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6.28.수.정례브리핑 보도자료] 코로나19 이후 감염병 위협에 대비, 범부처 차원 대응체계 강화
  • 작성일2023-06-28
  • 최종수정일2023-06-2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7798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코로나19 이후 감염병 위협에 대비, 범부처 차원 대응체계 강화



주요 내용


 1. 보건소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추진 계획

 □ 감염병 위협으로부터 효율적 예방을 위해 보건소 감염병 대응 기능 강화 필요

 □ 코로나 19대응으로부터 미비했던 상시감염병과 잠재적 위험요인 관리 및 신종감염병 대비 감염병 대응 기반 강화를 위한 지자체 참여 제고



 2. 인수공통감염병 범부처 원헬스 협력 강화 방안 

 □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팬데믹의 위협요인으로 대두되는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철저한 대비·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범부처 협력 필요

 □ ▲인수공통감염병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및 대책위원회 개최, ▲합동위험평가 도구를 활용한 합동 도상훈련 실시, ▲원헬스 기반 통합감시 연차보고서 발간 추진 등 제2차 인수공통감염병 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


 3.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6.18.~6.24.)

 □ 주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소폭 증가, 사망자 및 신규 확진자는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으로부터 ▲보건소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추진 계획, ▲인수공통감염병 범부처 원헬스 협력 강화 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1. 보건소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추진 계획



  보건소는 지역사회 감염병 대응의 최일선 기관으로서,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감염병 전담조직 구성 및 인력 재배치 등으로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동안 코로나19 대응에 역량을 집중해왔던 지자체별 보건소는 정부의 위기단계 하향 조정 발표 이후, 확충된 감염병 조직을 정비하는 자체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개청과 코로나19 등으로 확대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전담조직은 중앙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유지를 통한 효율적 감염병 대응의 필수 조건이며, 향후 계속될 상시감염병의 위험에 대비한 예방·관리 및 주기가 짧아진 신종감염병 위기상황 대비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


  질병관리청은 보건소 감염병 대응 강화를 위해, 코로나19 대응 역량의 집중 및 그동안 생활방역수칙의 준수 등으로 발생과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상시감염병 및 잠재적 위험요인을 집중 예방·관리하고 신종감염병 대비 감염병 대응기반 강화를 위해 지자체 참여를 기반으로 한 일선 보건소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① 상시감염병 관리 강화


  결핵발생률 감소 목표 이행(‘27년 인구 10만명당 20명)을 위해 지자체 주도 결핵 역학조사 시행 등 예방·조기발견·치료관리를 위한 보건소 협력사업을 강화하고, 기후변화 및 생활환경 개선 등의 요인으로 매개체*(모기·진드기 등) 감염병 국내발생과 수인성 감염병 집단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보건소 현장 초동대응 및 감시 강화, 환자 다발생지역은 지역 특성에 맞춘 예방관리사업을 실시한다. 또한, 호흡기 감염병 지역 조기인지를 위해 보건소 관할 지역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증가시켜 관리하고, 코로나로 축소된 보건소 성매개감염병 검사 업무를 확대 실시한다.


  * 말라리아 고위험지역: 인천, 경기·강원 북부 30개 시군구, ‘24년부터 잠재적 위험지역(서울)까지 관리범위 확대 예정

 ** 집단발생 누적건수: (‘18) 697 → (’19) 603 → (’20) 235 → (’21) 476건 


② 감염병 대응체계 보강


  의료관련감염으로 인한 의료체계 부담 증가 및 사회적 비용 발생 감소를 위해 보건소의 관할 의료기관 지도·관리* 점검체계를 구축하여 의료관련 감염 예방을 체계화하고, 지자체별 구성된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시설, 각종 사회복지시설 등) 전담대응기구 지속 유지와 보건소 중심의 감염병 조사보고체계를 확립함으로서 신속한 현장대응과 감염병으로 인한 취약시설 피해 최소화를 추진한다.

  * 감염관리위원회 운영, 감염관리실 설치, 감염관리교육 실시 등 감염관리에 관한 사항


③ 감염병 대응 공동 협력


  지역 내 주요행사 등 군중모임과 풍수재해 재난 발생을 대비하여, 질병청-지자체 사전합동계획을 수립하고, 사전위험도 평가를 실시함으로서 대규모 감염병 확산 및 집단감염 방지를 강화하고, 집단발생 가상상황 훈련 등 지자체와 비상방역체계*를 내실있게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보건소의 소독의무시설 관리 및 행정지도 등을 강화하고, 근거 중심 방제사업을 추진하여 효과적이고 안전한 소독과 환경친화적인 방제체계를 구축한다.

