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13.8% 감소(8.30.화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8-30
  • 최종수정일2022-08-31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11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13.8% 감소

- 고위험군 4차 접종 및 일상방역 준수 당부 -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09,936명(전주 대비 13.8%↓)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597명, 사망자 519명

 ○ 주간 위험도 전국 및 수도권 ‘중간’, 비수도권 ‘높음’

 ○ 주간(8.7~13)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7.64%로 전주(6.65%) 대비 증가

 ○ 주간(8.15~21) 국외 신규 발생은 536만명(WHO), 최근 2주 감소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 주 수준인 40%대 유지

 ○ 8월3주(8.14~19) 유행 정점 구간 통과추정,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

 ○ 8월말~9월초 위중증 환자 최대 580~850명, 일 사망자 60~70명대 발생 예상


□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75 PCR분석법 시범도입

 ○ 도입시, 기존 3~5일이 소요되던 BA.2.75의 확인이 3-4시간 이내 단축 가능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8월4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13.8% 감소하여 일평균 약11만 명 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8월1주) 68.1만 명 →(8월2주) 85.2만 명 →(8월3주) 89.3만 명 →(8월4주) 76.9만 명



 ○ 8월 4주(8.21.~8.27.) 주간 확진자 수는 769,552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09,936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98로 6월 5주 이후 9주 만에 1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71

(7.3.~7.9.)

72

(7.10.~7.16.)

73

(7.17.~7.23.)

74

(7.24.~7.30.)

81

(7.31.~8.6.)

82

(8.7.~8.13.)

83

(8.14.~8.20.)

84

(8.21.~8.27.)

확진자수()

111,810

229,944

424,740

556,281

681,131

852,659

893,093

769,552

일 평균 확진자()

15,973

32,849

60,677

79,469

97,304

121,808

127,585

109,936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30.9

63.6

117.5

153.9

188.4

235.9

247.1

212.9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9

2.1

1.8

1.3

1.2

1.3

1.0

0.9

감염재생산지수(Rt)

1.40

1.58

1.54

1.29

1.14

1.18

1.06

0.98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발생률은 10-19세(276.4명), 0-9세(264.6명), 20-29세(226.8명)의 학령기·영유아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감소하였으나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 : (8월1주) 137,390명 →  (8월2주) 184,761명 →  (8월3주) 202,565명→  (8월4주) 182,192명

   ** 60세 이상 비율 : (8월1주) 20.2% → (8월2주) 21.7% → (8월3주) 22.7% → (8월4주) 23.7%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82

83

84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852,659

(100.0)

235.9

893,093

(100.0)

247.1

769,552

(100.0)

212.9

22,898,523

(100.0)

44,344

성별

남성

392,933

(46.1)

218.0

410,672

(46.0)

227.9

355,594

(46.2)

197.3

10,726,239

(46.8)

41,661

여성

459,726

(53.9)

253.6

482,421

(54.0)

266.2

413,958

(53.8)

228.4

12,172,284

(53.2)

47,012

연령별

0-9

68,067

(8.0)

258.6

76,998

(8.6)

292.5

69,647

(9.1)

264.6

2,584,051

(11.3)

68,718

10-19

83,159

(9.8)

252.3

92,162

(10.3)

279.6

91,101

(11.8)

276.4

2,932,494

(12.8)

62,270

20-29

139,226

(16.3)

298.8

134,563

(15.1)

288.8

105,658

(13.7)

226.8

3,423,734

(15.0)

51,439

30-39

125,138

(14.7)

265.9

128,219

(14.4)

272.4

104,776

(13.6)

222.6

3,366,523

(14.7)

50,071

40-49

126,568

(14.8)

221.4

130,700

(14.6)

228.6

109,558

(14.2)

191.6

3,507,395

(15.3)

42,947

50-59

125,740

(14.7)

208.0

127,886

(14.3)

211.6

106,620

(13.9)

176.4

2,896,403

(12.6)

33,542

60-69

101,091

(11.9)

201.6

109,134

(12.2)

217.6

96,177

(12.5)

191.8

2,361,810

(10.3)

32,964

70-79

54,372

(6.4)

209.1

60,213

(6.7)

231.5

54,750

(7.1)

210.5

1,147,427

(5.0)

30,886

80세이상

29,298

(3.4)

198.6

33,218

(3.7)

225.1

31,265

(4.1)

211.9

678,686

(3.0)

32,196




□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8월 4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597명으로 전주 대비 28.9%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519명으로 전주 대비 25.4%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8월 2주) 450명 →  (8월 3주) 463명 →  (8월 4주) 597명

