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면역저하자 중증·사망 예방 위한 4차접종 독려 (8.25.목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8-25
  • 최종수정일2022-08-2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11


면역저하자 중증·사망 예방 위한 4차접종 독려

- 면역저하자 대상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 투약 실시 중 -




- 주요 내용 -


□ 면역저하자 보호를 위한 예방접종 참여 당부

 ○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면역저하자의 예방접종, 특히 4차접종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

 ○ 면역저하자의 감염 시 높은 중증·사망 위험, 3차 접종 대비 4차접종의 높은 중증·사망 예방효과, 접종 후 낮은 이상반응 신고율 확인


□ 면역저하자 대상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 투약 추진현황

 ○ 예방접종으로 면역형성이 충분하지 않은 면역저하자 대상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 투약 실시 중

 ○ 8월 24일까지 이부실드 1,723명 예약, 604명 투약

 ○ 미국 FDA의 연구 결과, 이부실드 투약 시 감염은 93%, 중증 및 사망은 50%가 감소하는 등 예방효과와 안전성이 확인






 1. 면역저하자 중증·사망 예방 위한 4차접종 참여 당부 



□ 코로나19예방접종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면역저하자의 예방접종, 특히 4차접종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 면역저하자는 혈액암 등의 질환이나,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면역형성이 어렵거나 충분하지 않은 고위험군으로, 코로나19로부터 보다 각별한 보호가 필요한 집단이다. 


   - 이에 추진단은 추가접종(3차, 4차) 계획수립 시, 우선접종 대상으로 분류하여 조기에 접종을 시행하였다.


 ○ 면역저하자의 범위는 관련 학회 권고 및 전문가 자문 등에 근거하여 결정하였으며, 구체적인 기준은 아래와 같다.




[면역저하자 범위]


종양 또는 혈액암으로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장기이식 수술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후 2년 이상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는 경우

일차(선천) 면역결핍증(항체결핍, DiGeorge syndrome, WiskottAldrich syndrome )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로 치료 중인 경우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기저질환자 및 면역저하자로서 4차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가능



<1> 최근 접종률 동향 


□ 현재까지 접종현황은 다음과 같다. 


 ○ 면역저하자(약 140만 명)에 대한 4차접종은 2월 14일부터 시행하였고, 현재까지 약 52.5만 명이 접종을 완료(접종률 37.5%)하였다.


 ○ 면역저하자의 접종률은, 지난 4월 4차접종을 시작한 60세 이상의 대상자 대비 접종률이 47.0%인 것에 반해 낮은 접종률을 보인다.


<면역저하자 4차 접종률 현황(, %)>

구분

접종대상자(A)

신규 접종자(B)

누적 접종자(C)

대상자 대비 접종률(C/A)

면역저하자

1,400,182

1,811

525,086

37.5

60세 이상

12,301,354

17,020

5,785,715

47.0




<2> 접종의 필요성 : 높은 사망 위험 


□ 면역저하자의 코로나19 관련 국내연구 Baek MS, Lee M-T, Kim W-Y, Choi JC, Jung S-Y (2021) COVID-19-related outcome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 nationwide study in Korea. PLoS ONE 16(10)

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 중 면역저하자는 면역저하자가 아닌 집단에 비해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분석대상) 6,435명의 18세 이상 코로나19 환자 중 871명의 면역저하자(13.5%) 및 5,564명의 非면역저하자(86.5%)

   ** (면역저하자) HIV/AIDS 진단, 3년 이내 장기이식, 30일 이상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경구 면역억제제 처방, 1년 이내 비경구 면역억제제 처방 1회 이상 등


 ○ 먼저, 병원 내 사망률(in-hospital mortality rates) 비교 시, 면역저하자는 9.6%, 비면역저하자는 2.3%로, 면역저하자의 사망률이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생존율(survival probability) 비교 시, 면역저하자는 0.936, 비면역저하자는 0.980으로, 면역저하자가 낮게 나타났다.




<그림> 코로나19 환자의 면역저하 질환 보유여부에 따른 생존율 비교




<3> 접종의 효과 : 3차접종 대비 4차접종의 중증사망 예방 


□ 국내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대상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3차접종군 대비 4차접종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20.3%, 중증화 예방효과는 50.6%, 사망 예방효과는 53.3%로 나타났다. 