  * 하절기(5.1. ∼ 9.30.), 명절(설, 추석), 군중모임


④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후속 대응


  코로나19 격리권고 전환 이후에도 후속대응에 필요한 절차 등을 보건소와 협의하에 지속 개정 추진하고,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와 접종홍보 등을 위해 보건소와 협력하는 등 코로나19 후속대응과 이후 단계별 상황에 맞춘 업무협조를 지속한다.


  지영미 청장은 질병관리청 20.9월 출범 시, 자치단체 감염병 대응 조직·인력 보강과 감염병 대응을 위해 최적화된 업무 체계가 확립됐음에 따라, 향후 감염병에 적극 대응을 위해서는 보건소 감염병 전담부서 시스템이 지속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며, 지자체에는 감염병대응 강화를 위한 효율적 조직 업무분장과 위기대응 쳬계 확립, 중앙의 감염병 관련 기본계획에 따른 각 지자체별 실정에 맞춘 시행계획 등을 조속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하였다.



 2. 인수공통감염병 범부처 원헬스 협력 강화 방안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매개체(모기, 진드기 등) 서식처 변화, 국가 간 이동 및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 등으로 인한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원헬스 기반의 인수공통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범부처 공동 대비 및 대응 협력을 강조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팬데믹의 위협요인으로 대두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철저한 대비·대응을 위한 범부처 협력체로 운영 중인 2023년 제1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를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난 5월에 <제2차 인수공통감염병 관리계획>을 발표하였다. 

  * “신종 감염병의 75%가 동물에서 유래” (Risk factors for human disease emergence. 2001년)


[ 추진내용 ]


󰊱 인수공통감염병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및 대책위원회 개최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연 2회)의 내실화를 위해 인수공통감염병 실무협의체**를 구성(3.21.)해 운영하였다. 대책위원회에 앞서 공동 안건 발굴 및 연구 방향 등의 사전 논의를 위한 협의체 운영을 통해 <’23년 제1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를 성공적으로 개최(5.10.)하였으며, <제2차 인수공통감염병 관리계획>을 발표하는 등 기관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였다.

  * 질병관리청,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가 공동으로 운영·관리하는 정례(연 2회) 위원회로 관계 부처 및 학계 전문가 참여

  **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핵심분야인 사람(질병관리청)-가축(농림축산검역본부)-야생동물(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중심으로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 합동위험평가 도구를 활용한 도상훈련 실시


  범부처 및 지자체의 인수공통감염병 실무자 대상 역량 강화를 위한 합동 도상훈련을 정례(연 2회) 실시를 위해, <’23년 제1차 범부처 실무자 인수공통감염병 모의훈련*>을 실시(6.15.~6.16.)하였다. 훈련 내용은 ➊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원헬스적 접근 및 합동위험평가 도구(JRA OT) 이론 학습 과 ➋합동위험평가 도구(JRA OT) 실습이었으며, 또한, 특별 연자로 세계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의 감염병 감시 전문가(Dr. Gael Lamielle)를 초빙하여 합동위험평가 도구(JRA OT)를 활용한 기술지원 사례를 통해 원헬스 국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합동위험평가 도구(Joint Risk Assessement Operational Tool, JRA OT) :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위험평가를 위해 3개 국제기구가 개발한 위험평가 도구이며, 의사결정권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2020년)(붙임 1)


  이번 훈련에는 질병관리청(주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중앙정부 23명 및 지자체 실무자 10명이 참석하였다. 


󰊳 원헬스 기반 통합감시 연차보고서 발간 추진


  또한 인수공통·매개체(모기·진드기)·식품매개감염병을 대상으로 사람-동물-환경을 아우르는 통합감시 연차보고서의 발간을 추진 중이다. 지난 3월부터 사전 협의를 통해 관계 부처별* 로 전문가를 추천받아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사람), 농림축산검역본부(가축),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야생동물),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 등


  원헬스 연차보고서는 향후 인수공통감염병 공동 대응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향후계획 및 협조 요청사항 ]


  9월에 웹 기반 시스템을 활용한 <’23년 제2차 범부처 실무자 인수공통감염병 모의훈련>, 11월에 <’23년국제 원헬스 포럼>, 12월에는 ’23년 범부처 합동 원헬스 연차보고서 발간 및 <’23년 제2차 제2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 등의 행사가 예정되어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원헬스를 실천하기 위한 관계 부처 협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라고 하면서, “사람·동물·환경 모두의 건강은 하나라는 인식 아래 하반기 사업에도 학계, 관련 부처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협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55

