477명(51.8%) 비수도권에서는 136,403명(48.2%)이 발생하였다.


(주간: 3.5.~3.11., 단위: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11.(0시 기준)

282,880

146,477

27,760

26,661

20,613

49,600

7,480

4,289

주간 일 평균

266,254.3

142,196.0

24,091.7

21,866.4

19,209.7

48,434.3

6,694.3

3,761.9

주간 총 확진자 수

1,863,780

995,372

168,642

153,065

134,468

339,040

46,860

26,333

주간 발생률*

515.6

546.4

434.8

432.0

383.3

622.1

435.1

555.9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2.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운영 개선 방안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등 양성자에 대한 관리 방안을 변경하기로 하였다.


 ○ 3월 14일부터 한 달 간 한시적으로 응급용 선별검사(PCR)와 유증상자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경우 의사 판단하에 확진으로 간주하여 PCR 검사 양성 확진과 동일하게 관리한다. 


 ○ 이는 최근 코로나19 유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예측도가 크게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 호흡기전담클리닉 대상(76개 기관) 조사 결과,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이 PCR검사도 양성인 비율 94.7%


□ 동네 병·의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아 양성이 확인된 경우, 보건소 등을 방문하여 추가 PCR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바로 진료·상담·처방을 실시하게 된다.


 ○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국의 7,588개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에서 받을 수 있으며, 우리 동네의 해당 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코로나19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는 검사한 병·의원에서 주의 사항과 격리 의무 발생 사실 등을 바로 안내받고 즉시 격리와 재택치료를 개시하게 된다.


 ○ 한편, 60대 이상의 경우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 시, 바로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을 수 있다.


 ○ 보건소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자에 대해 의료기관으로부터 신고를 받은 후, 즉시 격리 통지, 확진자 조사와 환자 분류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제도개선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 대기 시간을 줄이고 행정절차 등으로 인한 환자 관리 지연 등을 방지하여 확진자의 조기 치료 및 신속한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경우 먹는 치료제를 조기 처방하여 위중증을 방지하고,


 ○ 백신 미접종 연령층인 11세 이하 소아의 경우 소아·청소년 전문의의 검사와 진찰을 통해 신속한 치료를 진행하여, 주치의로서 관리와 소아 거점전담병원의 대면 및 입원 진료 연계 등을 통해 보다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 아울러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시 추가 PCR 검사를 위한 이동이 필요 없어짐에 따라 추가 확산 전파 위험이 억제되고, 


 ○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가 PCR 검사 수요를 대체하면서 PCR 검사 역량이 보존되어 감염취약시설, 동거가족 등 우선순위 검사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확진시 업무 프로세스 그림 붙임 참고>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 부처와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3.8.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2.3.8.) 총 105개 기관에 1,689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471건, ▲진단기술 개발용 1,194건, ▲정도관리용 5건, ▲기타 융합연구 등 19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VOC는 998*건, ▲ FMV는 625**건, ▲VOI 66***건이 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998): 알파(181), 베타(173), 감마(122), 델타(374), 오미크론(148)

    ** FMV (625): 에타(83), 카파(120), 입실론(173), 아오타(87), 제타(91), 기타(71)

    *** 관심 변이주(VOI, 66): 뮤(66)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3.8. 0시 기준)]


목적

자원

백신·치료제연구

진단기술연구

기타
(정도관리 포함)

분양기관

21

81

3

105

분양수()

471

1194

24

1689

V

O

C

알파형

(영국 GRY: B.1.1.7)

56

121

4

181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53

116

4

173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37

83

2

122

델타형

(인도 G: 1.617.2)

61

102

2

165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9

53

0

62


델타형

(서울 GK: AY.1)

11

57

2

70

델타형

(경기 GK: AY.69)

9

29

0

38

델타형

(경기 GK: AY.122)

9

30

0

39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1.529)

42

105

1

148

VOI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15

50

1

66

F

M

V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22

59

1

82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27

63

1

91

제타형

(브라질 GR: P.2)

28

60

3

91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22

60

1

83

아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21

65

1

87

카파형

(인도 G: B.1.617.1)

35

84

1

120

기타형

(경기 G: B.1.619)

7

31

0

38

기타형

(서울 G: B.1.620)

7

26

0

33


* WHO SARS-CoV-2 variants 분류변경으로 인하여 기존의 VUM에서 FMV(Formerly Monitored Variants)로 변경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2. 2. 22.)



