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건강한 여름나기 및 수해발생대비 비상체계 강화
  • 작성일2004-06-10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홍보TF
  • 연락처043-719-7113
■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기온의 급상승와 하계휴가철을 맞이하여 휴양지에서의 세균성이질,장티푸스,비브리오패혈증,식중독 등 수인성,식품매개성 전염병임 말라리아,일본뇌염 등 모기매개성 전염병의 발생증가가 우려됨에 따라 하절기 비상방역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함. 
■ 특히 확산속도가 빠른 수인성질환 및 식품매개질환 발생의 사전예방을 위해 하절기 휴양지에서 "건강한 여름나기 운동"을 집중 전개하기로 하였음.
■ 또한 장마철 수해발생시 단계별 행동요령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비축용 방역소독약품의 사전확보 및 비상방역기동반 운영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기로 하였다로 밝힘.
 
■ 질병관리본부에서는 기온 급상승 등으로 인해 집단급식시설에서 세균성이질과 식중독이 계속 산발 또는 집단적으로 발생한데 이어 모기 등 위생해충에 의한 질병의 조기 발생 및 확산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사전예방을 위한 『건강한 여름나기』를 다음과 같이 마련·발표하였다.
    ● 건강한 여름나기 운동을 관계부처 및 단체 등과 협력하여 적극전개
        -『건강한여름나기 전염병예방』포스터(3만7천부), 리플렛(26만부) 제작·배포 ·전국 보건기관(16개 시·도, 246개보건소, 13개 검역소) 및 관계부처 배포 ·대합실, 여객터미날 등 하계 휴가객 이용시설내 홍보물 비치 ·하계 휴양지(해수욕장 등) 가두 캠페인 전개(질병관리본부 합동)
        - 각급학교, 교회, 직장단체 등의 하계수련행사 등 개최시 예방수칙 교육·홍보
        - 집단급식시설 위생관리 수칙 점검 및 교육 
            * 반드시 끓인물을 섭취하고 날음식은 삼갑시다
            * 손발을 깨끗이 하는 등 개인위생에 주의합시다 
            * 조리기구는 청결히 사용하고 도마, 칼은 식품별로 따로 사용하여 교차오염을 예방합시다 
            * 음식물은 오래 보관하지 맙시다

■집중호우, 태풍 등 장마로 인한 수해발생에 대비하여
    ●상습 수해예상지역 등 취약지 파악으로 능동적 사전 방역활동을 강화하며
    ● 재해대비 비축소독약품, 장비 및 방역기동반을 사전확보하고
    ● 수해 발생시 단계별 주요 조치사항 등에 대한 사전 홍보·교육을 강화 ·1단계(침수기간) : 수인성전염병 및 식중독 예방요령 홍보·교육 ·2단계(배수직후-1주간) : 철저한 방역소독 및 예방접종 실시 ·3단계(수해후 2주간) : 집단발병에 예방을 위한 의료지원 강화
 
■ 콜레라 등 집단발병이 가능한 전염병의 사전유행예측조사 실시 -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검역소 등과 공동으로 콜레라, 비브리오패혈증,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실험실 감시사업 지속실시 - 환자발생 전 전염병의 유행시기를 예측함으로써 사전 주의보발령 등 국민들에게 예방홍보 및 발생시 즉각 대처 

■ 수인성질환과 식품매개질환의 집단발생을 사전예방
    ● 각급 학교 등 집단급식시설, 식품위생접객업소 종사자 등에 대한 보균검사 및 위생 점검을 강화하고
    ● 불법 간이상수도, 오염된 약수터 등 사용금지와 철저한 소독 관리·유지
    ● 수학여행, 야외활동 및 집단 급식시 집단발병의 사전예방을 위하여 관광지, 수련원, 캠프장 및 집단급식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교육부, 식품의약품안전청 각 시·도 등 관련기관과 협조체계를 강화하며, 환자발생시 신속한 역학조사 등 초기대응을 강화하여 확산방지에 주력
 
■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근무 강화
    ● 질병관리본부·전국 16개 시·도 및 242개 보건소 등 전국 보건기관은 평일 오후 8시까지 근무를 연장하고 토요일과 공휴일도 오전 9시에서 오후 4시까지 비상근무를 실시(‘04.5.1~‘04.10.31)하며 비상근무시간외에도 방역관계자, 역학조사관, 시·도 역학자문교수 등 관계자 전원이 24시간 상시 비상연락체계를 유지 

■ 급성전염병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확산을 방지
    ●전염병 발생시 신속한 발생원인 및 경로규명을 통한 확산방지와 피해 최소화를 위하여 중앙(2개반), 시·도(16개반) 및 시·군·구(246개반)에 264개 역학조사반을 편성·운영
    ● 설사환자 등 급성질환자의 조기발견을 통한 신속한 예방·관리를 위해 전국의 병·의원, 약국 등 총 19,430개 기관을 질병모니터 기관으로 지정·운영 ·125개 응급의료기관 및 47개 감염전문가 네트워크 운영체계 강화 

■ 참고사항(붙임) : 연도별 주요전염병 발생현황
 
■ 연도별 주요전염병 발생현황 구 분 법정전염병 ‘97 ‘98 ‘99 ‘00 ‘01 ‘02 ‘03 ‘04.6월현재 수인성 전염병 콜 레 라 10 0 3 0 142 4 1 1 장 티 푸 스 265 380 308 231 365 217 199 96 파라티푸스 11 12 11 6 37 408 88 18 세균성이질 11 905 1,781 2,454 927 729 1,118 131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 - - - 1 12 8 52 1 비브리오패혈증 23 50 27 21 41 59 80 1 소 아 예방접종대상 전염병 홍 역 2 4 88 32,647 23,047 40 31 26 유행성이하선염 238 4,461 2,626 2,955 1,668 768 1,518 645 풍 진** - - - 107** 131 24 8 6 백 일 해 13 9 2 28 9 23 5 1 모기매개 전염병 일 본 뇌 염 0 3 1 0 1 6 1 - 말라리아 1,724 3,932 3,621 4,142 2,531 1,796 1,171 57 가을철 발열성 질 환 렙토스피라증 4 90 130 106 132 125 119 3 쯔쯔가무시병 277 1,140 1,342 1,758 2,679 1923 1,416 17 신증후군출혈열 104 215 196 203 323 331 392 74

※ 수인성전염병 중 의사환자 제외
 ■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구분 ‘98 ‘99 ‘00 ‘01 ‘02 ‘03 ‘04.6월 건수 119 174 104 93 78 135 54 환자(명) 4,577 7,764 7,269 6,406 2,980 7,909 3,000 ※ 식중독 발생자료 http://www.kfda.go.kr/korea/right/service1.htm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