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22.2% 감소 (9.6.화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9-06
  • 최종수정일2022-09-0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11

* 수정 : 6페이지,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9.3. 기준) > 표 수정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22.2% 감소


- 안전하고 편안한 명절을 보내기 위한 일상방역 수칙 준수 당부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85,540명(전주 대비 22.2%↓)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21.8% ↓) 및 사망자(0.8% ↓)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및 수도권 ‘중간’, 비수도권 ‘높음’

 ○ 주간(8.21~27)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9.66%로 전주(7.64%) 대비 증가


□ 원숭이두창 대응 현황

 ○ 국내 2번째 확진자 상태 양호

 ○ 접촉자 15명에 대해서는 보건교육 완료 및 능동감시 통한 관리 중

 ○ 현 방역체계로 대응 가능한 질병인 만큼, 국민과 의료인의 적극 협조 당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8월5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22.2% 감소하여 일평균 약 8.5만 명 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주간 누적: (8월2주) 85.2만 명 →(8월3주) 89.3만 명 →(8월4주) 76.9만 명 →(8월5주) 59.8만 명

   ** 일 평균: (8월2주) 121,805명 →(8월3주) 127,578명 →(8월4주) 109,922명 →(8월5주) 85,540명


 ○ 8월 5주(8.28.~9.3.) 주간 확진자 수는 598,783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85,540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83으로 2주 연속 1 이하로 유지하였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72

(7.10.~7.16.)

73

(7.17.~7.23.)

74

(7.24.~7.30.)

81

(7.31.~8.6.)

82

(8.7.~8.13.)

83

(8.14.~8.20.)

84

(8.21.~8.27.)

85

(8.28.~9.3.)

확진자수()

229,943

424,736

556,255

681,119

852,637

893,046

769,457

598,783

일 평균 확진자()

32,849

60,677

79,465

97,303

121,805

127,578

109,922

85,540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63.6

117.5

153.9

188.4

235.9

247.1

212.9

165.7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2.1

1.8

1.3

1.2

1.3

1.0

0.9

0.8

감염재생산지수(Rt)

1.58

1.54

1.29

1.14

1.18

1.06

0.98

0.83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발생률은 10-19세(230.9명), 0-9세(210.3명), 30-39세(168.8명)의 학령기·영유아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감염취약시설의 집단감염 발생과 확진자 발생규모도 점차 감소중으로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도 감소하였으나 비중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감염취약시설 집단 발생 현황 : (8월1주) 290건→(8월2주) 232건→(8월3주) 180건→(8월4주)81건

    **60세 이상 확진자수 : (8월2주) 184,759명 →  (8월3주) 202,553명 →  (8월4주) 182,172명 →  (8월5주) 143,423명

     ***60세 이상 비율 : (8월2주) 21.7% → (8월3주) 22.7% → (8월4주) 23.7% → (8월5주) 24.0%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83

84

85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893,046

(100.0)

247.1

769,457

(100.0)

212.9

598,783

(100.0)

165.7

23,497,048

(100.0)

45,503

성별

남성

410,655

(46.0)

227.9

355,558

(46.2)

197.3

276,068

(46.1)

153.2

11,002,204

(46.8)

42,733

여성

482,391

(54.0)

266.2

413,899

(53.8)

228.4

322,715

(53.9)

178.1

12,494,844

(53.2)

48,257

연령별

0-9

76,996

(8.6)

292.5

69,637

(9.1)

264.6

55,352

(9.2)

210.3

2,639,387

(11.2)

70,190

10-19

92,158

(10.3)

279.6

91,091

(11.8)

276.3

76,122

(12.7)

230.9

3,008,595

(12.8)

63,886

20-29

134,551

(15.1)

288.8

105,643

(13.7)

226.7

75,359

(12.6)

161.7

3,499,033

(14.9)

52,570

30-39

128,215

(14.4)

272.4

104,763

(13.6)

222.6

79,457

(13.3)

168.8

3,445,943

(14.7)

51,253

40-49

130,690

(14.6)

