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7월1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7.0% 증가 (7.12. 11시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7-12
  • 최종수정일2022-07-13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7월1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7.0%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모두“중간”-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5,987명(전주 대비 87.0%↑)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48명, 사망자 62명

 ○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


□ 원숭이두창 국내 첫 확진자의 접촉자 감시 종료

 ○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의 접촉자 총 49명 전원 추가 환자 발생 없이 금일(0시 기준) 감시 종료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이 6월4주 이후 지속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6월4주) 4.9만 명→(6월5주) 5.9만 명 →(7월1주) 11.1만 명


 ○ 7월 1주(7.3.~7.9.) 주간 확진자 수는 111,910명, 주간 일평균 15,987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87.0% 증가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40으로 지난 6월 1주 이후 5주 연속 증가하였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5.15.~7.9.)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53

(5.15~5.21.)

54

(5.22~5.28.)

61

(5.29.~6.4.)

62

(6.5.~6.11.)

63

(6.12.~6.18.)

64

(6.19.~6.25.)

65

(6.26~7.2.)

71

(7.3~7.9.)

확진자수()

181,856

129,319

86,216

64,284

52,403

49,375

59,834

111,910

일 평균 확진자()

25,979

18,474

12,317

9,183

7,486

7,054

8,548

15,98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50.3

35.8

23.9

17.8

14.5

13.7

16.6

31.0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72

0.71

0.67

0.75

0.82

0.94

1.21

1.87

감염재생산지수(Rt)

0.83

0.81

0.74

0.79

0.86

0.91

1.05

1.40



○ 전주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20-29세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발생률(50.4명)을 보이고, 전체 발생 중 비중은 20-29세(21.0%), 30-39세(15.9%), 40-49세(15.2%) 순으로 나타났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증가하였으나 비중은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비율 : (6월3주) 15.6% → (6월4주) 15.5% → (6월5주) 13.7% → (7월1주) 12.7%

    ** 60세 이상 확진자수 :  (6월3주) 8,176명 →  (6월4주) 7,657명 → (6월5주) 8,205명 → (7월1주) 14,220명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64

65

71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49,375

(100.0)

13.7

59,834

(100.0)

16.6

111,910

(100.0)

31.0

18,491,435

(100.0)

35,809

성별

남성

23,820

(48.2)

13.2

28,156

(47.1)

15.6

52,592

(47.0)

29.2

8,694,286

(47.0)

33,769

여성

25,555

(51.8)

14.1

31,678

(52.9)

17.5

59,318

(53.0)

32.7

9,797,149

(53.0)

37,838

연령별

0-9

4,043

(8.2)

15.4

4,656

(7.8)

17.7

9,495

(8.5)

36.1

2,207,050

(11.9)

58,693

10-19

6,042

(12.2)

18.3

7,328

(12.2)

22.2

15,712

(14.0)

47.7

2,422,021

(13.1)

51,430

20-29

9,662

(19.6)

20.7

13,306

(22.2)

28.6

23,461

(21.0)

50.4

2,708,167

(14.6)

40,688

30-39

7,914

(16.0)

16.8

9,921

(16.6)

21.1

17,739

(15.9)

37.7

2,722,251

(14.7)

40,489

40-49

7,534

(15.3)

13.2

8,896

(14.9)

15.6

17,047

(15.2)

29.8

2,852,820

(15.4)

34,932

50-59

6,523

(13.2)

10.8

7,522

(12.6)

12.4

14,236

(12.7)

23.6

2,283,966

(12.4)

26,449

60-69

4,605

(9.3)

9.2

5,120

(8.6)

10.2

8,743

(7.8)

17.4

1,870,813

(10.1)

26,111

70-79

2,040

(4.1)

7.8

2,111

(3.5)

8.1

3,558

(3.2)

13.7

886,326

(4.8)

23,857

80세이상

1,012

(2.0)

6.9

974

(1.6)

6.6

1,919

(1.7)

13.0

538,021

(2.9)

25,523




□  7월 1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48명으로 전주 대비 4.0%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62명으로 전주 대비 34.8%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6월 4주) 42명 → (6월 5주) 50명 → (7월 1주) 48명 

  ** 주간 사망자 수 : (6월 4주) 89명 → (6월 5주) 46명 → (7월 1주) 62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7.9. 0시 기준)




 ○ ’22년 7월 9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7.7명(치명률 0.13%)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86.9명(치명률 2.6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2.9명(치명률 0.64%), 60대는 40.6명(치명률 0.16%)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7.9.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7월 1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6.8%(6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54.8%(34명), 70대가 35.5%(22명), 60대가 6.5%(4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36.7%(22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치매 등 신경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등 내분비계 질환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6주차(6.27.∼7.3.)에 신규발생 511만명(WHO기준)으로 최근 4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고,


   * 전 세계: (26주) 확진 5,118,902명(13.2%), 사망 9,327명(1.2%)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증가하며,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독일 등의 국가에서 최근 발생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독일)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이 최근 5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감소세 지속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7.9.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7월1주 100.0%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40.3%(+0.8%), BA.2는 24.1%(-0.1%), BA.5*는 23.7%(-0.4%)로 확인되었다. 