4.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3.10.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길리어드,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312개 병원 42,331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 붙임3 참고 



5.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3월 11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5,005명, 2차접종자 6,187명, 3차접종자 59,45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93,814명, 2차접종자수는 44,414,213명, 3차접종자수는 31,979,242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전체

12+

18+

60+

1

44,888,809

5,005

44,893,814

87.5

95.4

97.1

96.2

2

44,408,026

6,187

44,414,213

86.5

94.3

96.2

95.6

3

31,919,788

59,454

31,979,242

62.3


72.2

88.6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통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

구분

1차접종

2차접종

3차 접종

신규

누적

신규

누적

신규

누적

5,005

44,893,814

6,187

44,414,213

59,454

31,979,242

PF

776

25,353,560

2,774

26,939,563

42,244

21,305,896

M

17

6,808,996

132

6,632,860

15,831

10,617,096

AZ

-

11,072,458

-

9,239,271

-

1,042

J1)

5

1,515,281



7

26,542

NVX

4,207

66,323

3,276

12,282

1,372

23,399

기타백신2)

-

77,196

-

74,956

-

5,267

1) 얀센백신은 1차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어, 2차 접종으로 백신 사용되지 않음

2) 기타백신은 국외 허가백신(국내 미승인 백신(WHO 승인백신))의 접종력이 등록된 자(시노팜, 시노백 등)


□ 3월 11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893,814

44,414,213

31,979,242

87.5

86.5

62.3

성별

남성

25,575,878

22,475,513

22,245,778

15,875,692

87.9

87.0

62.1

여성

25,741,511

22,418,301

22,168,435

16,103,550

87.1

86.1

62.6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34,443

2,211,501

2,051,785

91.0

90.1

83.6

70-79

3,883,747

3,745,982

3,726,654

3,536,784

96.5

96.0

91.1

60-69

7,404,447

7,244,991

7,206,291

6,593,129

97.8

97.3

89.0

50-59

8,574,374

8,431,259

8,377,913

6,836,839

98.3

97.7

79.7

40-49

8,035,809

7,719,157

7,640,901

5,184,275

96.1

95.1

64.5

30-39

6,591,585

6,372,641

6,269,365

3,658,934

96.7

95.1

55.5

20-29

6,404,726

6,361,303

6,289,110

3,591,620

99.3

98.2

56.1

12-19

3,732,656

2,784,038

2,692,478

525,876

74.6

72.1

14.1


(18-19)

(963,728)

(914,669)

(905,143)

(525,876)

(94.9)

(93.9)

(54.6)


(12-17)

(2,768,928)

(1,869,369)

(1,787,335)

(-)

(67.5)

(64.5)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6.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은 지난주 인플루엔자 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022년 10주(2.27.~3.5.)의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3.6명*(전년 동기간 1.9명)으로 9주(3.9명) 대비 감소하였으며, 유행기준(5.8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2절기 인플루엔자의사환자 분율 현황>

구분

1

2

3

4

5

6

7

8

9

10

2020-2021

2.4

2.4

2.6

2.3

1.9

1.9

1.9

2.0

1.2

1.9

2021-2022

2.1

1.8

1.7

2.3

2.1

2.1

2.6

3.7

3.9

3.6



<관련 그림 붙임 참고>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 (3.3. 18시 30분 기준)

        4. OECD 회원국 코로나19 누적발생 및 사망 그래프

        5.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6.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7.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8.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9.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10. 동거인 안내문(가족 간 전파 예방, 건강 관리) 

       11.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12.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3.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4.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5.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6.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17.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8.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19.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