228.6

109,545

(14.2)

191.6

86,758

(14.5)

151.8

3,594,117

(15.3)

44,009

50-59

127,883

(14.3)

211.6

106,606

(13.9)

176.4

82,312

(13.7)

136.2

2,978,688

(12.7)

34,495

60-69

109,128

(12.2)

217.6

96,172

(12.5)

191.8

75,020

(12.5)

149.6

2,436,807

(10.4)

34,011

70-79

60,210

(6.7)

231.5

54,741

(7.1)

210.5

43,649

(7.3)

167.8

1,191,062

(5.1)

32,060

80세이상

33,215

(3.7)

225.1

31,259

(4.1)

211.8

24,754

(4.1)

167.8

703,416

(3.0)

33,369




□  확진자가 감소하면서 8월 5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수는 467명으로 전주 대비 21.8%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515명으로 전주 대비 0.8% 감소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8월 3주) 463명 → (8월 4주) 597명 → (8월 5주) 467명

  ** 주간 사망자 수: (8월 2주) 330명 → (8월 3주) 414명 → (8월 4주) 519명 → (8월 5주) 515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 ’22년 9월 3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52.3명(치명률 0.12%)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754.5명(치명률 2.2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67.5명(치명률 0.53%), 60대는 44.1명(치명률 0.13%)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8월 5주 사망자의 93.7%(483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59.2%(305명), 70대가 25.0%(129명), 60대가 9.5%(49명)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34.6%(167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8월 4주(8.21~27)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9.66%로 전주(7.64%) 대비 증가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 (8월1주) 6.11%,  (8월2주) 6.65%, (8월3주) 7.64%, (8월4주) 9.66%


 ㅇ (누적발생) ’22.8.28.0시 기준, 확진자 22,473,741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364,548명, 발생률* 1.62% 확인되었다.

   * (8월1주)183,617명(0.910%), (8월2주) 207,449명(1.13%), (8월3주) 300,037명(1.38%), (8월4주) 364,548명(1.62%)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재감염 추정 비율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0%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0.1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2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0%,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8.8%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9.3.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8월5주 100.0%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5*는 96.0%(+0.5%), BA.2.3은 0.3%(-0.3%), BA.2는 0.2%(-0.3%)로 확인되었다. 

   * (8월4주→8월5주) BA.5 국내감염 97.6% → 98.1%, BA.5 해외유입 90.9% → 90.4%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9.3.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형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BA.4

BA.5

전체

82

100.0

1.5

1.6

0.7

1.0

87.9

83

100.0

0.5

0.7

0.3

1.1

93.8

84

100.0

0.5

0.6

0.1

0.9

95.5

85

100.0

0.2

0.3

0.2

0.8

96.0

국내감염

82

100.0

1.3

2.1

0.7

0.6

91.5

83

100.0

0.4

0.7

0.3

0.7

95.3

84

100.0

0.3

0.8

0.2

0.3

97.6

85

100.0

0.2

0.3

0.1

0.2

98.1

해외유입

82

100.0

1.7

0.7

0.7

1.8

80.4

83

100.0

0.6

0.6

0.3

1.9

90.9

84

100.0

0.9

0.2

0.0

2.4

90.9

85

100.0

0.5

0.2

0.7

2.3

90.4


 * 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 산출된 통계자료임(BA.4는 BA.4의 모든 세부계통, BA.5는 BA.5의 모든 세부계통을 포함)


  - 오미크론 BA.2.75은 34건(국내 5, 해외유입 29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75 136건(국내 26, 해외유입 110)




□ 8월 5주차(8.28~9.3) 시도별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25.3%로 지난 주 대비1.7%p 증가가 확인되었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월별 처방률




 ○ 아울러,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요양시설의 처방률을 더 높일 필요가 있음을 당부하며, 앞으로도 고위험군의 먹는치료제 처방률 제고를 위한 주기적인 점검과 함께 의료인 대상 먹는 치료제 처방 정보 제공, 교육· 홍보 등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국외 발생은 ’22년 34주차(8.22.∼8.28.)에 신규발생 463만명(WHO기준)으로 발생이 최근 3주 감소하였다.

