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10.28.금.조간] 흡연폐해 국내 현황 및 연구자료, 한 권으로 본다!
  • 작성일2022-10-27
  • 최종수정일2022-10-26
  • 담당부서건강위해대응과
  • 연락처043-219-2920


흡연폐해 국내 현황 및 연구자료, 한 권으로 본다!

- 최근 10년 간 흡연폐해 관련 국내 연구를 집대성한, ‘담배폐해 통합보고서’발간 -




- 주요 내용 -


□ 담배규제정책의 과학적 근거지원 위한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국내 첫 발간

 ○ 지난 10년 간의 국내 흡연폐해 연구결과의 종합 및 담배규제정책의 현황, 성과와 담배종결전 등 미래전략까지 포괄


□ 흡연행태개선 및 금연유도를 위한 금연정책 근거자료로 활용

 ○ 추후 담배연구 주제 발굴 및 관련 분야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 네트워크 확대, 정보소통 강화, 보고서 발간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우리나라 담배규제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더욱 탄탄하게 지원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담배폐해 통합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이 보고서는 최근 10년 간의 흡연폐해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 및 고찰하였으며, 


  - 담배규제통합지식센터*를 주축으로, 약 40여 명의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집필 및 검증을 통해 만들어졌다.

    * 흡연폐해 조사연구 통합성과관리체계 구축사업(22.3월-12월, 서울대학교 조성일교수)




□ ‘담배폐해 통합보고서’에는 우리나라의 흡연폐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담배규제정책 현황과 주요 성과, 담배 종결전 실현을 위한 미래 전략까지 제시하고 있다. 


※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주요 내용

▲ 담배 사용률 추이 및 요인, ▲ 니코틴 중독, 치료 및 금연중재, ▲ 흡연의 건강폐해,

▲ 흡연 및 금연으로 인한 질병부담 영향, ▲ 국내 담배규제정책 현황과 성과, 

▲ 담배 종결전을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청은 이번 보고서가 최근 흡연율 감소세의 둔화*, 담배제품 다중사용증가** 등 악화되는 흡연행태의 개선 및 금연 유도를 위한 정책 개선의 근거자료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 (남성의 궐련 현재흡연율) ’98년 66.3% → ’07년 45.6%(20.7%p 감소) / ’08년 47.8% → ’17년 38.1%(9.7%p 감소) (출처 : 국민건강영양조사)

   ** (청소년) ’17-’19년 액상형전자담배 단독사용 2.4% 궐련과 병행사용 6.8%  (성인) ’18년 20-69세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의 80%이상이 다중담배사용자 



 ○ 앞으로도 급변하는 담배시장·소비자 행태변화 등에 맞춘 정책 개발을 위해 전문가 네트워크 확대 및 활발한 소통으로 참신한 주제를 발굴하고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발간해 나갈 계획이다.


<그림>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표지 및 내지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경험하면서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와 함께, 흡연과 같은 건강위해요인의 예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을 절감하였다.”며,  



 ○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흡연에 의한 건강폐해를 줄이기 위해 관련 연구 활성화 등 실효성 있는 금연정책 지원에 더욱 힘쓰겠다.”고 하였다.


  -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목소리를 상시 경청하고, 흡연예방과 금연유도에 도움이 되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홍보자료를 지속 개발·보급해 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 담배폐해 통합보고서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자료 확인 및 다운로드 가능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건강정보 → 건강위해정보 → 흡연 → 담배폐해 보고서 



<붙임>  1.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요약자료

           2. 해외 흡연 연구 사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