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20.1% 감소 (9.20.화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9-20
  • 최종수정일2022-09-21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2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20.1% 감소


-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접종과 손씻기 등 생활 방역수칙 준수 당부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54,736명(전주 대비 20.1%↓)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23.4%↓) 및 사망자(14.9%↓)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중간’, 수도권 및 비수도권 ‘중간’

 ○ 주간(9.4~9.10)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10.18%로 전주(9.72%) 대비 증가


□ 국내 오미크론 변이(BA.2.75) 바이러스의 역학적 특성

 ○ BA.2.75 변이바이러스는 62일(7.13~9.13) 동안 152명(9.10일 검출률 1.3%) 확인, BA.5 변이(46일(5.15~6.30) 동안 396명, 7.2일 검출률 29.2%) 대비 느린 점유 속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9월2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20.1% 감소하여 일평균 약 5.4만 명 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주간 누적: (8월4주) 76.9만 명 →(8월5주) 59.8만 명 →(9월1주) 47.9만 명→(9월2주) 38.3만 명

  ** 일 평균: (8월4주) 109,919명 →(8월5주) 85,528명 →(9월1주) 68,528명→(9월2주) 54,736명


 ○ 9월 2주(9.11.~9.17.) 주간 확진자 수는 383,154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54,736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82로 4주 연속 1 이하를 유지하였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74

(7.24.~7.30.)

81

(7.31.~8.6.)

82

(8.7.~8.13.)

83

(8.14.~8.20.)

84

(8.21.~8.27.)

85

(8.28.~9.3.)

91

(9.4.~9.10.)

92

(9.11.~9.17.)

확진자수()

556,219

681,100

852,632

893,039

769,436

598,699

479,699

383,154

일 평균 확진자()

79,460

97,300

121,805

127,577

109,919

85,528

68,528

54,736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53.9

188.4

235.9

247.1

212.9

165.6

132.7

106.0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3

1.2

1.3

1.0

0.9

0.8

0.8

0.8

감염재생산지수(Rt)

1.29

1.14

1.18

1.06

0.98

0.83

0.87

0.82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며, 


  - 발생률은 10-19세(143.9명), 0-9세(119.6명), 30-39세(112.8명)의 학령기·영유아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감염취약시설의 집단감염 발생과 확진자 발생규모도 점차 감소중으로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발생 비중 모두 감소하였다.

    * 감염취약시설 집단 발생 현황 : (8월3주) 227건→(8월4주)128건→(8월5주)90건→(9월1주)60건

   ** 60세 이상 확진자수 : (8월4주) 182,169명 →  (8월5주) 143,393명 →  (9월1주) 119,476명→  (9월2주) 89,722명

   *** 60세 이상 비율 : (8월4주) 23.7% → (8월5주) 24.0% → (9월1주) 24.9%→ (9월2주) 23.4%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85

91

92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598,699

(100.0)

165.6

479,699

(100.0)

132.7

383,154

(100.0)

106.0

24,359,702

(100.0)

47,173

성별

남성

276,024

(46.1)

153.2

218,827

(45.6)

121.4

176,140

(46.0)

97.7

11,397,064

(46.8)

44,266

여성

322,675

(53.9)

178.0

260,872

(54.4)

143.9

207,014

(54.0)

114.2

12,962,638

(53.2)

50,064

연령별

0-9

55,348

(9.2)

210.3

43,361

(9.0)

164.7

31,491

(8.2)

119.6

2,714,226

(11.1)

72,180

10-19

76,115

(12.7)

230.9

62,000

(12.9)

188.1

47,449

(12.4)

143.9

3,118,034

(12.8)

66,210

20-29

75,345

(12.6)

161.7

56,893

(11.9)

122.1

51,479

(13.4)

110.5

3,607,368

(14.8)

54,198

30-39

79,447

(13.3)

168.8

62,085

(12.9)

131.9

53,078

(13.9)