(100.0)

35,008

(100.0)

0.11

116

(100.0)

성별

남성

29

(52.7)

17,258

(49.3)

0.12

66

(56.9)

여성

26

(47.3)

17,750

(50.7)

0.10

50

(43.1)

연령

80세 이상

35

(63.6)

20,879

(59.6)

1.86

47

(40.5)

70-79

8

(14.6)

7,942

(22.7)

0.43

31

(26.7)

60-69

7

(12.7)

3,976

(11.4)

0.11

20

(17.2)

50-59

3

(5.5)

1,430

(4.1)

0.03

9

(7.8)

40-49

2

(3.6)

478

(1.4)

0.01

4

(3.4)

30-39

0

(0.0)

163

(0.5)

0.01

3

(2.6)

20-29

0

(0.0)

80

(0.2)

0.01

0

(0.0)

10-19

0

(0.0)

23

(0.1)

0.01

0

(0.0)

0-9

0

(0.0)

37

(0.1)

0.01

2

(1.7)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3.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6.18.∼6.24.)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6월 3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16명, 일평균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008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109

107

115

122

116

124

117

116

-

사망자*

3

4

4

14

14

10

6

8

55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3.6%, 70대가 14.6%, 60대가 12.7%로, 50대 이하 9.1%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4.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6.18.∼6.24.)  



[ 1. 주간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6월 3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위중증 및 사망자 수가 낮은 수준에서 소폭 변동하는 추세임을 고려하였다.


구분

’22.10

’22.11

’22.12

’23.1

’23.2

’23.3

’23.4

’23.5

’23.6

1-3

(10.2.~)

4

(10.23.~)

1-5

(10.30.~)

1-4

(12.4.~)

1-2

(1.1.~)

3-4

(1.15.~)

1-4

(1.29.~)

1-5

(2.26.~)

1-4

(4.2.~)

1-5

(4.30.~)

1-2

(6.5.~)

3

(6.19.~)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2.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7% 증가하여 일평균 116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23.6% 감소(72명→55명)하였고 일평균은 8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5월 5주) 165명→ (6월 1주) 128명→ (6월 2주) 113명→(6월 3주) 116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5월5주) 10명→ (6월1주) 8명→ (6월2주) 10명→ (6월3주) 8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98명(84.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7명(87.5%)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07명(92.2%),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8명(100.0%)


  6월 1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3%, 치명률은 0.05%이었다.

  ’23년 6월 24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8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0.5명(치명률 1.8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3.8명(치명률 0.43%), 60대는 55.5명(치명률 0.11%)이었다.


[ 3. 확진자 및 발생추이 ]


  6월 3주(6.18.~6.24.) 주간 신규 확진자는 112,184명으로 전주 대비 0.8% 감소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6,026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0.98이며, 5월4주 부터(6월1주 제외) 1이하를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5월5주) 11.9만 명→ (6월1주) 11.7만 명→(6월2주) 11.3만명→ (6월3주) 11.2만명  

  ** 일 평균: (5월5주) 17,080명→ (6월1주) 16,743명→ (6월2주) 16,163명→ (6월3주) 16,026명 


구분

51

(4.30~5.6)

52

(5.7~5.13)

53

(5.14~5.20)

54

(5.21~5.27)

55

(5.28~6.3)

61

(6.4.~6.10.)

62

(6.11.~6.17.)

63

(6.18.~6.24.)

확진자수()

105,965

127,966

133,811

122,709

119,561

117,201

113,141

112,184

일 평균 확진자()

15,138

18,281

19,116

17,530

17,080

16,743

16,163

16,026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29.4

35.5

37.2

34.1

33.2

32.5

31.4

31.2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2

1.2

1.0

0.9

1.0

1.0

1.0

1.0

감염재생산지수(Rt)

1.09

1.11

1.08

0.96

0.95

1.02

0.98

0.98



  0-19세 제외한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감소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43.6명), 30-39세(36.7명), 70-79세(36.3명) 순으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비중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5.5주) 31,377 → (6.1주) 32,535→ (6.2주) 32,530→ (6.3주) 31,164

   ** 60세 이상 비중(%): (5.5주) 26.2 → (6.1주) 27.8→ (6.2주) 28.8→ (6.3주) 27.8



구분

61

62

63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17,201

(100.0)

32.5

113,141

(100.0)

