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 건강행태 변화(7.29.)
  • 작성일2022-07-29
  • 최종수정일2022-07-29
  • 담당부서건강영양조사분석과
  • 연락처043-719-7461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 건강행태 변화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 건강행태 변화에 관한 심층분석 결과 발표 

 ○ 코로나19 유행 전에 비해 흡연, 음주 지표는 개선

 ○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식생활, 비만 지표는 악화 경향


□ 청소년 건강행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 근거 생산 강화





□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의 건강행태 변화에 관한 심층분석 결과를 「국민건강통계플러스」* 현안보고서를 통해 발표(’22.7.29.)한다. 

    * 국가건강조사 자료의 활용 강화를 위한 요약 통계집으로 ’22년 첫 번 째 현안보고서 발간


  ※ [22.4.29. 보도자료] ‘청소년 흡연, 음주 감소세 유지, 신체활동, 식생활 개선 필요’ 후속 심층분석 결과



 ○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청소년의 흡연‧음주는 개선되었으나 식생활과 비만은 악화되었다.


  - 코로나19 유행 이후 현재흡연율과 현재음주율은 감소하였으며, 유행이 지속된 ’21년은 ’20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반면, 아침식사 결식률은 지속 증가하고, 과일섭취율은 감소하는 등 식생활 지표는 유행 전‧후로 나빠졌으며, 비만율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더욱 증가하였다.




<그림> 코로나19 유행 전‧후 건강행태 변화

- 현재흡연율, 현재음주율, 아침식사 결식률, 비만율





 ○ 특히 성별, 학교급별로 건강행태 변화를 살펴보면(<붙임> 참고),


  - 흡연, 음주 지표는 남자 고등학생(흡연율 –4.1%p, 음주율 –7.4%p)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 식생활 지표는 남녀 중‧고등학생에서 모두 나빠졌고,


  - 신체활동 지표는 유행 전․후로 남자 중학생에서 감소하였으나, 유행이 지속되면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비만율은 남학생(중 4.4%p, 고 2.7%p)에서 유행 전‧후 증가 폭이 컸으며, 유행 1~2년차에도 지속 증가하였다.


  - 우울감 경험률은 유행이 지속되면서 중학생(남 3.9%p, 여 2.0%p)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의 비만, 우울감 경험과 관련 요인 분석 결과,


  - 불규칙한 아침식사, 스트레스 인지, 신체활동 미실천(남학생)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비만일 가능성이 높았다. 


  - 우울감 경험 관련 요인은 남녀학생 모두 현재 흡연, 현재 음주, 불규칙한 아침식사, 스트레스 인지였다.




□ 심층분석 결과가 수록된 「국민건강통계플러스」 현안보고서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 누리집 : 질병관리청(http://www.kdca.go.kr), 국민건강영양조사(https://knhanes.kdca.go.kr)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에 발간되는 현안보고서는 ’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청소년의 건강행태 변화와 관련 요인을 분석한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며, 



 ○ “감염병 유행 시 근거 기반의 학생건강증진 정책 추진에 필요한 통계 생산과 심층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한 심층분석 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