112.8

3,561,077

(14.6)

52,965

40-49

86,745

(14.5)

151.7

70,259

(14.6)

122.9

58,183

(15.2)

101.8

3,722,530

(15.3)

45,581

50-59

82,306

(13.7)

136.2

65,625

(13.7)

108.6

51,752

(13.5)

85.6

3,096,048

(12.7)

35,854

60-69

75,008

(12.5)

149.6

62,027

(12.9)

123.7

45,828

(12.0)

91.4

2,544,638

(10.4)

35,516

70-79

43,645

(7.3)

167.8

36,417

(7.6)

140.0

27,512

(7.2)

105.8

1,254,974

(5.2)

33,781

80세이상

24,740

(4.1)

167.7

21,032

(4.4)

142.5

16,382

(4.3)

111.0

740,807

(3.0)

35,143




□  9월 2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수는 369명으로 전주 대비 23.4% 감소하였으며, 사망자는 353명으로 전주 대비 14.9% 감소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8월 5주) 466명 → (9월 1주) 482명 → (9월 2주) 369명

  ** 주간 사망자 수 : (8월 4주) 519명 → (8월 5주) 515명 → (9월 1주) 415명 → (9월 2주) 353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 ’22년 9월 17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53.8명(치명률 0.11%)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776.5명(치명률 2.22%)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72.3명(치명률 0.51%), 60대는 45.0명(치명률 0.13%)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9월 2주 사망자의 92.1%(325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59.8%(211명), 70대가 24.1%(85명), 60대가 8.2%(29명)이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30.8%(100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9월 1주(9.4~9.10)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10.18%로 전주(9.72%) 대비 증가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 (8월3주) 7.64%, (8월4주) 9.65%, (8월5주) 9.72%, (9월1주) 10.18%




 ○ (누적발생) ’22.9.11.0시 기준, 확진자 23,399,115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456,951명, 누적구성비 1.95% 확인되었다.


   * (8월3주) 300,037명(1.38%), (8월4주) 364,548명(1.62%),(8월5주) 393,982명(1.81%), (9월1주) 40,070명(1.95%)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재감염 추정 비율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0%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0.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2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0%,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8.6%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5*는 97.5%(+0.4%), BA.2.75는 0.8%(-0.5%)으며, BA.4의 세부계통 중 하나인 BA.4.6은 0.2%(+0.1%)로 확인되었다. 

   * (9월1주→9월2주) BA.5 국내감염 99.0% → 98.6%, BA.5 해외유입 91.9% → 92.8%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9.17. 기준)>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12.1

BA.4

BA.5

BA.2.75

BA.4.6

전체

84

0.1

0.8

95.5

1.5

0.1

85

0.2

0.6

96.0

1.6

0.2

91

0.1

0.1

97.1

1.3

0.1

92

0.2

0.4

97.5

0.8

0.2

국내감염

84

0.2

0.3

97.6

0.3

0.0

85

0.1

0.2

98.1

0.2

0.0

91

0.1

0.0

99.0

0.2

0.0

92

0.3

0.2

98.6

0.7

0.3

해외유입

84

0.0

2.2

90.9

4.2

0.2

85

0.7

1.4

90.4

5.5

0.9

91

0.0

0.5

91.9

4.4

0.2

92

0.0

1.5

92.8

1.1

0.0


   * BA.4는 BA.4.6을 제외한 BA.4의 모든 세부계통, BA.5와 BA.2.75는 각각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9월 2주차(9.11~17) 시도별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27.0%로 지난주(23.4%) 대비 3.6%p 증가하였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월별 처방률





□ 국외 발생은 ’22년 36주차(9.5.∼9.11.)에 신규발생 310만명(WHO기준)으로 발생이 최근 5주 감소하였다.