   * (6월5주→7월1주) BA.5 국내감염 24.1% → 23.7%, BA.5 해외유입 49.2% → 70.0%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7.9.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형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BA.4

BA.5

국내감염

63

100.0

34.8

56.9

2.9

0.6

2.0

64

100.0

32.7

51.1

4.2

0.8

7.5

65

100.0

24.2

39.5

5.5

3.4

24.1

71

100.0

24.1

40.3

5.1

3.2

23.7

해외유입

63

100.0

31.3

7.2

26.5

8.4

13.3

64

100.0

25.0

6.3

14.8

5.5

32.8

65

100.0

15.0

5.8

11.7

13.3

49.2

71

100.0

8.2

5.3

5.9

9.4

70.0


   * 전장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산출된 통계자료임


  - 오미크론 BA.2.12.1 80건(국내 62건, 해외유입 18건), BA.4 24건(국내 12건, 해외유입 12건), BA.5 260건(국내 120건, 해외유입 140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12.1 432건, BA.4 103건, BA.5 655건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4%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1.9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4%,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9.9%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7.3. 기준)





□ 전국 중환자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 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비수도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0%대로 증가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6.5주 → 7.1주): (전국) 5.2% → 7.8%, (수도권) 5.0% → 7.4%, (비수도권) 6.0% → 9.2%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6.5주 → 7.1주): (전국) 8.1% → 16.9%, (수도권) 6.6% → 13.1%, (비수도권) 12.4% → 27.4%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7월 1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확진자 발생 및 감염재생산지수의 2주 연속 증가세와 사망자 수의 증가를 고려하여,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


 ○ 해외유입 확진자의 BA.5형 변이 검출률 증가로, 확진자 발생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중간으로 상향하였다.



<7월 1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3

4

5

6

7

2

(3.6.~)

3

(3.13.~)

4

(3.20.~)

5

(3.27.~)

1

(4.3.~)

2

(4.10.~)

3

(4.17.~)

4

(4.24.~)

1

(5.1.~)

2

(5.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전국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수도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비수도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 정부는 지난 6월 22일 발표한 「코로나19 여름휴가 대책」(관계부처 합동)을 바탕으로, 부처별 소관 시설 특성*을 고려한 방역대책 수립 및 이행사항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 (행안부) 무더위쉼터 (고용부) 외국인 사업장 (법무부) 교정시설 (지자체) 지역축제 등



 ○ 지자체는 그간 코로나19 유행 안정세에 따른 방역대응 인력 복귀 및 원숭이 두창 동시대응 등을 감안하여 지자체 코로나19 담당 인력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무엇보다 전국민의 자율적인 생활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여름 휴가철 재확산 방지를 위해 단체모임보다는 가족단위 소규모로 혼잡한 장소와 시간대를 피하여 방문·이용*하여 주시고,


    * (해수부) 해수욕장 신호등 혼잡도제, 한적한 해수욕장 선정(7월 중 운영)



 ○ 3밀(밀폐·밀접·밀집) 환경에서는 마스크 착용, 수시로 손 씻기, 기침예절 등 준수와 함께 주기적인 환기·소독 실시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참고











 2. 원숭이두창 국내 첫 확진자의 접촉자 감시 종료



□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확진일 6.22)의 접촉자 총 49명(중위험 8명, 저위험 41명) 전원은 추가 환자 발생 없이 금일(0시) 감시 종료되었다.


 ○ 첫 확진자의 접촉자 49명은 모두 기내접촉자로, 접촉 위험도에 따라 중위험 접촉자 8명, 저위험 접촉자 41명으로 분류되었으며, 


  - 중위험 접촉자를 대상으로 노출 후 예방접종(Post-exposure prophylaxis, PEP) 희망여부를 조사하였으나, 전원 접종의사가 없어 예방접종은 실시하지 않았다.


 ○ 최종 노출일(6.21일)로부터 21일 간(전일 자정 24시까지) 중위험 및 저위험 접촉자에 대해 각각 능동감시와 수동감시*로 관리한 결과, 


   * (중위험 접촉자 능동감시) 관할보건소에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유선으로 모니터링,(저위험 접촉자 수동감시) 본인 건강상태를 자가 모니터링 및 증상 발생 시 보건소 연락


  - 접촉자 모두 의심증상은 없었으며, 원숭이두창 환자의 추가 발생 및 지역사회 전파 없이 접촉자 감시를 종료하였다.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7.9. 기준) 

        4.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12.1 등)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5.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 현황(6월5주)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7.3. 0시 기준)

        8. 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대국민용)

        9. 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발생지역 방문자용)

       1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