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간질환 환자 등에 대한 비브리오패혈증 주의 당부
  • 작성일2004-06-04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홍보TF
  • 연락처043-719-7113
■ 질병관리본부는 하절기를 맞아 특히 肝질환 환자들에 대해 치명률이 높은 비브 리오패혈증 예방을 당부함 ㅇ 비브리오패혈증 균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식하므로 본격적 하절기로 접어들면서 더욱 주의가 요망됨 

■ 비브리오패혈증은 간질환 환자, 당뇨병, 암 등 저항력이 약한 만성 질환자들이 원인균(Vibrio vulnificus)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피부상처를 통하여 감염되어 발병하고 치명률이 높음 
■ 예방을 위해서 간질환 환자 등 만성 질환자는 6월~9월 사이에 어패류를 익혀 먹고 피부 상처가 바닷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이들 환자가 상처감염증이 생기거나, 오한, 발열 등의 전신증상과 설사, 복통, 구토, 하지통증이 동반되면 조기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함.

■참 고 
    ● 연도별 비브리오패혈증환자 발생현황 (단위 : 명) 연도별 ‘97 ‘98 ‘99 ‘00 ‘01 ‘02 ‘03 발 생 23 50 27 16 41 60 80 사 망 11 22 14 10 24 33 37 치명률(%) 48 44 52 63 59 57 46 
    ● 비브리오패혈증 유행예측 조사사업
         -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와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매년 4월부터 실시
         - 해수, 어패류, 갯벌, 수족관 등의 검체에서 균양성 검출률은 1% 내외임
         - 올해 현재까지 인천(강화지역), 경기도(시흥지역), 전북(군산지역) 및 전남(영광지역)에서 채취한 환경가검물에서 Vibrio vulnificus 균을 분리
[2001년 결과] 검체 지역 해수 어패류 갯벌 기수 수족관 기타 계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서울시보환연 0 2,746 0 0 0 300 0 0 3,046 0 인천시보환연 458 36 853 0 396 41 0 0 0 1,707 77 광주시보환연 0 235 1 0 0 21 0 0 256 1 대구시보환연 174 0 281 0 0 0 0 36 0 491 0 대전시보환연 0 51 0 0 0 228 0 0 279 0 부산시보환연 249 2 351 0 0 0 32 0 28 0 660 2 경기보환연 41 0 130 0 43 0 0 5 0 13 0 232 0 강원보환연 648 0 2,200 0 0 0 317 0 622 0 3,787 0 경북보환연 104 0 258 2 0 39 5 0 13 2 414 9 경남보환연 120 7 120 3 120 5 0 0 0 360 15 울산보환연 85 2 17 0 0 0 0 67 0 27 0 196 2 충북보환연 179 0 0 0 0 0 0 179 0 충남보환연 185 0 249 0 98 0 0 33 0 101 0 666 0 전북보환연 175 12 0 0 0 0 0 175 12 전남보환연 118 12 32 4 119 4 2 0 5 2 0 276 22 제주보환연 262 10 31 5 0 0 180 25 0 473 40 국립목포검역소 369 1 582 2 228 1 138 1 378 3 2445 3 4,140 11 국립군산검역소 330 2 734 1 172 0 226 3 0 0 1,462 6 국립여수검역소 720 0 624 2 0 0 0 8827 5 10,171 7 국립부산검역소 369 1 774 5 0 0 254 0 314 0 1,711 6 계 4,586 85 10,268 25 1,176 51 405 9 1,820 30 12,426 10 30,681 210 (기수 : 하수와 해수 섞이는 곳의 물)

[2002년 결과] 검체 지역 해수 어패류 갯벌 기수 수족관 기타 계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서울시보환연 736 0 735 0 1,471 0 부산시보환연 40 0 271 2 155 1 24 0 490 3 대구시보환연 380 0 380 0 광주시보환연 138 0 57 0 195 0 인천시보환연 661 75 899 9 692 90 147 5 14 0 2,413 179 대전시보환연 48 0 295 1 343 1 경기보환연 169 0 153 0 161 0 483 0 강원보환연 408 0 1722 0 57 0 276 0 2,463 0 경북보환연 96 0 240 1 36 0 12 0 384 1 경남보환연 108 2 108 1 108 1 324 4 울산시보환연 150 1 56 1 110 1 316 3 충북보환연 168 1 168 1 충남보환연 260 3 177 0 210 1 5 0 57 0 30 0 739 4 전북보환연 193 8 41 1 154 13 388 22 전남보환연 100 27 44 6 100 11 10 10 2 2 256 56 제주보환연 160 3 120 2 280 5 목포검역소 332 0 580 5 270 0 210 4 3629 6 5,021 15 군산검역소 370 10 772 6 221 4 180 0 2104 7 3,647 27 여수검역소 690 0 650 0 124 0 770 0 7928 0 10,162 0 울산검역소 315 0 322 1 25 0 88 0 9245 1 9,995 2 부산검역소 477 0 632 11 1314 1 1262 2 3,685 14 계 4,529 129 8,137 45 2,065 120 343 6 3,907 18 24,622 19 43,603 337

