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7.13.목.조간] (경북권질병대응센터) 지역사회 중심의 지속 가능한 결핵 관리 및 전문성 강화 위한 소통 추진
  • 작성일2023-07-12
  • 최종수정일2023-07-12
  • 담당부서경북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 연락처053-550-0628


지역사회 중심의 지속 가능한 결핵 관리 및 전문성 강화 위한 소통 추진



- 경북권 결핵관리담당자 대상 제2차 결핵 관리 실무 교육 개최(7.12.)

- 잠복결핵감염검사 술기 및 ’23년 경북권 결핵관리 계획 등 공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경북권질병대응센터는 경북권역내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및 관할 시군구 결핵관리 담당자의 실무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2023년 경북권 제2차 결핵관리 실무교육」을 7월 12일(수)에 개최한다.

 ▸ 일시 및 장소: 2023.7.12(수). 대구시 북구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경하홀 I

 ▸ 참석대상: 경북권내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및 시군구 결핵 실무담당관 등 70여명


  이번 교육은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및 관할 33개 시군구가 결핵환자 관리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23년 제1차(4.12.) 결핵관리 교육(결핵 역학조사 기준 및 방법 등)에 이어, 실무 중심의 결핵환자 관리 방법, 잠복결핵감염검사(TST검사 이론 및 실시)에 대해 실제 적용 가능한 교육 내용으로 진행된다.


□ (잠복결핵감염검사(tuberculin skin test,TST) 결핵균에 감염된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결핵균 항원(purified protein derivatives, PPD)을 팔에 피내 주사 후 48-72시간 사이에 형성되는 지연과민반응을 관찰하여 판독

  ※ (TST검사 양성) 결핵균에 감염은 되었으나,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결핵 증상이 없고, 전염성도 없는 상태 



  또한, 지난 3월 24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서 발표된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을 토대로 경북권내 특성을 반영한「23년 경북권 결핵관리계획」을 소개하고, 지역사회 결핵관리 방안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였다. 


  「23년 경북권 결핵관리계획」은 결핵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감시·강화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대상 비순응 환자의 관리강화, 지자체 결핵관리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행해야 할 실행계획 등을 포함하였다. 


  ’20년 9월, 질병관리청 승격과 함께 신설된 경북권질병대응센터(센터장 직무대행 손태종)는 “지역사회 중심의 지속 가능한 결핵관리 방안을 계획하고 적극 지원·협력함으로써, 권역내 결핵 퇴치를 가속화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가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하였다. 



<붙임>  2023년 제2차 경북권 결핵관리 교육 프로그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