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립마산병원, 유전체 분석을 통한 결핵 진단·치료 정밀 모니터링 R&D 협력체계 구축(5.27.월)
  • 작성일2024-05-27
  • 최종수정일2024-05-27
  • 담당부서국립마산병원 임상연구소
  • 연락처055-249-5630

국립마산병원, 유전체 분석을 통한 결핵 진단·치료 정밀 모니터링 R&D 협력체계 구축


- 국립마산병원-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결핵 진단 치료 모니터링 R&D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마산병원(원장 황수희)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양성광, 이하 KBSI)과 27일(월) ‘감염병 진단·치료 모니터링 R&D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결핵은 후진국에서만 걸리는 오래전에 극복한 질병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2023년 WHO 결핵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한 해 동안 약 1,060만 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130만 명이 사망한 매우 심각한 감염성질환이다. 


 특히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다제내성* 또는 광범위내성** 결핵균이 심각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일으키는 주요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다제내성 결핵: 아이소니아지드(Isoniazid)와 리팜피신(Rifampicin)에 내성인 결핵 ** 광범위내성 결핵: 다제내성 결핵이면서 플루오로퀴놀론(Fluoroquinolone) 계열 약제 및 하나 이상의 그룹 A 약물에도 내성이 있는 결핵 (그룹 A 약물: 장기치료요법을 사용하여 약물내성 형태의 결핵을 치료하기 위한 2차 약물 순위에서 가장 강력한 약물 그룹으로서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베다퀼린 및 리네졸리드로 구성됨) 


  국내의 경우 국가 차원의 결핵 관리 정책 추진으로 결핵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고령층의 증가로 인한 결핵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OECD 38개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2위, 사망률 4위로 여전히 높은 순위에 있어, 결핵 조기 진단과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 협력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 결핵 사망자 수: 2012년 2,466명→ 2020년 1,356명→ 2021년 1,430명.


  이에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결핵, 감염병 진단·치료 모니터링을 위한 공동연구 ▲시설, 장비 및 기술지원 ▲결핵, 감염병 관련 학술정보 및 학생, 연구원 등의 상호 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질병관리청 세균분석과의 협조로 외국인 결핵환자에 대한 NGS 분석과 입원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 연계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소속기관인 국립마산병원은 지난 80여 년간 결핵 퇴치의 최일선에서 진료와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결핵 전문병원으로서, 생물 안전 3등급(BL3) 실험실****과 결핵 검체 은행을 기반으로 결핵 연구에 특화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 생물 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실험실: 결핵균 등 생물학적 위험성이 높은 병원균을 다룰 때 필요한 특수 연구시설

  아울러, 국립마산병원 임상연구소에서는 1,000명 이상의 결핵환자로부터 제공받은 인체 유래물을 활용하는 대규모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결핵균의 약제 내성 관련 변이를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분자 역학적 결핵 전파경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BS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공공연구기관으로 2,000여 종의 최첨단 연구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발전의 기반이 되는 기초과학 진흥을 위해 연구시설·장비를 활용하고, 분석과학 기술 관련 연구개발, 연구지원 및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KBSI 양성광 원장은 “결핵은 발생률이 매우 높고, 고령층 증가로 치명적인 질병으로 부각되고 있어서 결핵 퇴치를 위해 공공기관이 먼저 나서야한다”라며 “과학기술 출연연과 국립병원 등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감염병 진단과 치료 분야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마산병원 황수희 원장은 “두 기관의 공동연구 협력으로 결핵 치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결핵 없는 건강한 사회 구축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업무협약식 개최 계획(안)

           2. 업무제휴 협약식 기념 촬영 사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