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4주 연속) (7.5.수)
  • 작성일2023-07-05
  • 최종수정일2023-07-0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4주 연속)


-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8.8% 증가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6.25.~7.1.)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7,443명(전주 대비 8.8%↑)

 ○ 주간 재원중 위중증 환자 감소, 사망자 전주 대비 소폭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6.25.∼7.1.)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6월 4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10명, 일평균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066명이라고 밝혔다.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8.6%, 70대가 25.9%, 60대가 10.3%로, 50대 이하 5.2%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6.25.∼7.1.)  




[ 1. 주간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6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증가, 위중증 및 사망자 수 증감 반복 추세인 상황을 고려하였다.




[ 2.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5.2% 감소하여 일평균 110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5.5% 증가(55명→58명)하였고 일평균은 8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6월 1주) 128명→ (6월 2주) 113명→(6월 3주) 116명 →(6월 4주) 110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6월1주) 8명→ (6월2주) 10명→ (6월3주) 8명→ (6월4주) 8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94명(85.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8명(100.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03명(93.6%),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8명(100.0%)


  6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3%, 치명률은 0.05%이었다.




  ’23년 7월 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9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2.5명(치명률 1.8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4.2명(치명률 0.43%), 60대는 55.6명(치명률 0.11%)이었다.



[ 3. 확진자 및 발생추이 ]


   6월 4주(6.25.~7.1.) 주간 신규 확진자는 122,103명으로 전주 대비 8.8% 증가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7,44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03이며, 6월 2주 이후 1이하 유지하다 금주 1이상으로 증가하였다.

    * 주간 누적: (6월1주) 11.7만 명→(6월2주) 11.3만명→ (6월3주) 11.2만명→ (6월4주) 12.2만명  

  ** 일 평균: (6월1주) 16,743명→ (6월2주) 16,163명→ (6월3주) 16,025명→ (6월4주) 17,443명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증가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46.9명), 30-39세(40.3명), 70-79세(38.1명) 순으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증가, 비중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6.1주) 32,535→ (6.2주) 32,530→ (6.3주) 31,160→ (6.4주) 32,741

   ** 60세 이상 비중(%): (6.1주) 27.8→ (6.2주) 28.8→ (6.3주) 27.8→ (6.4주) 26.8






[ 4.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전주와 동일,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비율은 5월 5주 이후 지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6.3주 → 6.4주): (전국) 23.4% → 23.4%, (수도권) 20.1% → 18.8%, (비수도권) 27.1% → 28.7%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6.3주 → 6.4주): (전국) 33.9% → 32.7%, (수도권) 34.8% → 34.8%, (비수도권) 33.0% → 30.3%



[ 5. 변이 바이러스 ]


  XBB.1.9.1의 검출률은 24.5%(-2.4%p)로 최근 6주간 20%대 중반 유지 중이며, XBB.1.16과 XBB.2.3은 20.8%(+3.2%p)와 14.1%(+1.9%p)로 지속 증가 추세이다.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 병상 ]


  7월 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68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3.4%, 준-중증병상 33.2%이다.



[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430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827개소가 있다. (7.4.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자율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64개소 운영되고 있다. (7.4. 0시 기준)







 4. '23년 제12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6월27일 제12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509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7명으로 구성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93건(18.3%)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6,003건*, 심의 완료 건수는 88,636건(92.3%)으로, 이 중 사망 17건 포함 총 24,078건(27.2%)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7,237건) 포함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5,254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673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785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9명이다.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50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45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붙임>  1.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2.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6.11.∼6.17.)

         3.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4.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