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신학기 전후 집단발생 전염병 예방대책 보도참고
  • 작성일2004-02-06
  • 최종수정일2012-09-21
  • 담당부서방역과
  • 연락처043-719-7113

질병관리본부는 매년도 2월 개학과 신학기를 전후하여 각급학교, 청소년수련시설, 직장 및 민간단체 수련원 등에서의 단체생활 증가와 더불어 집단급식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세균성이질」과 「인플루엔자」등 식중독 및 호흡기질환의 집단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관계기관을 통한 홍보활동을 적극 추진하기로 함
 
■ 신학기 전후 집단발생 주요전염병 현황
    ●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년간(명) 2~4월(명) 년간(명) 2~4월(명) 년간(명) 2~4월(명)
    ●세균성이질 928 147 767 239 1,127 404
    ●파라티푸스 36 7 413 367 91 21
    ●식중독 6,406 676 2,980 817 7,909 2,733
※ 인플루엔자는 매년 겨울방학후 작은 유행이 관찰됨(별첨 1)

■ 주요 발생원인 및 동향
    ● 청소년 수련시설, 직장 및 민간단체 수련원 등에서의 단체생활 증가와 더불어 집단급식의 증가에 따른 설사질환 집단발생기회 상존 
    ● 각급 집단급식시설의 위생관리수준 미비 - 급식시설 등은 대형화되고 있으나 종사자의 건강관리소홀, 관리자 등의 위생의식 미흡 및 비위생적 조리과정 등으로 집단환자발생 및 확산 가능
※ 2003년도 신학기 전후 주요 집단발생 사례 : 별첨 2 

    ● 집단시설내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한 시설 미비 및 교육 미흡
        - 손씻기 위한 비누 및 1회용 종이타올, 자동감지 수도꼭지 미비로 손을 통한 인플루엔자 유행 가능성이 크고 손수건으로 입가리고 기침하는 등 「호흡기예절」을 지키는 학생이 적어 적극 계도할 필요가 있음
 

■ 2004년 집단설사질환 등 예방대책
    ● 연중 감시체계 강화
         - 전국 병·의원·약국 등 감시기관(19,430개소)을 통한 설사질환 모니터링 강화
         - 125개 응급실 감시체계 및 47개 감염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감시체계 강화
    ● 집단급식업소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 식약청·교육부 등을 통한 대대적인 홍보·교육 실시
         - 발생우려가 높은 시설에 대한 중점 사전 지도점검 강화
         - 합동조사팀 구성으로 환자발생에 대한 신속 대응체계 구축 
    ● 대국민 예방·홍보 강화
         - 공익방송 등 다중매체를 통한 예방·홍보 강화
         - 학생들의 손씻기 등 개인위생 준수 
         - 손씻은 후 1회용 종이타올 사용의 생활화 
         - 조리자는 도마와 칼을 분리사용하며 위생적인 음식재료 사용하기
         - 설사증상자는 조리에 참여하지 않기
         - 겨울철호흡기질환(감기, 사스, 독감) 예방수칙 준수를 위한 홍보 강화 

■ 겨울철호흡기질환(감기, 사스, 독감) 예방수칙  
    ●손을 자주 깨끗이 씻자 
    ●실내 환기를 자주 시키자 
    ●기침, 재채기는 코를 가리고 하자 
    ●가능하면 집에서 생활하자 
    ●사스증상이 의심스러우면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하자

■ 2003년도 신학기전후(2~4월) 주요 집단발생 사례
    ● 일자 지 역 내 용 발생인원 비고 
         - 2. 8 강원도 속초시 홍콩인(관광객) 24명 설사 2.14 경남 진해시외 3개 시·군 지역 산발적 발생 10명 이질 2.19 인천 옹진군 노인회 잔치 100명설사 3.20 경남 김해 및 하동 지역 주민 11명 이질 3.20 경남의령군 동문공업(주) 20명 설사 3.21 경기포천 대진대학교(집단급식) 37명 설사 3.22 경남 남해 어린이집 8명 이질 2.27 충북보은 유스타운 단국대외 3개대학 1,037명설사 3. 6 광주광역시 서강고교 20명 설사 3.11 부산 동구 한국통신 15명 설사 3.17 인천연수구 인천여고 30명 설사 3.20 인천 남동구 숭덕여고 17명 설사 3.20 경기포천 대진대학(집단급식) 37명 설사 3.25 서울경기 15개 중고교 1,788명설사 3.26 경기하남 어린이집 22명 이질 3.27 경남창원 경일고교 14명 설사 3.28 경기이천 이천실업고 98명 설사 3.29 제주서귀포 어린이집 19명 이질 3.30 경남창원 창원호텔부폐 32명 설사 3.31 충북보은 신정유스타운(인천함박초교) 48명 설사 4. 6 경북 예천 예천여고 23명 설사 4. 6 대구 수성구 경북고교 37명 설사 4. 9 경남통영 어린이집 5명 이질 4. 9 경기하남 어린이집 25명 이질 4.11 경남함안 군부대 34명 설사 4.12 제주서귀포 토담어린이집 39명 이질 4.20 대구 달성군 아동시설 16명 이질 4.23 전북 전주 천주교 약수터 이용 37명 이질 4.23 대전 대덕구 용정초등학교 5명 이질 4.29 충북괴산 기곡마을 주민 25명 설사 4.30 충남논산 대건중학교 64명 설사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분율, 2000~2004절기
 
※인플루엔자의사환자발생분율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총진료환자수 x 1,00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