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무더위 관련 주의당부
  • 작성일2004-07-23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무더위와 열대야가 지속됨에 따라 노인, 소아 등 고위험군 의 건강상 피해를 우려하여 다음의 주의사항을 발표했음 ㅇ또한 노약자 등 열에 취약한 사람은 무더운 환경에 혼자 남아 있지 않도록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치료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119나 1339를 활용할 것을 당부함 

■ 현 황 
    ● 토양매개 기생충 감소 과거 60년대와 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기생충퇴치사업이 국가주도로 수행되어 우리국민의 기생충 감염상을 주도하였던 회충, 편충 및 십이지장충 등과 같은 토양매개성 기생충 감염률이 현저히 낮아짐 
    ● 과거 잔존 기생충 재유행 양상 현재 낙후된 지역의 어린이 집단수용시설 (유치원, 아동보호소 등), 야생동물 보호정책에 의한 동물의 민가접근용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대중화 등으로 과거 유행기생충이 재출현하여 보건환경측면에서 새로운 문제점으로 대두됨
    ● 간디스토마 등 토착화 기생충의 지속적 유행 양상 섬진강을 비롯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5대강 유역이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간디스토마, 장흡충 등 장내기생충은 지속적인 기생충 퇴치사업에도 불구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감염율의 변동이 없어 지역적으로 국민건강을 해치는 요인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어 간디스토마 등에 대한 지속적인 구제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됨 

■ 주요 내용
    ● 조사기간 : 2004. 7. - 2004. 11.
    ● 조사지역 및 대상인원 : 전국 읍・면・동 300개 조사구
    ● 대상인원 : 약 25,000명 (전인구의 0.05% 정도) - 조사 대상 가구수 : 6,000 가구 (조사구 당 20 가구)
    ● 조사내용 
        - 조사구내 가구수에 대한 요도조사를 수행하여 가구원의 채변 실시 (2004. 8. 1 - 2004. 8. 15)
        - 지역별, 연령별(성별), 직업별, 학력별로 기생충 감염현황 분석
    ● 검사대상 기생충 -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장흡충, 회충, 구충 등 14개 항목
    ● 총괄책임 및 지도감독기관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열대풍토질환과 
    ● 용역수행 및 검사기관 - 한국건강관리협회 본부 및 15개 시・도 지부
    ● 소요예산: 205,000천원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기생충감염 취약지역에 대한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장관감염 토착화 질환에 대한 국가보건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국민건강증진에 기여
        -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기생충 박멸과 해외유입 기생충 및 향후 북한 기생충관리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
        - 우리나라의 과학적인 기생충관리체계를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기생충감염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생충관리의 표준 모델 제시

[우리나라 기생충 발생 현황 (보도참고)]
■ 우리나라 주요 강유역의 기생충 충란 양성율 (서병설 등, 1981) 섬진강 낙동강 영산강 탐진강 남한강 금강 만경강 양성율 17.3% 40,2% 30.8% 15.7% 15.7% 12.0% 8.0% 
■ 전국적인 장내기생충 감염현황 (건강관리협회) 년도 검사수 양성수 회충 구충 편충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장흡충 요충 기타 ‘97 45,832 1,113 28 3 17 626 0 142 275 22 ‘92 46,912 1,852 138 7 103 1,018 0 126 420 40 ‘86 43,590 5,443 924 45 2,079 1,190 1 441 1,555 122 ‘81 35,018 19,098 4,543 163 8,211 924 0 424 4,216 617 계 171,352 27,506 5,633 218 10,410 3,758 1 1,133 6,466 801
■ 최근 섬진강유역의 기생충 감염현황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구분 년도 검사인원(명) 양성자수(명) 감염률 (%) 비고 계 11,760 1,984 16.9 1999 562 130 23.1 2000 1,172 347 29.6 2001 818 228 27.9 2002 2,211 440 19.9 2003 3,426 867 25.3 2004 3,571 586 16.4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