  ** 주간 사망자 수 : (8월 2주) 330명 → (8월 3주) 414명 → (8월 4주) 519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 ’22년 8월 27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51.3명(치명률 0.12%)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740.0명(치명률 2.31%)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64.0명(치명률 0.53%), 60대는 43.4명(치명률 0.13%)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8월 4주 사망자의 93.9%(487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63.6%(330명), 70대가 19.5%(101명), 60대가 10.8%(56명)이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26.1%(127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8월 3주(8.14~20)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7.64%로 전주(6.65%) 대비 증가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 (7월3주) 6.59%, (7월4주) 5.43%, (8월1주) 6.11%,  (8월2주) 6.65%


 ○ (누적발생) ’22.8.21.0시 기준, 확진자 21,797,986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300,037명, 발생률* 1.38% 확인되었다.


   * (7월3주)113,766명(0.600%), (7월4주)142,732명(0.790%), (8월1주)183,617명(0.910%), (8월2주) 207,449명(1.13%)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재감염 추정 비율



 ○ 예방접종 효과 분석결과,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 7월 3주 한주동안 분석대상 중 ‘미접종군’. ‘2~4차접종 완료군’에 해당되는 대상자를 확진 이후 28일 모니터링한 결과 코로나19로 사망한 비율임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1%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0.3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2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1%,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9.0%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 국외 발생은 ’22년 33주차(8.15.∼8.21.)에 신규발생 536만명(WHO기준)으로 발생이 최근 2주 감소하였다.


   * 전 세계 : (33주) 확진 5,366,509명(-8.2%), 사망 14,460명(-13.9%)


 ○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이 증가하던 미국, 영국, 독일에서도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발생 및 사망이 최근 정점에서 정체하는 양상이다. 


   * (미국) 최근 3주 발생이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 사망자 수는 유지


  ** (영국) 최근 6주 발생이 연속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4주 연속 감소


  *** (독일) 최근  5주 발생이 연속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4주 연속 감소


**** (일본)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큰 폭으로 증가하던 발생과 사망이 최근 정점에서 정체 양상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 주 수준(40%대)를 유지하였으나 비수도권은 전 주 대비 소폭 상승,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전 주와 유사한 수준이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8.3주 → 8.4주): (전국) 44.7% → 42.8%, (수도권) 44.7% → 40.9%, (비수도권) 44.6% → 46.7%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8.3주 → 8.4주): (전국) 59.4% → 56.1%, (수도권) 65.9% → 61.4%, (비수도권) 46.6% → 46.1%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모델링 전문가들은 최근 유행 상황을 반영하여 향후 코로나19 유행 예측 결과를 제시하였다.(8.24~25. 기준)


 ○ 대부분의 연구진이 8월3주(8.14-8.19)를 정점 구간이 지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당분간 유행은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위중증 환자는 8월 말에서 9월 초 최대 580~850명 재원, 일 사망자는 향후 한달 간 평균 60~70명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유행 예측은 향후 변이 검출률 변화, 방역 정책 조정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변동 가능


□ 8월 4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주간 확진자 수 발생 규모는 전주 대비 감소하였지만 위중증·사망자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특히, 비수도권의 중환자실 의료역량대비 60세 이상 발생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의료대응역량 부담을 우려하여 전국, 수도권에 대해 ‘중간’, 비수도권 ‘높음’으로 평가하였다.




<8월 4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5

6

7

8

2

(5.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3

(8.14.~)

4

(8.21~)

전국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 첨부파일 참고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8.27.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8월4주 100.0%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5*는 95.5%(+1.7%), BA.2.3은 0.6%(-0.1%), BA.2는 0.5%(+0.0%)로 확인되었다. 

   * (8월3주→8월4주) BA.5 국내감염 95.3% → 97.6%, BA.5 해외유입 90.9% → 90.9%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8.27.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형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BA.4

BA.5

전체

81

100.0

2.3

4.2

1.5

2.6

76.3

82

100.0

1.5

1.6

0.7

1.0

87.9

83

100.0

0.5

0.7

0.3

1.1

93.8

84

100.0

0.5

0.6

0.1

0.9

95.5

국내감염

81

100.0

3.0

6.0

1.6

1.6

75.2

82

100.0

1.3

2.1

0.7

0.6

91.5

83

100.0

0.4

0.7

0.3

0.7

95.3

84

100.0

0.3

0.8

0.2

0.3

97.6

해외유입

81

100.0

1.3

1.5

1.4

5.0

78.7

82

100.0

1.7

0.7

0.7

1.8

80.4

83

100.0

0.6

0.6

0.3

1.9

90.9

84

100.0

0.9

0.2

0.0

2.4

90.9


  * 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 산출된 통계자료임(BA.4는 BA.4의 모든 세부계통, BA.5는 BA.5의 모든 세부계통을 포함)


