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6.28.수.행사시작(14시) 이후] 한·일 전문가 초청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강화」 토론회 개최
  • 작성일2023-06-28
  • 최종수정일2023-06-28
  • 담당부서의료대응지원과
  • 연락처043-719-7820


한·일 전문가 초청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강화」 토론회 개최


- 한국 및 일본의 코로나19 대응 사례 및 의료대응체계 상호 공유

-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강화방안 등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중앙감염병병원(국립중앙의료원장 주영수)과 공동으로 2023년 「미래신종감염병 대비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강화」 토론회를 6.28.(수) 14시부터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신종감염병 대응에 있어 국제 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코로나19가 유행했던 시기의 일본의 지역의료체계 대응사례를 공유하여, 현재 추진 중인 「권역완결형 신종감염병 의료대응체계 구축 시범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마련될 예정이다.

  * 권역 완결형 신종감염병 의료대응체계 구축 시범사업 개요 <붙임 2 참고>


  이번 토론회의 주제로는 먼저 일본 성서대학교의 이세키 토모토시 교수가 ‘일본의 코로나19 대응 사례와 지역의료체계 강화 방안’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코로나19 이후의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 지역의료기관의 역할을 제언한다. 


  이어서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병원운영센터 김연재 센터장이 ‘국내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의료대응체계’에 대해 발표한다.


  패널 토의는 정은경 전(前)질병관리청장을 좌장으로, 보건의료 전문가 4인이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중요성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며, 신종감염병 대응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사전 질의를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현재 질병관리청은 대규모 신종감염병 환자 발생 시 시·도별 행정구역 경계로 인한 의료공백 방지, 병상·의료인력 등 역량공동활용 등을 위해 5개 권역 감염병전문병원을 중심으로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구축」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사업을 통해  ▲지역 내 감염병 대응 인력·장비 등 현황 조사, ▲병상자원 확보·배분·조정계획, ▲환자 의뢰·이송체계 운영, ▲감염병대응의료인력 대상 현장 실무 교육 계획을 포함하여 신종감염병 의료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를 위해 한국과 인구 구조, 보건의료 환경이 유사한 일본의 사례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공중보건 대응 체계 강화에 한걸음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히며, 


  “신종감염병 의료대응 관계기관에서는 권역완결형 의료대응 거버넌스 구축 및 공동 역량 제고를 위해 적극 참여해달라”고 전했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권역완결형 신종감염병 의료대응체계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방향성을 공유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전하며,


  “국립중앙의료원도 중앙감염병병원으로서 권역완결형 신종감염병 의료대응 체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강화」 토론회 개요

           2. 권역 완결형 신종감염병 의료대응체계 구축 시범사업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