[2003년 결과] 검체 지역 해수 어패류 갯벌 기수 하수 수족관 기타 계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건수 양성 부산시보환연 249 3 198 0 4 0 451 3 대전시보환연 45 0 35 0 80 0 대구시보환연 372 0 372 0 광주시보환연 35 3 29 0 64 3 인천시보환연 498 136 944 30 303 130 22 6 1,767 302 경기도보환연 118 2 604 0 180 4 16 1 918 7 강원도보환연 45 0 241 0 13 0 299 0 경북보환연 112 0 385 1 42 0 14 0 553 1 경남보환연 336 0 337 2 336 2 2 2 1,011 6 울산시보환연 83 0 23 0 31 0 64 0 201 0 충북보환연 61 2 61 2 충남보환연 316 10 183 2 248 5 5 0 31 0 42 0 19 0 844 17 전북보환연 114 4 45 0 127 18 286 22 전남보환연 81 5 21 0 54 0 1 0 10 0 167 5 제주보환연 180 0 315 0 495 0 동해검역소 792 0 1271 0 337 0 387 0 3739 2 6,526 2 목포검역소 350 2 512 1 92 0 129 0 263 3 3544 0 4,890 6 군산검역소 408 18 939 8 203 1 241 0 194 2 3257 14 5,242 43 여수검역소 451 0 433 1 72 0 214 0 321 0 5836 0 7,327 1 부산검역소 390 0 453 0 348 0 1211 0 2056 0 4,458 0 계 4,523 180 7,102 50 1,615 160 47 0 1,319 0 2,891 14 1,8515 16 36,012 420

■비브리오패혈증의 특성 및 예방법 
    ● 질병의 특징
        - 만성간질환, 만성신장질환, 당뇨병환자, 면역억제제사용자, 알콜중독자 등에게서 주로 발생함 
        - 병 원 체 : Vibrio vulnificus균
        - 병 원 소 : 어패류, 해수, 갯벌
        - 전파방법 : 균에 오염된 어패류의 취급 또는 생식하거나 해수와의 접촉을 통한 피부상처로 대부분 전염
        - 잠 복 기 : 1~2일(피부감염의 경우 약 12시간)
        - 발생시기 : 주로 6~9월(10월까지 환자 발생)
        - 호발연령 : 40대~50대(주로 40대에서 90%이상 발병) 

    ● 임상적 특성 
         - 갑작스런 오한, 발열, 피로감, 근육통 등으로 시작되며 일부 구토, 설사도 있음
         - 특이점은 발병후 36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피부병변으로 대퇴부, 둔부에 홍반, 구진으로 시작되어 수포, 괴저성 궤양으로 발전 
         - 높은 치명율(40~60%) 

    ● 상처감염증의 경우
         - 상처부위에 급속한 괴사 발생
         - 치료후에도 상처부위 괴사로 피부이식 또는 절단해야 하는 경우 발생 2. 원발성 패혈증의 경우
         - 오염된 해산물 생식시 위장관을 통하여 감염(평균 2일이내 발병)
         - 오한, 발열 등의 전신증상, 설사, 복통, 구토, 하지통증 동반 
         - 피부병변이 다양하게 발생
         - 사망률이 매우 높음
 
■ 진 단
    ● 하지의 피부발진(부종, 수포, 자반, 괴사, 홍반 등이 있으면서 통증이 동반되는지 관찰)
    ● 일주일이내의 어패류 생식유무, 해수와의 접촉, 바다낚시 또는 어패류 손질 도중 다친 적이 있는지 확인
    ● 만성질환(특히 간질환 및 알코올 중독) 확인 

■ 치 료
    ● 잠복기가 짧고 병의 진행이 빠르며 사망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신속한 치료가 생존률에 큰 영향을 미침
    ● 항생제 투여, 혈압 유지, 외과적 치료 등 대증요법 

■ 예 방
    ● 다음의 만성질환자는 비브리오패혈증 위험기간에는 어패류를 익혀 먹고 (56℃이상 열을 가하면 균이나 균독이 파괴됨) 피부상처를 통하여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하여야 함

        ① 간질환 환자(간경화, 만성간염, 간암, 혈색소증) 
        ② 알콜중독,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 폭음시 
        ③ 만성질환 환자(당뇨병, 폐결핵, 만성신부전, 만성골수염)
        ④ 재생불량성 빈혈 
        ⑤ 악성종양환자, 백혈병
        ⑥ 위절제술을 받은 사람
        ⑦ 위장관 질환(무산증, 위궤양, 췌장염) 
        ⑧ 장기간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투여받은 사람
        ⑨ 항암제나 면역 억제제를 복용중인 사람
        ⑩ 제산제나 위산분비 억제제를 복용중인 사람 
        ⑪ 면역결핍 환자(에이즈나 백혈구 감소증 환자)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