   * 전 세계 : (34주) 확진 4,637,989명(-15.1%), 사망 13,637명(-13.0%)


 ○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이 증가하던 미국, 영국, 독일, 일본에서도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사망자 수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 (미국) 최근 4주 발생이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

  ** (영국) 최근 7주 발생이 연속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5주 연속 감소

  *** (독일) 최근  6주 발생이 연속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5주 연속 감소

**** (일본) 큰 폭으로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1주 소폭 감소, 주간 사망자 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36.7%로 감소하였으며, 준-중환자 병상가동률도 46.6%로 3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8.4주 → 8.5주): (전국) 42.8% → 36.7%, (수도권) 40.9% → 35.6%, (비수도권) 46.7% → 39.1%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8.4주 → 8.5주): (전국) 56.1% → 46.6%, (수도권) 61.4% → 52.2%, (비수도권) 46.1% → 35.9%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8월 5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중간’, 비수도권 ‘높음’으로 평가하였다.


 ○ 의료대응·위중증·사망·확진자 등 주요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 정점 구간으로 추후 변동 가능성이 있어 전 주와 동일한 위험도를 유지하였다.



<8월 5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5

6

7

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3

(8.14.~)

4

(8.21~)

5

(8.28~)

전국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첨부파일 참고)





□ 정부는 추석 연휴를 맞이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명절을 보내기 위한 일상방역 수칙 준수를 생활화하면서, 고향·친지 방문 전후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코로나 진단 검사 및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거리두기 없는 첫 명절로서 일상생활은 영위하되, 고연령층·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포함하는 만남이나 친족모임의 규모나 시간은 최소화하고,


 ○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마스크 착용을 철저히 하고 음식섭취를 최소화하되, 섭취 중 대화는 자제하여주실 것을 요청드린다.


 ○ 특히 연휴 전후로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진료받고 방문을 자제·연기하는 등 스스로 조심해주시기를 당부드린다.




□ 정부는 추석 연휴를 맞이하여 고향·친지 방문 등으로 이동량 및 밀집도가 증가 등 재확산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방역관리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 원숭이두창 대응현황



□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3일 확인된 국내 2번째 원숭이두창 확진자는 현재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하여 관리 중으로 상태는 양호하다고 밝혔다.



□ 또한 접촉자 파악을 위해 서울시 등 지자체와 함께 실시한 심층 역학조사 결과에서 현재까지 총 15명의 접촉자를 확인하였고, 이들 명단을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였다.


 ○ 저위험으로 분류된 13명에 대해 보건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중위험으로 분류된 2명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 보건소에서 최대 잠복기인 21일까지 능동감시를 통해 집중 관리 중이며, 현재까지 증상 호소자는 없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원숭이두창이 주로 유증상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지역사회 내 전파 가능성이 낮고, 현 방역대응 역량으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질환임을 강조하면서, 국민과 의료진이 방역 대책에 긴밀히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국민들은 원숭이두창 발생국가를 방문 또는 여행시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 준수, 유증상자와 직접적인 접촉(숙식을 함께하는 동거, 피부·성 접촉 등)을 자제하고,


   -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성실히 작성하는 등 검역에 협조하며, 귀국 후 21일 이내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등의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연락하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할 것을 강조하였다.


 ○ 의료진은 원숭이두창 의심환자 진료 시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의심증상 환자 내원시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에 연계된 해외여행력정보제공시스템(ITS)을 통해 여행력을 확인할 것과, 의심 시 적극적으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4.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8.28. 0시 기준)

        5.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8.28.0시 기준)

        6. 주요 집단발생 현황

        7.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9.3 기준)

        8.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75)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9. 원숭이두창 접촉자 위험도별 관리 원칙

        10. 코로나19 먹는치료제 시도별 처방현황

        11. 코로나19 먹는치료제 교육 영상(의료진용)

        12.「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