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9.1.목.조간] 심장정지 환자, 한 명이라도 더 살리겠습니다
  • 작성일2022-08-31
  • 최종수정일2022-08-30
  • 담당부서손상예방관리과
  • 연락처043-719-7416

심장정지 환자, 한 명이라도 더 살리겠습니다



- 주요 내용 -

□ 질병관리청과 소방청 공동으로, 제5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하여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향상을 위한 구급품질 개선 전략 논의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과 소방청(청장 이흥교)은 9월 1일(목) 오전 9시부터 대구EXCO에서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제고를 위한 「제5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매년 119구급대가 3만여 명의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 급성심장정지는 사망위험이 높지만, 신속한 신고 및 심폐소생술 시행, 고품질의 구급활동 등 적절한 조치로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



 ○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병원 전 단계에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굴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기로 협의하고 2021년 5월부터 정기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다.


  - 소방청은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초기 처치를 전담하고 있으며 신고부터 이송까지의 단계별 구급활동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급품질 관리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은 소방청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이송병원을 방문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고 급성심장정지 예방관리 대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그림> 소방청·질병관리청 간 급성심장정지 조사감시 및 구급품질 개선을 위한 협력체계



 ○ 이번 워크숍에서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 및 구급대원의 인식개선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 또한, 급성심장정지 생존자를 초청하여 환자 처지에서의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도 마련할 계획이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은 관련 조사가 시행된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왔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는 이전 연도에 비해 오히려 감소(2019년 8.7%, 2020년 7.5%)했음을 언급하면서, 



 ○ “이번 워크숍을 통해서 고령인구 증가, 감염병 유행 등의 위험요소를 극복하고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이 논의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이흥교 소방청장은 “코로나19로 무너진 심장정지 생존고리를 다시 연결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119구급대원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소방청의 119구급대 역량 강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앞으로도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생존율 향상 및 자료수집 역량을 강화하는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붙임>  1. 제5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 안내

    2. 2020년 급성심장정지조사 주요 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