 ○ 추진단은 4차접종으로 감염, 중증, 사망에 대한 추가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면역저하자에게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 (분석기간·대상) '22.2.16. ~ '22.4.30.,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약 151만 명 


<그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4> 접종의 안전성 


□ 한편, 면역저하자의 이상반응 분석결과, 전체 인구집단 대비 신고율은 낮았으며, 대부분 경미한 이상반응으로 확인되었다. 


 ○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면역저하자에서 이상반응 신고율은 접종 1,000건당 3.47건으로 전체 신고율 3.71건 대비 낮으며, 대부분 두통, 발열 등 경미한 증상(96.4%)이었다.


<국내 면역저하자의 이상반응 신고현황(8.14. 기준)>


(단위: (/1,000건 접종))

대상

이상반응

전체

일반 이상반응

중대한 이상반응

전체

474,667

(3.71)

455,697

(3.57)

18,970

(0.15)

면역저하자

16,401

(3.47)

15,811

(3.35)

590

(0.12)




<5> 접종독려  


□ 추진단은 면역저하자의 감염 시 높은 중증·사망 위험, 3차 접종 대비 4차접종의 높은 중증·사망 예방효과, 접종 후 낮은 이상반응 신고율 등을 고려할 때,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실 것을 당부했다.


 ○ 접종을 희망하는 면역저하자는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고, mRNA 백신 또는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


 ○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과 전화(1339, 지자체콜센터)로 예약할 수 있고,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다.


□ 추진단은 예방접종은 본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인 점을 강조하며, 면역저하자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2. 면역저하자 대상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 투약 추진현황



<1> 예방용 항체주사제 개요


□ 또한, 추진단은 예방접종으로 면역형성이 충분하지 않은 면역저하자를 위해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를 도입하였으며, 예약과 투약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예방용 항체주사제’인 이부실드는 면역억제 치료 또는 중증 면역결핍증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는 면역 형성이 어려운 분들에게 항체를 근육주사로 직접 투여해 예방효과를 발생시킨다.


 ○ 이부실드는 투약 이후 수시간 내 감염예방효과를 제공하고 6개원간 효과가 지속되지만,


   - 백신처럼 세포매개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예방접종으로 항체형성이 어려운 중증 면역저하자에게 제한적으로 투약을 실시하고 있다.


□ 이부실드는 임상시험을 통해 투약 시 감염은 93%, 중증 및 사망은 50%가 감소하는 등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고, 오미크론 하위변이체인 BA.4, BA.5에 대해서도 효과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가장 흔한 부작용은 주사부위 반응(2%)으로 대부분 경증(73%) 또는 중증도(24%)였으며, 특별한 안전성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2> 투약 대상 및 현황 등


□ 이부실드 투약대상자는 면역억제치료를 받고 있는 ①혈액암 환자 ②장기이식 환자 ③선천성(일차) 면역결핍증 환자이다.


 ○ 지난 7월 18일부터 예약을 실시한 이래 현재까지 1,723명이 예약되었고, 투약은 8월 8일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604명에게 투약이 이루어졌다.


 ○ 현재 전국 이부실드 투약 가능 의료기관은 215개소이며, 예약 및 투약을 실시한 의료기관은 44개소이다.


이부실드 투약 및 예약 현황

(단위 : )

구 분

예약

투약

신규

누적

신규

누적

53

1,723

20

604

80~

4

134

1

32

70-79

10

392

4

132

60-69

17

512

3

186

50-59

7

348

5

131

40-49

11

182

2

53

30-39

2

67

3

30

20-29

1

36

-

13

12-19

1

52

2

27




 ○ 투약을 위해서는 의료진이 투약지침에 따라 투약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후, 코로나19 예방접종관리시스템을 통해 대상자 등록 및 예약절차를 진행하여야 하며, 투약지침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ncv.kdca.go.kr)>코로나19예방접종>알림·서식>지침




□ 추진단은 “중증면역저하자 보호에 효과적인 이부실드 투약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 이부실드 투약 대상에 부합하여 투약을 원하는 환자들은 담당 의사와 투약에 관해 상담하기를 권하며, 의료인들은 이부실드 투약 대상자가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대상자 등록 및 예약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이부실드 투약대상자 기준(2022.8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