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다제내성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 운영 개시 (10.31.월)
  • 작성일2022-10-31
  • 최종수정일2022-11-01
  • 담당부서약제내성연구과
  • 연락처043-719-8247


「다제내성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 운영 개시

- 사람,동물,환경 등 다분야 유래 항생제 내성 연구자원 분양 - 




- 주요 내용- 


□ ’22.10.31.(월), 국립보건연구원 ‘다제내성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 운영 개시


□ 사람, 동물, 환경 등에서 분리된 고품질 항생제 내성균 11종 1,080주 분양

 ○ 다양한 정보를 보유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을 비롯한 임상분리주와 다양한 분리원에서 확보한 항생제내성균 11종

 ○ 내성 진단법 및 치료제 개발, 연구용 참조균주, 내성기전 연구, 원헬스 항생제내성 연구 등에 활용 가능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22년 10월 31일, ‘다제내성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이하 다제내성균 전문은행)운영 및 분양을 개시했다.



 ○ 다제내성균 전문은행은 질병관리청이 국가사업*으로 수집한 사람, 동물, 환경 등에서 분리한 중요 항생제내성균을 내성정보와 함께 관련 연구자들에게 공개 및 분양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사업(Kor-GLASS), One Health 항생제 내성균 다부처 공동대응사업(R&D)


   ※ 근거 : 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병원체자원법) 제9조




□ 다제내성균 전문은행은 국내 대표 항생제내성균 감시체계인 ‘Kor-GLASS’를 통해 수집한, 중요 임상분리주와 사람-동물(가축 및 반려동물)-환경-식품 등 다분야가 연계된 항생제내성균 등 25,000여 주를 수집하였고, 



 ○ 다양한 활용 분야를 고려하여, 중요도가 높은 내성균 11종* 1,080주를 분양할 계획이다.

    * Acinetobacter baumannii,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enterica, Shigella flexneri,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 분양자원 1,080주는「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새롭게 등재되었고,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등 최근 임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임상분리주**는 항생제 내성 진단 및 치료제 개발, 연구용 참조균주, 내성기전 연구 등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 「병원체자원법」 제13조에 따라 보존 가치가 있는 병원체를 심의·등재하여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분양 가능 자원 목록 

    ** 의료 관련 감염병 병원체(CRE, MRSA, VRE, MRPA, MRAB) 등



 ○ 또한 사람-동물-환경-식품 등에서 분리된 대장균, 황색포도알균, 살모넬라균 등 다분야 연계 분리주는 최근 중요성이 커진 원헬스(One Health)* 차원의 항생제 내성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

    * 원헬스(One Health) : 사람의 건강은 동물 및 환경과 하나로 연계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각 분야에게 최적의 건강을 제공하기 위해 다학제적 협력을 추진해나가는 접근법




□ 다제내성균 전문은행 등재 자원은 내성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임상정보, 내성균 표현형적/유전형적 특성)를 포함한 고품질 자원으로, 일부 자원은 전장유전체염기서열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 자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2015)에 따른 시험관리를 수행하고 있고, 연말에는 분양관리에 관한 인증이 완료될 예정이다. 




□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다제내성균 전문은행 운영개시를 통해 국내 보건의료계, 학계, 연구 및 바이오 산업계 관계자들에게 국내에서 분리된 고품질의 항생제내성균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진단 및 치료제 개발과 다양한 분야에서의 항생제내성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다제내성균 병원체자원은행 정보는 ‘One Health AMR’ 포털시스템 또는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열람 가능하며, 

   *  ‘One Health AMR’ 포털시스템(http://www.kdca.go.kr/nohas) 또는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ccp.kdca.go.kr)  



 ○ 질병관리청 질병보건관리통합시스템*을 통해 분양신청 가능하다.

    * 질병보건관리통합시스템(http://is.kdca.go.kr)



<붙임>  병원체자원 보유현황 및 분양절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