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하절기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7.22.)
  • 작성일2022-07-22
  • 최종수정일2022-07-25
  • 담당부서감염병관리과
  • 연락처043-719-7152


하절기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 주요 내용- 


□ 최근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 신고가 증가함에 따라 예방수칙 준수 및 위생관리 당부


 ○ (개인 예방수칙)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손씻기의 생활화, 안전한 물과 음식 섭취


 ○ (조리시 예방수칙) 조리 위생 준수, 식재료 상온 방치 자제, 완전히 익히기, 식자재의 올바른 보관 및 처리,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조리 금지


  - (달걀) 달걀을 만진 이후 손씻기, 손상되지 않은 달걀 구입 및 냉장 보관 


  - (가금류) 생닭 등을 만진 이후 손씻기,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하단 보관, 세척 시 세척용수가 다른 식재료에 닿지 않도록 주의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 신고가 증가함에 따라, 주의 및 예방수칙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전국 208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22년 28주(7.3.~7.9.)에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총 136명, 살모넬라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104명으로, 


  - 18주(4.24.~4.30.)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과거 발생 경향을 고려할 때 7월 말에서 8월 초까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주별 살모넬라균,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건수>


신고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

신고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

18

(4.24.~4.30.)

25

22

24

(6.5.~6.11.)

69

107

19

(5.1.~5.7.)

28

37

25

(6.12.~6.18.)

70

138

20

(5.8.~5.14.)

38

67

26

(6.19.~6.25.)

78

119

21

(5.15.~5.21.)

55

73

27

(6.26.~7.2.)

94

125

22

(5.22.~5.28.)

48

68

28

(7.3.~7.9.)

110

144

23

(5.29.~6.4.)

59

88

29(잠정)

(7.10.~7.16.)

104

113




 ○ 특히, 하절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살모넬라균 및 캄필로박터균 등에 의한 장관감염증 발생이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살모넬라균에 노출된 달걀, 우유, 육류 및 가공품이,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비살균 식품과 가금류가 주요 감염원으로, 이 식품들을 조리할 시 상온 방치 혹은 교차오염이 위험요인이다.



 ○ 예방을 위해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 냉장보관 해야 하며,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한다.


  - 달걀의 겉표면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달걀을 만진 이후에는 손을 씻어야 한다.



 ○ 또한, 생닭의 표면에는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어, 생닭을 만진 이후에는 손을 씻어야 하며, 보관 시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내 가장 하단에 보관하고,


  - 식재료 세척 시 가장 마지막에 하되 씻는 물이 튀어 다른 식재료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이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및 조리 위생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아울러 음식조리 시 식자재에 따라 도마, 칼 등의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 조리 후 소독하고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기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여름철에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1. 「살모넬라균 감염증」 개요 

         2.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개요

         3.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발생 현황

         4. 「살모넬라균 감염증」 질의응답

         5.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질의응답

         6.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홍보자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