   * 전 세계 : (36주) 확진 3,104,447명(-28.4%), 사망 11,118명(-20.4%)


 ○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 및 사망자 수가 증가하던 독일과 일본에서도 발생 및 사망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

   * (독일) 증가하던 발생의 감소세는 유지, 사망자 수도 최근 7주 연속 감소

  ** (일본)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3주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1주 감소




□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지속 감소하여 20%대를 기록하였으며, 준-중환자 병상가동률도 38.0%로 지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9.1주 → 9.2주): (전국) 31.5% → 27.8%, (수도권) 29.7% → 28.3%, (비수도권) 35.3% → 27.0%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9.1주 → 9.2주): (전국) 41.8% → 38.0%, (수도권) 48.0% → 42.0%, (비수도권) 30.2% → 30.3%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9월 2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


 ○ 확진자 등 발생 및 의료대응 관련 지표 대다수 지속 개선 중인 상황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간 일평균 발생률도 유사한 수치로 지속 감소하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9월 2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6

7

8

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3

(8.14.~)

4

(8.21~)

5

(8.28~)

1

(9.4~)

2

(9.11~)

전국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의 유행 안정세를 이어가는 한편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대비하여,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접종과 손씻기 등 생활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학령기층이 타연령 대비 높은 발생률 지속 중으로 학교 및 학생 주요이용시설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감염 확산 위험이 상존하는 점을 고려하여, 


  - 고위험군 소아청소년 본인 및 가족 내 고위험군등의 경우 접종을 완료하여 주시기를 권고하였다.


  - 12-17세 청소년 중 고위험군에게는 3차접종을, 5-11세 소아 중 고위험군에게는 기초접종(1·2차접종)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고위험군 소아청소년 범위]


만성폐질환, 만성심장질환, 만성간질환, 만성신질환, 신경-근육질환

당뇨, 비만,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소아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고위험군 5-17세 소아청소년으로서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권고



 ○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화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어린이(생후 6개월~만13세), 임신부, 어르신(만65세 이상)의 경우 본격적인 유행 전에 예방접종을 실시할 것을 권고한다.



 ○ 아울러 마스크 착용,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과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줄 것을 강조하였다.






 2. 국내 코로나19 BA.2.75 변이바이러스 역학적 특성



□ 현재까지 확인된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75) 바이러스 152명(‘22.9.13. 기준)에 대한 일반적 특성 및 전파력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BA.2.75 변이 실험실적 확정 사례는 62일(7.13~9.13) 동안 152명(9.10일 검출률 1.3%) 확인되었으며, BA.5 변이와 비교*했을 때 BA.5에 비해 점유 속도가 느렸다. 


     * BA.5 변이 : 46일(5.15~6.30) 동안 396명 확인(7.2일 검출률 29.2%)



  ○ BA.2.75 변이 확진자는 남성(65.5%), 20~30대의 젊은 연령층(45.1%), 비수도권(51.3%)에서 높게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해외유입사례(82.3%)로


   - 전원 재택치료 후 회복되었으며, 위중증 및 사망 사례는 없었다.(’22.9.17일 기준)



  ○ 확정사례 중 추적관리 기간이 종료된 동거인을 대상으로 2차 발병률 분석 결과 38가구 중 12가구(31.6%)에서 추가 전파가 확인되었고,


   - 동거인 2차 발병률은 24.3%(74명 중 18명)이었다. 이는 BA.5 변이와 비교*할 때 2차 발병률은 낮았고, 이외 지역사회 추가전파는 확인되지 않았다.

     * BA.5 변이 2차 발병률 : 27.8%(288명 중 80명) 



  ○ 본 분석은 평가 대상이 적다는 제한점은 일부 있지만, 결과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BA.5 변이에 비해 전파력과 중증도에서 더 높은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4.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9.11. 0시 기준)

        5.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9.11.0시 기준)

        6. 주요 집단발생 현황

        7.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9.17 기준)

        8. 코로나19 BA.2.75 변이 바이러스 역학적 특성 및 동거인 2차 발병률

        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