  - 오미크론 BA.2.75은 26건(국내 5, 해외유입 21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75 102건(국내 21, 해외유입 81)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재유행 대응 방역 대책과 관련하여 ‘고위험군 환자의 중증예방’을 위한 ‘ 먹는치료제 처방현황 조사’와 함께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먹는치료제 적극 투약을 지속 독려중이라고 밝혔다.  


 ○ 8월 4주차(8.21~8.27) 시도별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23.6%로 지난 주 대비 2.8%p 증가가 확인되었다. 처방률이 높은 지역은  전남(27.8%), 인천(27.6%), 강원(26.4%), 대전(26.3%), 부산(26.0%)이며,  시도별 처방률은 지난 5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그림> 시도별 먹는치료제 월별 처방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고위험군의 먹는치료제 처방률 제고를 위한 시스템 기반 먹는치료제 처방현황의 주기적 점검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요양병원·시설 등 고위험 취약시설에서는 중증 완화를 위해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처방을 고려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와 함께, 지자체는 추석 연휴 기간 치료제 처방에 불편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 달라고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확진자는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으나, 위중증·사망은 이전 확진자 누적의 영향으로 당분간 지속될 예정으로 60세 이상 연령층 등 고위험군에 대해 4차접종 완료 및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한 진료를 받고 및 일상방역 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최근 1주간 사망자 및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의 비율이 대다수인 바, 고령층의 건강 보호를 위한 예방접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호흡기환자진료센터(원스톱진료기관) 등을 통해 대면* 또는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이용, 치료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중 진단·검사 및 진료, 치료제 처방이 한 곳에서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 10,019개소 운영 중(8.29)으로, 네이버·다음 포털사이트에서 ‘원스톱 진료기관’으로 검색 가능

    ** 야간·휴일 응급상황에 대비해 24시간 전화상담이 가능한 의료상담센터 176개소 운영 중(8.29)


  - 의료기관에서도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 확진자에 대해서는 확진 초기에 먹는 치료제의 신속한 처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감염에 따른 중증·사망 위험이 큰 만큼 일상 속에서 방역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하고 가능한 외부접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고위험군은 불요불급한 외출·모임 등을 최소화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도 3밀(밀폐·밀집·밀접) 시설 방문, 실내 취식 및 신체 접촉은 자제할 것을 권고한다.


  - 고위험군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의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집 안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고위험군과의 대화와 식사를 최소화할 것을 권고한다.






 2.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75 PCR분석법 시범도입



□ 질병관리청은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75의 국내 검출이 지속됨에 따라 지역 내 발생감시 강화를 위해 지자체(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BA.2.75 변이검사가 가능도록 PCR 분석법을 시범도입(9.1~, 2주간)한다고 밝혔다.


 ○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75는 국내에서 첫 확인(7.14) 이후 총 102건이 확인(8.30기준)되었으며, 현재까지 검출건수는 적지만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는 변이이다.


     ※ 전 세계적으로는 인도, 미국, 호주 등 42개국에서 4,105건 확인(WHO, 8.29)



 ○ 이에 BA.2.75의 국내유입과 발생감시 강화를 위해 질병관리청은 BA.2.75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변이PCR시약을 대상으로 유효성 검토를 실시하고, 민간전문가자문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9월 1일부터 전국 지자체에 시범 도입할 예정이며, 


   - 본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적용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확정 검사로의 전환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 지자체에서 BA.2.75변이의 감염여부를 선별적으로 추정 후 유전체분석을 통해 확정(질병관리청)하는 방식



 ○ BA.2.75변이에 대한 PCR분석법 시범운영 후 확정 검사로 도입 시 기존 유전체분석으로 3~5일이 소요되던 BA.2.75의 확인이 3-4시간 이내로 단축되어, BA.2.75 변이발생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향후 전망 (8.23~24.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7.24. 0시 기준)

        6.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8.7.0시 기준)

        7. 주요 집단발생 현황

        8.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8.27 기준)

        9.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75)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10. 코로나19 먹는치료제 시도별 처방현황(8.21~8.27)

        11.「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