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내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 효과 국외 학술지 게재
  • 작성일2022-04-22
  • 최종수정일2022-04-25
  • 담당부서역학조사분석담당관
  • 연락처043-719-7972

국내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 효과 국외 학술지 게재


국내 60대 이상 연령층 10,999,292명 대상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의 감염, 위중중, 사망 예방효과 분석 결과 각각 75.0%, 91.6%, 92.3%로 확인

질병관리청은 국내 코로나19 백신 효과평가를 위한 연구를 K-COVE Study*로 명명하고 과학방역을 위한 빅데이터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영역을 분석하여 정책 반영 예정

* Korea COvid-19 Vaccine Effectiveness Study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국내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코로나19 3차 접종 예방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4월 19일 국외 유명학술지 ‘Clinical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 Effectiveness of Booster mRNA Vaccines against SARS-CoV-2 Infection in Elderly Population, South Korea, October 2021 – January 2022

https://academic.oup.com/cid/advance-article/doi/10.1093/cid/ciac319/6570782?searchresult=1


 ○ 이번 논문은 국내 거주 60대 이상 연령층 약 1천 1백만 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부터 ~ 2022년 1월까지 코로나19 백신 2차접종 완료군과 3차접종 완료군에서 코로나19 감염, 위중증, 치명률을 분석한 결과로,


   - 2차접종만 완료한 군에 비해 3차접종완료군에서 감염 예방효과는 75.0%(95% 신뢰구간 74.1%~75.8%), 위중증 예방효과는 91.6%(95% 신뢰구간 89.2~93.4%), 사망 예방효과는 92.3%(95% 신뢰구간 88.7~94.8%)로 분석되었다.


□ 이번 결과는 그간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계획 수립 및 시행 후 효과 평가와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분석되어 여러 차례 국내 보도자료를 통해 소개된 내용이며, 


 ○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3차접종 효과를 분석한 연구 중 가장 규모가 큰 연구로 국외 유명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되어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의 효과와 분석 역량을 학술적으로 인정받은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 질병관리청은 국내 코로나19 백신 효과평가를 위한 일련의 연구를 K-COVE(Korea COvid-19 Vaccine Effectiveness) Study로 명명하고,


 ○ ‘과학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측면에서 4차예방접종 효과, 접종 후 효과 지속 기간, 백신 실패 위험요인 등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K-COVE Study 개요]

연구 목적 :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평가

연구 대상 :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권장 대상 인구 약 53백만명

주요 내용 : 접종률, 돌파감염 현황, 연령대별, 신분별, 접종 횟수별 예방접종 효과, 효과 지속 기간 등

그간 실적

- (보도자료) 주단위 예방접종 효과 평가 결과 포함

- (학술논문) 3

3 대상 예방접종효과. Vaccine 2021. Dec.

돌파감염 현황. Emerging Infectious Disease. 2022. March

소아에서 예방접종효과. JKMS. 2022. May


<붙임>  국내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코로나19 2차접종자 대비 3차 접종자 감염, 위중증, 사망 예방효과 주요 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