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호남권질병대응센터) 실무 중심의 감염병 대응 교육 및 모의훈련 등으로 안전한 지역사회 마련에 힘써(11.16.목)
  • 작성일2023-11-16
  • 최종수정일2023-11-15
  • 담당부서호남권질병대응센터
  • 연락처062-221-4126


(호남권질병대응센터) 

실무 중심의 감염병 대응 교육 및 모의훈련 등으로 안전한 지역사회 마련에 힘써


- 감염병 대비·대응 태세 강화를 위해 결핵 및 조류인플루엔자(AI) 대응역량강화 교육, 신종감염병 대비 민·관 의료대응 관련 합동 모의 훈련 개최



  질병관리청 호남권질병대응센터(센터장 윤정환)는 최근 전년 동기간 대비 증가하고 있는 결핵, 점차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겨울철 조류인플루엔자(AI)와 신종감염병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11월 3주(11.12.~11.18.)를 「호남권 감염병 대비 대응 태세 강화 주간」으로 선정하였다.


  이번 주간 동안 호남권질병대응센터는 권역 내 지자체 및 민간의료기관과 공동으로 「호남권 결핵 및 AI 대응 역량강화 교육」 및 「신종감염병 대비 민·관 합동 의료대응 모의훈련」을 개최하여 감염병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실행기반 훈련으로 대응역량 강화를 추진하였다.


  「호남권 결핵 및 AI대응 역량강화 교육」은 겨울철 결핵 환자 및 2023-2024절기 조류인플루엔자(AI) 유행에 대비하여 지자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감염병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실행 기반의 훈련으로 대응역량 향상을 위해 양일(11.15-11.16.)간 시행하였다.


  호남권 결핵 신환자는 2023년 3분기까지 총 1,594명(잠정)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1.1%가 증가한 수치로 최근 10년 동안 감소세를 고려할 때 더욱 촘촘한 환자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한 호남권은 순천만을 비롯한 주요 철새도래지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가금(닭, 오리) 사육지역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가능성이 높아 겨울철 조류인플루엔자(AI) 특별방역대책기간(’23. 10. 1.부터 종료 시까지) 동안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 예방을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호남권질병대응센터는 호남권 감염병전문 병원인 조선대학교병원(병원장 김경종)과 공동으로 「신종감염병 대비 민·관 합동 의료대응 모의훈련」을 11일 17일(금) 실시한다.

  * 2017년 8월 호남권 내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환자 치료 등으로 감염 확산을 조기 차단하기 위한 감염병전문병원으로 조선대학교 병원 선정


  이번 훈련은 과거 신종감염병 대응에서 경험했던 의료자원(병상, 의료인력 등) 배분·조정에 따른 갈등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인 권역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모의훈련에는 호남권질병대응센터, 4개 시·도(광주, 전남, 전북, 제주), 조선대학교병원 및 15개 실무협의체 협력병원이 참여하여, 신종감염병 발생 시 집단발생 상황을 가정한 실행기반 훈련 실시로 의료대응 체계와 개선방안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윤정환 센터장은 “권역 완결형 의료대응체계 구축으로 앞으로 다가올 신종감염병 발생 상황을 대비하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방역 및 의료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감염병 발생 시 전파 차단 등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실무 중심의 대응역량 및 의료대응체계 구축을 통한 환자 및 접촉자 관리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감염병 대비·대응 태세 강화 주간을 통해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틀 마련과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안전한 지역사회 마련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붙임> 1.「2023 호남권 결핵 및 AI 대응 역량강화 교육」 개요

         2.「호남권 신종감염병 대비 민·관 합동 의료대응 모의훈련」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