31.4

112,184

(100.0)

31.2

32,108,935

(100.0)

62,421

성별

남성

50,153

(42.8)

27.9

48,979

(43.3)

27.3

48,801

(43.5)

27.2

14,819,525

(46.2)

57,805

여성

67,048

(57.2)

37.1

64,162

(56.7)

35.5

63,383

(56.5)

35.1

17,289,410

(53.8)

67,008

연령별

0-9

4,913

(4.2)

19.9

4,817

(4.3)

19.5

5,297

(4.7)

21.4

3,168,964

(9.9)

89,705

10-19

12,352

(10.5)

37.5

12,617

(11.2)

38.3

14,341

(12.8)

43.6

3,981,404

(12.4)

84,653

20-29

16,249

(13.9)

36.2

14,414

(12.7)

32.1

14,137

(12.6)

31.5

4,671,654

(14.5)

72,799

30-39

18,223

(15.5)

39.4

17,320

(15.3)

37.4

16,980

(15.1)

36.7

4,713,670

(14.7)

71,252

40-49

17,118

(14.6)

30.3

16,371

(14.5)

29.0

15,746

(14.0)

27.9

4,878,834

(15.2)

60,433

50-59

15,811

(13.5)

26.2

15,072

(13.3)

25.0

14,519

(12.9)

24.1

4,194,644

(13.1)

48,707

60-69

16,759

(14.3)

32.3

16,882

(14.9)

32.6

15,994

(14.3)

30.9

3,544,425

(11.0)

47,875

70-79

10,212

(8.7)

38.1

10,075

(8.9)

37.6

9,732

(8.7)

36.3

1,834,731

(5.7)

47,958

80세이상

5,564

(4.7)

35.2

5,573

(4.9)

35.3

5,438

(4.8)

34.4

1,120,609

(3.5)

49,671



[ 4.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27.2% → 23.4%, (수도권) 26.4% → 20.1%, (비수도권) 28.1% → 27.1%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36.6% → 33.9%, (수도권) 38.1% → 34.8%, (비수도권) 35.0% → 33.0%



[ 5. 변이 바이러스 ]


  XBB.1.9.1의 검출률은 26.9%(+1.0%p), XBB.1.9.2는 23.5%(+3.8%p)로 지속 증가 추세이고, XBB.1.16은 17.6%(-1.1%p), XBB.2.3은 12.2%(-1.1%p)로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XBB.1.5

XBB.1.9.1

XBB.1.9.2

XBB.1.16

XBB.2.3

XBB*

기타

전체

55

19.6

23.0

19.9

15.0

11.0

4.9

6.6

61

15.4

24.7

21.1

16.5

12.3

4.3

5.7

62

13.3

25.9

19.7

18.7

13.3

4.0

5.1

63

10.8

26.9

23.5

17.6

12.2

5.2

3.8

국내감염

55

19.3

23.3

20.6

13.5

11.5

4.7

7.1

61

15.2

24.8

21.5

15.7

12.0

4.3

6.5

62

13.1

25.9

20.4

18.1

13.7

3.4

5.4

63

11.1

27.3

23.3

17.6

12.3

4.4

4.0

해외유입

55

23.1

19.2

10.6

33.7

3.7

7.7

2.0

61

17.7

22.6

16.1

24.2

15.3

4.1

0.0

62

15.8

26.3

10.5

27.2

8.8

9.6

1.8

63

4.7

18.8

27.1

17.6

10.6

18.8

2.4




 5.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6월 27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68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4.5%, 준-중증병상 29.4%이다.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273

67

206

395

116

279

(+0)

(+4)

(-4)

(+0)

(-3)

(+3)

수도권

144

28

116

210

58

152

(+0)

(-3)

(+3)

(+0)

(-7)

(+7)

서울

53

12

41

58

16

42

경기

65

13

52

125

38

87

인천

26

3

23

27

4

23

비수도권

129

39

90

185

58

127

(+0)

(+7)

(-7)

(+0)

(+4)

(-4)

강원

10

4

6

14

6

8

충청권

23

12

11

42

19

23

호남권

26

6

20

44

20

24

경북권

36

7

29

30

5

25

경남권

30

9

21

49

8

41

제주

4

1

3

6

0

6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433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818개소가 있다. (6.27.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자율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62개소 운영되고 있다. (6.27. 0시 기준)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합동위험평가 도구(Joint Risk Assessment Operation Tool, JRA OT) 개요

         2.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3.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6.18.∼6.24.)

         4.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