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엠폭스 위기경보 수준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2.20.월)
  • 작성일2023-02-20
  • 최종수정일2023-02-21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팀
  • 연락처043-719-9081


 ※ 수정 사항 붉은색으로 표기



엠폭스 위기경보 수준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 국내 첫 확진자 발생 및 ‘주의’ 격상(22.6.22.) 후 244일 만,  ‘관심’상황에도 방역 대응 철저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2월 17일(금) 오후 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하고, 2월 20일(월)을 기점으로 엠폭스(원숭이두창) 위기경보수준을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위기 경보 수준 조정은 국내외 발생상황 및 국내 방역 대응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위기평가회의에서 일반 인구집단에서 엠폭스의 종합 위험도를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 앞으로 질병청 내에는 엠폭스 대책반 중심으로 대응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 및 지자체 지역방역대책반은 해제하게 된다.



(발생상황)

- (국외) ’225월부터 총 92개국 확진 84,442, 사망 82(’23.2.15. 기준, CDC)

최근 4주의 발생(‘23.1.16.~2.12, 1,126)최대정점 4(‘22.8.1.~8.28, 26,371) 대비 5% 미만 수준

- (국내) 의사환자 총 56(’22.6.21.~’23.2.17. 주평균 1.7) , 확진환자 총 4

’22.11.22마지막 확진 환자 발생 이후 91째 추가 환자 없음


(대응 역량) 엠폭스 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운영(’22.6.22.~)

- (검역) 2급 감염병 지정(6.8), 엠폭스 발생 국가(47개국) 검역 관리지역 지정(6.22~), 빈발국 상위 10개국* 발열 기준 강화(37.537.3)

* 미국, 브라질, 스페인, 프랑스, 영국, 독일, 페루, 캐나다, 콜롬비아, 멕시코

- (검사진단) 전국적 진단검사체계 운영 및 시약(4,400명분) 확보

- (백신치료제) 백신(5,000명분) 및 치료제(504명분) 도입 및 공급 완료



□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2월 9일(현지시간) 긴급위원회를 개최하여, 엠폭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비상 상태(PHEIC*) 선언을 유지한다고 2월 15일(현지시간) 밝힌 바 있다.

   * PHEIC :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 전 세계적 발생은 안정화 추세이나, 중앙아메리카 등 일부 국가에서 발생 지속, 발생 과소 보고 가능성, 유행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 및 자원 확보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유지를 결정하였다. (붙임1. 참조)




□ 질병관리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적 공중보건비상 상태(PHEIC) 유지에도, ➊국내 마지막 환자 발생(22.11.22.) 이후 91 추가 환자 발생이 없고, ➋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의 발생이 적어, 동 지역의 위험 수준을 ‘낮음’으로 평가(WHO)한 점, ➌일부 해외 유입시에도 신속한 전파 차단 위한 대응태세가 충분히 갖춰져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 위기경보 수준 하향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앞으로도 엠폭스 환자의 조기발견과 치료, 질병 차단을 위해 만전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 


 ○ “국민들은 “발생국가 방문 또는 여행 시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귀국 후 21일이내 증상 발생 시 1339로 상담해줄 것”과, 


 ○ “의료진은 “엠폭스 의심환자를 진료할 때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감시와 신고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1. 세계보건기구 엠폭스 4차 긴급위원회 회의 결과

          2. 엠폭스 해외 발생 동향(11.3. 기준)

          3. 엠폭스 예방 및 행동 수칙 안내문(국문)

          4. 엠폭스 예 ()

          5. 엠폭스 질병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